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54067
2013
Korean
조선후기 ; 문인화 ; 화조화 ; 형사(形寫) ; 사진(寫眞) ; 조영석 ; 최북 ; 변상벽 ; 김홍도 ; 사생(寫生) ; 병진년화첩 ; The Late Period of Joseon ; Literary Style of Painting ; Flower and Bird Paintings ; Jo Yeongseok ; Choi Buk ; Byeon Sangbyeok ; Kim Hongdo ; Actually Drawing ; Byeongjinyoun paintings book
KCI등재
학술저널
65-91(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 문인화풍 화조화는 화보풍의 구도와 수묵을 위주로 한 조선중기의 양식 및 명, 청대 화보의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조를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기법으로 표현하거나 조선의 진경적 요소를 반영한 화면을 구성하는 등 중기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회화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관물인식과 더불어 형사적 회화관이 창작의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면서, 화조화에서도 실제와 같은 생동감과 현장감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작용되었던 결과로 보인다.
사물의 眞形, 眞色을 드러낸다는 의미로 문인들에게 인정받은 조선후기의 형사적 회화관은 산수, 인물, 화조 등 다양한 회화 분야에서 창작의 근본 개념으로 인정되었다. 후기의 문인화풍 화조화에서 추구된 형사적 표현은 정밀한 묘사와 채색으로 그림의 중심소재인 새를 표현하는 방식과, 화조의 조응관계와 구도 등 화면의 구성을 실제 조선의 정경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두 방식 모두 소재와 공간의 사실성을 통해 그림의 생동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문인들이 주장한 형사, 사진 등의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물사진을 통해 생동감 있는 그림을 추구한 문인화가 조영석의 화조화에 드러나는 정밀한 묘사와 진채의 사생적 화조표현은 최북, 변상벽 등의 화조화로 이어졌다. 이들은 화보에서 기본적인 구도를 차용하되, 새의 묘사는 채색공필의 기법을 토대로 하여 사실적이고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변상벽이 닭 그림에서 구사한 극사실주의적인 사생기법은 당대 문인들의 호평과 관심 속에서 조선후기 새로운 회화사조로서의 입지를 구축하였다.
김홍도의 개성과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난 ≪병진년화첩≫의 화조화들은 생략적인 필묵과 채색의 강약, 뛰어난 구도감각과 여백의 운용을 통해 조선의 자연과 화조가 어울리는 생동감 있는 화면을 연출하였다. 그의 화조화들은 조선후기 회화적 배경을 토대로 문인화풍 화조화에 야기된 형사적 양상과 함께 가장 한국적인 화조화 양식과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홍선표, "한국의 전통회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3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4 변영섭, "조선후기 화론의 이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창간) : 2000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6 고연희, "연암 일파(燕巖一派)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7) : 185-212, 2002
7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전기 :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한국미술사학회 275276 : 89-118, 2012
8 변영섭,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2008
9 변영섭,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畵]와 여백(餘白)" 역사연구소 (75) : 287-320, 2012
10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홍선표, "한국의 전통회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3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4 변영섭, "조선후기 화론의 이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창간) : 2000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6 고연희, "연암 일파(燕巖一派)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7) : 185-212, 2002
7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전기 :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한국미술사학회 275276 : 89-118, 2012
8 변영섭,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2008
9 변영섭,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畵]와 여백(餘白)" 역사연구소 (75) : 287-320, 2012
10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1 이덕무, "국역청장관전서 8" 민족문화추진회 1979
12 "간송문화 7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0
13 홍계능, "通政大夫敦寧府都正觀我齋趙公行狀"
14 4박제가, "貞蕤閣集 권3" 민족문화추진회
15 강세황, "豹菴遺稿 영인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6 조영석, "觀我齋稿영인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19세기 프랑스 박물관에서의 한국미술 전시 역사: 샤를르 바라(Charles Varat)의 한국 여행과 기메박물관 한국실의 설립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