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식산업에서의 경쟁력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 찾기와 점포 믹스 = Finding Competitive Franchise Stor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Store Mi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taurant industry continues to grow with the spread of the dining culture and the rapidly changing trend, but the survival rate of individual stores is decreas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type of residential, business, and commercial facilities has become active, but commercial facilities are subject to individual sales, reckless opening due to lease, and high vacancy rat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and survival rate of store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strategies are needed from opening stores to operating and closing stores.
      This study aims to select competitive franchise stores in commercial facilities and present an optimized store mix method using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form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that are recently being developed. Through credit card data, it was analyzed through pre-COVID-19 store sales, and franchise stores that have high sales and can actually pay rent for stores selected as cases were selected by comparing commercial districts similar to those where stores are located. After that,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finding stable stores by allowing synergy effects between stores to occur through the store mixing method.
      Studies have shown that in the current uncertain situ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pening a franchise that is stable and profitable is needed to minimize risks rather than trying something new.
      번역하기

      The restaurant industry continues to grow with the spread of the dining culture and the rapidly changing trend, but the survival rate of individual stores is decreas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type of residential,...

      The restaurant industry continues to grow with the spread of the dining culture and the rapidly changing trend, but the survival rate of individual stores is decreas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type of residential, business, and commercial facilities has become active, but commercial facilities are subject to individual sales, reckless opening due to lease, and high vacancy rat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and survival rate of store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strategies are needed from opening stores to operating and closing stores.
      This study aims to select competitive franchise stores in commercial facilities and present an optimized store mix method using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form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that are recently being developed. Through credit card data, it was analyzed through pre-COVID-19 store sales, and franchise stores that have high sales and can actually pay rent for stores selected as cases were selected by comparing commercial districts similar to those where stores are located. After that,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finding stable stores by allowing synergy effects between stores to occur through the store mixing method.
      Studies have shown that in the current uncertain situ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pening a franchise that is stable and profitable is needed to minimize risks rather than trying something n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외식산업은 외식 문화가 확산,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개별 점포의 생존율을 낮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서는 주거, 업무, 상업시설을 합친 주상복합형태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상업시설은 개별 분양, 임대로 인한 무분별한 출점, 높은 공실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식산업에서 점포의 경쟁력 제고와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점포의 개설부터 운영, 폐업까지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 중인 주상복합 형태의 상업시설을 사례로 하여 상업시설 내 경쟁력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를 선정하고 최적화된 점포 믹스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용카드 데이터를 통해 코로나19이전의 점포 매출액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례로 선정한 점포가 위치한 상권과 비슷한 지역의 상권을 비교하여 매출액이 높고, 실질적으로 사례로 선정한 점포의 임대료를 지급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를 선정하였다. 이후 점포 믹스 방법을 통해 임점한 점포 간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점포를 찾는 것을 중점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와 같이 외부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보다는 기존에 안정적이고 수익이 보장되는 프랜차이즈를 오픈하는 것이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외식산업은 외식 문화가 확산,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개별 점포의 생존율을 낮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서는 주거, 업무, 상업시설을 합친 주상복...

      외식산업은 외식 문화가 확산,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개별 점포의 생존율을 낮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서는 주거, 업무, 상업시설을 합친 주상복합형태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상업시설은 개별 분양, 임대로 인한 무분별한 출점, 높은 공실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식산업에서 점포의 경쟁력 제고와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점포의 개설부터 운영, 폐업까지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 중인 주상복합 형태의 상업시설을 사례로 하여 상업시설 내 경쟁력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를 선정하고 최적화된 점포 믹스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용카드 데이터를 통해 코로나19이전의 점포 매출액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례로 선정한 점포가 위치한 상권과 비슷한 지역의 상권을 비교하여 매출액이 높고, 실질적으로 사례로 선정한 점포의 임대료를 지급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를 선정하였다. 이후 점포 믹스 방법을 통해 임점한 점포 간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점포를 찾는 것을 중점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와 같이 외부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보다는 기존에 안정적이고 수익이 보장되는 프랜차이즈를 오픈하는 것이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금필 ; 설훈구, "호텔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서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특급 호텔 중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171-189, 2015

      2 장동화, "한식 외식산업에서 관리자의 권한위임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145-169, 2016

      3 김성태 ; 김명규 ; 임병인, "프랜차이즈, 자영업자의 활로인가? : 음식점 업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79-103, 2014

      4 유지은 ; 양혜원, "패스트푸드점 입지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7 (7): 23-41, 2011

      5 정유경 ; 신서호 ; 송현주,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패밀리레스토랑의 지역점포마케팅 중요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서로 다른 상권에 위치한 동일 브랜드의 두 개 매장의 비교 -"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7-28, 2012

