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화조화의 形寫性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 문인화풍 화조화는 화보풍의 구도와 수묵을 위주로 한 조선중기의 양식 및 명, 청대 화보의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조를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기법으로 표현하거나 조선의 진경적 요소를 반영한 화면을 구성하는 등 중기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회화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관물인식과 더불어 형사적 회화관이 창작의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면서, 화조화에서도 실제와 같은 생동감과 현장감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작용되었던 결과로 보인다.
      사물의 眞形, 眞色을 드러낸다는 의미로 문인들에게 인정받은 조선후기의 형사적 회화관은 산수, 인물, 화조 등 다양한 회화 분야에서 창작의 근본 개념으로 인정되었다. 후기의 문인화풍 화조화에서 추구된 형사적 표현은 정밀한 묘사와 채색으로 그림의 중심소재인 새를 표현하는 방식과, 화조의 조응관계와 구도 등 화면의 구성을 실제 조선의 정경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두 방식 모두 소재와 공간의 사실성을 통해 그림의 생동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문인들이 주장한 형사, 사진 등의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물사진을 통해 생동감 있는 그림을 추구한 문인화가 조영석의 화조화에 드러나는 정밀한 묘사와 진채의 사생적 화조표현은 최북, 변상벽 등의 화조화로 이어졌다. 이들은 화보에서 기본적인 구도를 차용하되, 새의 묘사는 채색공필의 기법을 토대로 하여 사실적이고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변상벽이 닭 그림에서 구사한 극사실주의적인 사생기법은 당대 문인들의 호평과 관심 속에서 조선후기 새로운 회화사조로서의 입지를 구축하였다.
      김홍도의 개성과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난 ≪병진년화첩≫의 화조화들은 생략적인 필묵과 채색의 강약, 뛰어난 구도감각과 여백의 운용을 통해 조선의 자연과 화조가 어울리는 생동감 있는 화면을 연출하였다. 그의 화조화들은 조선후기 회화적 배경을 토대로 문인화풍 화조화에 야기된 형사적 양상과 함께 가장 한국적인 화조화 양식과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 문인화풍 화조화는 화보풍의 구도와 수묵을 위주로 한 조선중기의 양식 및 명, 청대 화보의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조를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기법으로 표현하거나 조선의 진경적 요소를 반영한 화면을 구성하는 등 중기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회화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관물인식과 더불어 형사적 회화관이 창작의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면서, 화조화에서도 실제와 같은 생동감과 현장감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작용되었던 결과로 보인다.
      사물의 眞形, 眞色을 드러낸다는 의미로 문인들에게 인정받은 조선후기의 형사적 회화관은 산수, 인물, 화조 등 다양한 회화 분야에서 창작의 근본 개념으로 인정되었다. 후기의 문인화풍 화조화에서 추구된 형사적 표현은 정밀한 묘사와 채색으로 그림의 중심소재인 새를 표현하는 방식과, 화조의 조응관계와 구도 등 화면의 구성을 실제 조선의 정경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두 방식 모두 소재와 공간의 사실성을 통해 그림의 생동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문인들이 주장한 형사, 사진 등의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물사진을 통해 생동감 있는 그림을 추구한 문인화가 조영석의 화조화에 드러나는 정밀한 묘사와 진채의 사생적 화조표현은 최북, 변상벽 등의 화조화로 이어졌다. 이들은 화보에서 기본적인 구도를 차용하되, 새의 묘사는 채색공필의 기법을 토대로 하여 사실적이고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변상벽이 닭 그림에서 구사한 극사실주의적인 사생기법은 당대 문인들의 호평과 관심 속에서 조선후기 새로운 회화사조로서의 입지를 구축하였다.
      김홍도의 개성과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난 ≪병진년화첩≫의 화조화들은 생략적인 필묵과 채색의 강약, 뛰어난 구도감각과 여백의 운용을 통해 조선의 자연과 화조가 어울리는 생동감 있는 화면을 연출하였다. 그의 화조화들은 조선후기 회화적 배경을 토대로 문인화풍 화조화에 야기된 형사적 양상과 함께 가장 한국적인 화조화 양식과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조선후기 形寫的 회화관
      • 3.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표현
      • 4. 한국적 미감의 공간 구현 추구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조선후기 形寫的 회화관
      • 3.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표현
      • 4. 한국적 미감의 공간 구현 추구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홍선표, "한국의 전통회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3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4 변영섭, "조선후기 화론의 이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창간) : 2000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6 고연희, "연암 일파(燕巖一派)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7) : 185-212, 2002

      7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전기 :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한국미술사학회 275276 : 89-118, 2012

      8 변영섭,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2008

      9 변영섭,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畵]와 여백(餘白)" 역사연구소 (75) : 287-320, 2012

      10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홍선표, "한국의 전통회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3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4 변영섭, "조선후기 화론의 이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창간) : 2000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6 고연희, "연암 일파(燕巖一派)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7) : 185-212, 2002

      7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전기 :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한국미술사학회 275276 : 89-118, 2012

      8 변영섭,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2008

      9 변영섭,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畵]와 여백(餘白)" 역사연구소 (75) : 287-320, 2012

      10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1 이덕무, "국역청장관전서 8" 민족문화추진회 1979

      12 "간송문화 7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0

      13 홍계능, "通政大夫敦寧府都正觀我齋趙公行狀"

      14 4박제가, "貞蕤閣集 권3" 민족문화추진회

      15 강세황, "豹菴遺稿 영인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6 조영석, "觀我齋稿영인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