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영상도식을 통한 신체어 공간 은유 연구 = A Metaphoristic Expanding of Space Concept Words in Russian Phraseology - with special attentions on голова(head), глаз(eye), нос(nose), ухо(ear), рот(mouth), рука(hand), нога(le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6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신체어적 공간 은유를 담고 있는 어구들과 문장들을 영상도식을 통하여 재해석한 논문이다. 그동안 인지언어학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과정을 그림을 통하...

      본 논문은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신체어적 공간 은유를 담고 있는 어구들과 문장들을 영상도식을 통하여 재해석한 논문이다. 그동안 인지언어학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과정을 그림을 통하여 표현하고 연구하는 일련의 학술적 활동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러시아어에서 구체적으로 신체어 공간은유 표현을 연구 재료로 연구된 것은 그 역사와 내용이 일천하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신체 은유표현 중에서 голова(머리), глаз(눈), нос(코), ухо(귀), рот(입), рука(손), нога(다리)를 담고 있는 표현들을 1차 자료에서 추출하여 그 예문들을 영상도식 중 이동도식과 그릇도식을 이용하여 추상적 실체를 구체적 실체로 변환시키고 일련의 규칙성과 의미적 연관성을 찾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러시아어 신체 공간 은유표현의 인지적 습득 과정과 그 의미적 포괄 단계를 구체적 그림으로 표현하였으며, 어떠한 표현이 각각 이동도식과 그릇도식에 의한 표현으로 적절한지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anded meaning of Russian body words with space concept. The concepts or body words that are analyzed in this paper, are голова(head), глаз(eye), нос(nose), ухо(ear), рот(mouth), рука(hand),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anded meaning of Russian body words with space concept. The concepts or body words that are analyzed in this paper, are голова(head), глаз(eye), нос(nose), ухо(ear), рот(mouth), рука(hand), нога(leg) in the sense of space. This paper analyses space metaphor into two schemes. They are moving scheme and container scheme. The moving scheme perceives human being's eye as the starting, extending and ending points. ex. Пришлось даже отложить несрочные операции, потому что не хватало рук на приеме(lack of hand=lack of human or doctor). The container scheme perceives human, inanimate objects as contents in the container. Of course in the container can be gathered more than one concepts. ex. a. Я в проблеме. (I am in the problem)
      b. У меня проблема. (I have problem) The author illustrates metaphoristic expanding of these basic words in the conclusion and illustrates that this methods can be very helpful to explain the mechanisms of metaphoric meaning expressions by the body space words and phr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개요
      • I. 들어가는 말
      • Ⅱ. 중심 말
      • Ⅲ. 맺는 말
      • 참 고 문 헌
      • 국문 개요
      • I. 들어가는 말
      • Ⅱ. 중심 말
      • Ⅲ. 맺는 말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려대학교, "한노사전" 1987

      2 임지룡, "주관적 이동표현의 인지적 의미 특성" 5 (5): 181-206, 1998

      3 임지룡,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한국문화사 2004

      4 이기동,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2000

      5 이건환, "의미 확장에 있어서 도식의 역할" 5 (5): 81-99, 1998

      6 임지룡, "은유와 영상도식" 한국문화사 2006

      7 이경자, "우리말 신체어 형성"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9

      8 박경선, "영어와 한국어의 색채어와 신체어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 8 (8): 69-83, 2001

      9 임지룡, "연결 도식과 그 은유적 확장" 한글학회 726 (726): 105-132, 2007

      10 홍기선, "언어와 사고: 보편적 인지와 개별언어의 상호작용" 담화인지언어학회 3-13, 2003

      1 고려대학교, "한노사전" 1987

      2 임지룡, "주관적 이동표현의 인지적 의미 특성" 5 (5): 181-206, 1998

      3 임지룡,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한국문화사 2004

      4 이기동,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2000

      5 이건환, "의미 확장에 있어서 도식의 역할" 5 (5): 81-99, 1998

      6 임지룡, "은유와 영상도식" 한국문화사 2006

      7 이경자, "우리말 신체어 형성"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9

      8 박경선, "영어와 한국어의 색채어와 신체어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 8 (8): 69-83, 2001

      9 임지룡, "연결 도식과 그 은유적 확장" 한글학회 726 (726): 105-132, 2007

      10 홍기선, "언어와 사고: 보편적 인지와 개별언어의 상호작용" 담화인지언어학회 3-13, 2003

      11 남혜현, "신체화에 따른 의미확장 연구: 러시아어 신체어를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19 (19): 3-28, 2007

      12 임지룡, "신체화에 기초한 의미 확장의 특성 연구" 언어과학회 40 (40): 1-31, 2007

      13 이성하, "문법의 인지적 기초" 박이정 2004

      14 남혜현, "러시아어 신체어 рука의 의미전이 연구" 한국노어노문학회 18 (18): 3-37, 2006

      15 남혜연, "러시아어 신체어 нога의 다의성 연구 - рук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23 (23): 171-197, 2006

      16 최윤희, "러시아어 신체 어휘의 의미 확장 연구 - 신체어휘 「рука」를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어학회 10 : 163-182, 2005

      17 김원회,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공간개념의 은유적 확장 - глаз(눈)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소 41 (41): 1-31, 2008

      18 최지훈, "국어 관용구의 영상도식적 은유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3 : 179-205, 2007

      19 이기동, "관용어, 은유 그리고 환유1" 4 (4): 61-87, 1997

      20 임혜원,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 한국문화사 2004

      21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2004) А. Н. Тихонов. «Флинта»"

      22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А.И.Федорова"

      23 Lakoff,G.,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in 인지의미론"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4 Johnson, Mark, "The Body in Min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5 안혁, "Semantic Network of the REFLEXIVE SJA Constructionsin Russian: Prototype and Case Meaning(러시아어의 재귀SJA 구조의 의미망: 원형과 격의미)" 러시아연구소 17 (17): 211-240, 2007

      26 Lakoff, G.,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Western Thought. in 몸의 철학" 박이정 1999

      27 Jean-Pierre B., "O nekotorykh metaforicheskikh prostranstvennykh situaciiakh russkogo iazyka" 20 (20): 1996

      28 Lakoff, G., "Metaphor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9 Chafe,W, "Meaning and Structure of Langua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30 Langacker,R.W., "Concept, image and symbol: The cognitive basis of grammar" Mouton De Gruyter 1991

      31 Lidija Lordanskaya, "A russian-english collocational dictionary of human body" 1996

      32 이수련, ""한국어와 인지"" 박이정 2001

      33 배도용, ""우리말 의미 확장 연구"" 한국문화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2013-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유럽발칸학회 ->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br>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6-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