      6 최성환 ; 정승호 ; 정정희,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 인카운터가 고객가치와 재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231-250, 2015

      7 김기영, "틈새외식시장의 상권설정을 위한 전략방안에 관한 연구 : 입지선정과정을중심으로" (6) : 47-67, 1997

      8 지상훈, "코로나19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폐업 행태 :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71-88, 2021

      9 장석진 ; 박정민 ; 강주연, "코로나 19 이후 정부대응책 인식과 식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45 (45): 3-31, 2022

      10 손영돈 ; 현경일 ; 조춘한, "전통시장 선택요인이 매력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점포믹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7 (37): 127-150, 2015

      1 정금필 ; 설훈구, "호텔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서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특급 호텔 중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171-189, 2015

      2 장동화, "한식 외식산업에서 관리자의 권한위임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145-169, 2016

      3 김성태 ; 김명규 ; 임병인, "프랜차이즈, 자영업자의 활로인가? : 음식점 업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79-103, 2014

      4 유지은 ; 양혜원, "패스트푸드점 입지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7 (7): 23-41, 2011

      5 정유경 ; 신서호 ; 송현주,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패밀리레스토랑의 지역점포마케팅 중요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서로 다른 상권에 위치한 동일 브랜드의 두 개 매장의 비교 -"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7-28, 2012

      6 최성환 ; 정승호 ; 정정희,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 인카운터가 고객가치와 재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231-250, 2015

      7 김기영, "틈새외식시장의 상권설정을 위한 전략방안에 관한 연구 : 입지선정과정을중심으로" (6) : 47-67, 1997

      8 지상훈, "코로나19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폐업 행태 :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71-88, 2021

      9 장석진 ; 박정민 ; 강주연, "코로나 19 이후 정부대응책 인식과 식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45 (45): 3-31, 2022

      10 손영돈 ; 현경일 ; 조춘한, "전통시장 선택요인이 매력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점포믹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7 (37): 127-150, 2015

      11 황규성 ; 장형진, "입지요인이 편의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울산지역·경남지역 대상으로 비교분석 -" 한국부동산학회 (64) : 199-211, 2016

      12 조정현 ; 오형석, "입지요인이 외식 프랜차이즈 점포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7 (37): 177-191, 2019

      13 김영갑, "외식창업론" 교문사 8-, 2014

      14 이희혁 ; 유영진, "외식창업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와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33-248, 2019

      15 이학희, "외식업체의 입지와 경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45-362, 2018

      16 박순애 ; Kim, Kyungmi, "외식업체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생관리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26 (26): 59-71, 2021

      17 오홍철, "외식업체 입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3 : 39-56, 2003

      18 강규철 ; 오영호, "외식서비스산업에서 조직문화의 매개역할을 통한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8 (8): 245-251, 2017

      19 문영일 ; 박대섭 ; 강병남, "외식산업의 점포 입지별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할머니 보쌈 점포를 대상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4 (14): 456-468, 2008

      20 김혁수, "외식산업 상권분석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마포구 사례를 중심으로" 27 (27): 309-324, 2004

      21 이인숙 ; 설훈구, "외식사업의 입지선호 속성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161-177, 2014

      22 김영찬, "외식사업 창업에 따른 입지 결정 요인 분석" (사)한국조리학회 15 (15): 30-46, 2009

      23 곽공호, "외식기업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219-231, 2015

      24 조인석 ; 조규연 ; 안상봉, "외식 프랜차이즈 입지요건과 서비스 품질 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77-90, 2016

      25 서현우, "외식 운영 형태별 현황 및 특성·성과 연구" 한국외식산업연구원 2020

      26 김윤희 ; 이상호,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테넌트 믹스 특성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93-212, 2007

      27 성은영,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과 물리적 입지특성 분석" 한양대학교 2018

      28 박일순, "소상공 창업자의 입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59-82, 2012

      29 정유경 ; 박기오 ; 김영갑, "소규모 외식업체 경영자의 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차이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341-360, 2007

      30 조준희 ; 김찬중 ; 김철중, "소규모 외식업의 경영성과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124-142, 2014

      31 김현철 ; 이승일,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20 (20): 117-134, 2019

      32 이상윤, "상권분석론" 두남 43-, 2009

      33 태경섭 ; 임병준, "상권경쟁을 고려한 신규점포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 대한지리학회 45 (45): 609-627, 2010

      34 김영목 ; 김선철,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 전후외식 소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40 (40): 91-101, 2022

      35 김성문 ; 안지상 ; 심교언, "백화점 매출액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의 영향력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51-66, 2014

      36 이애주 ; 유지은, "레스토랑의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L호텔의 사례를 중점으로 하여"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27-45, 2010

      37 우경, "도·소매업체의 입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24 (24): 117-141, 2013

      38 김성문 ; 안지상 ; 심교언,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형할인점 BIG3(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를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7 (27): 19-38, 2014

      39 이상규,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결정에 있어서 입지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0 : 3-3, 2004

      40 박수홍 ; 이용익 ; 홍성언 ; 김정엽, "공간 연관규칙을 이용한 대형할인점의 입지분석" 대한지리학회 41 (41): 319-330, 2006

      41 Jebarajakirthy, C., "Understanding n-the-go Consumption : A Retail Mix Perspective" 58 : 2021

      42 박경주, "The Study of Location Selection & Business Owner’s Management Criteria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FoodService Industry"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1 (11): 119-144, 2010

      43 John, R. W, "The Restaurant" John Wlley & So ns, Inc 2008

      44 Abratt, R., "The Key to a Successful Shopping Centre" 10 (10): 19-, 1985

      45 Teller, C., "The Evolving Concept of Retail Attractiveness : What Makes Retail Agglomerations Attractive When Customers Shop at Them?" 15 (15): 127-143, 2008

      46 Kyriaziz, A. N., "Tenant Mix in Shopping Centres:South Africa and the United Kingdom compared"

      47 Berman, B., "Retail Mat: A Strategic Approach" Macillan Publishing Co 1979

      48 Reimers, V., "Retail Centres: It's Time to Make them Convenient" 37 (37): 541-562, 2009

      49 James F. E, "Personality Measures and Market Segmentation, Evidence Favors Interaction View" 12 (12): 61-70, 1969

      50 Ibrahim, M. F., "New Age Retail Tenants : A New Phenomenon" 6 (6): 239-262, 2007

      51 Reilly, W. J., "Methods for the Study of Retail Relationships" (4) : 1929

      52 Applebaum, W., "Methods for Determining Store Trade Areas, Market Penetration, and Potential Sales" 3 (3): 127-141, 1966

      53 Anikeeff, M. A., "Megatrends in Retail Real Estate" 215-238, 1996

      54 Kirkup, M., "Managing Tenant Mix in New Shopping Centres" 1994

      55 Achabal, D., "MULTILOC : A Multiple Store Location Model" 58 : 5-25, 1982

      56 Turhan, G., "Literature Review on Selection Criteria of Store Location Based on Performance Measures" 99 : 391-402, 2013

      57 강진희, "Huff의 확률적 상권분석 모형과 ESRI 모형을 활용한 외식산업 상권분석모형 개발"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189-211, 2017

      58 Baker, S. R., "How Does Household Spending Respond to an Epidemic? Consumption During the 2020 COVID-19 Pandemic" 10 (10): 834-862, 2020

      59 전용필 ; 강혜정, "Factors Affecting Restaurant Business Performanc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1 (41): 61-79, 2018

      60 이상미, "Differences in Restaurant Choice Attributes According to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with Pandemic of Corona 19" 한국외식산업학회 17 (17): 173-185, 2021

      61 강진희, "Development of a foodservice commercial area analysis gravity model"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33 (33): 127-144, 2019

      62 이동현 ; 이재경 ; 천상현, "Comparison of Survival Rate in Food Service Industry between Growing Commercial Districts and Declining Commercial Districts of Seoul" 국토연구원 105 (105): 65-84, 2020

      63 Oppewal, H., "Bundling and Retail Agglomeration Effects on Shopping Behavior" 11 (11): 61-74, 2004

      64 이충수, "Analysis of Success Factors of Food Service Start up"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171-180, 2018

      65 Borgers, A., "A Virtual Reality Tool to Measure Shoppers’ Tenant Mix Preferences" 34 (34): 377-388, 2010

      66 김동준 ; 김기중 ; 안영수,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Survival Commercial Facilities Location : Focused on Ordinary Restaurants in Gangnam-gu, Seoul" Korea Planners Association 53 (53): 161-181, 2018

      67 백진성 ; 이정희, "A Study of the Mediated Effect of Store Competitiveness Characteristics Between Startup Education and Franchise Profitability" 한국벤처창업학회 16 (16): 91-107, 2021

      68 Huff, D. L.,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nter Trade Areas" 39 (39): 81-90, 1963

      69 Kaufman, C. F., "A New Look at one-Stop Shopping : a TIMES Model Approach to Matching Store Hours and Shopper Schedules" 13 (13): 4-25, 1996

      70 김현철 ; 안영수, "A Monitoring the Dynamic Change of Seoul’s Side Street Trade Areas Using Density and Diversity of Stores" 서울연구원 20 (20): 149-162, 2019

      71 농림축산식품부, "2021 식품산업 주요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8 2.37 2.735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