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 = Use of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 Focused on the Meaning Description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grammar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metalanguage by reviewing its definition in advance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rvey the grammar metalanguage expressed by teaching language using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meaning description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both i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Grammar metalanguage is not presented similarly in bo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It exhibits som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meaning in its scope and content but no reason exists to similarly or same meaning descriptions. Compared wi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grammatical term used in teaching language are not many. While the teaching language of passive is inadequate to describe meaning, the teaching language of indirect quotations is expressed more concretely than that of passive. This study revisits the grammar metalanguage currently prevalent in Korean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use and actual condition of grammar metalanguage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with particular focus o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Further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formal and suitable grammar metalanguage for Korean learners by investigating and making proposal for the grammar metalanguage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grammar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metalanguage by reviewing its definition in advance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rvey the grammar metalanguage expresse...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grammar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metalanguage by reviewing its definition in advance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rvey the grammar metalanguage expressed by teaching language using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meaning description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both i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Grammar metalanguage is not presented similarly in bo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It exhibits som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meaning in its scope and content but no reason exists to similarly or same meaning descriptions. Compared wi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grammatical term used in teaching language are not many. While the teaching language of passive is inadequate to describe meaning, the teaching language of indirect quotations is expressed more concretely than that of passive. This study revisits the grammar metalanguage currently prevalent in Korean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use and actual condition of grammar metalanguage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with particular focus o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Further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formal and suitable grammar metalanguage for Korean learners by investigating and making proposal for the grammar metalanguage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언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나서 메타언어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한국어 교재에서의 메타언어 쓰임을 조사한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 언어 특히 교사의 문법에 대한 설명인 메타언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조사한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조사한 결과, 피동과 간접인용의 메타언어가 교재별, 교사별로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며 의미 기술에 있어서 그 내용과 범위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를 비교해 봤을 때, 교수 언어에서 교사들은 문법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았으며 피동에 대한 교수 언어가 좀 미흡한 반면에 간접인용에 대한 교수 언어는 교재에 비해 그 의미 기술이 자세하게 표현되었다. 교육 현장 특히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타언어의 쓰임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에 관한 의미 기술 및 메타언어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언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나서 메타언어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한국어 교재에서의 메타언어 쓰임을 조사한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 언어...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언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나서 메타언어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한국어 교재에서의 메타언어 쓰임을 조사한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 언어 특히 교사의 문법에 대한 설명인 메타언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조사한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조사한 결과, 피동과 간접인용의 메타언어가 교재별, 교사별로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며 의미 기술에 있어서 그 내용과 범위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를 비교해 봤을 때, 교수 언어에서 교사들은 문법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았으며 피동에 대한 교수 언어가 좀 미흡한 반면에 간접인용에 대한 교수 언어는 교재에 비해 그 의미 기술이 자세하게 표현되었다. 교육 현장 특히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타언어의 쓰임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에 관한 의미 기술 및 메타언어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윤기,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9

      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하우 2014

      3 정대현, "한국어교실에서 생산되는 메타말에 관한 연구: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5-197, 2012

      4 정대현,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활동 시에 나타나는 메타말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7-136, 2012

      5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 표현 교육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2010): 154-162, 2010

      6 최해주,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한국어 문법서 및 교재 분석과 학습자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295-318, 2008

      7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8 한송화,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361-391, 2010

      9 정선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우리어문학회 (49) : 353-386, 2014

      10 한송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메타언어의 문제:문법용어에 대한 교사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9-201, 2010

      1 홍윤기,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9

      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하우 2014

      3 정대현, "한국어교실에서 생산되는 메타말에 관한 연구: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5-197, 2012

      4 정대현,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활동 시에 나타나는 메타말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7-136, 2012

      5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 표현 교육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2010): 154-162, 2010

      6 최해주,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한국어 문법서 및 교재 분석과 학습자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295-318, 2008

      7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8 한송화,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361-391, 2010

      9 정선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우리어문학회 (49) : 353-386, 2014

      10 한송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메타언어의 문제:문법용어에 대한 교사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9-201, 2010

      11 김성기, "한국어 메타언어표현 분석 연구" 한국외대 2015

      12 고경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검토" 국어국문학회 (166) : 141-163, 2014

      13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14 황주하, "한국어 교육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방안:파생 피동사에 의한 피동법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2011 (2011): 143-155, 2011

      15 강수경,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말 연구:메타언어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1-27, 2010

      16 "학술연구정보서비스"

      17 김윤희, "학문적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8 "표준국어대사전"

      19 정대현, "출력 기능을 통한 한국어 형태 습득 연구 -메타말과 언어지식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61-182, 2009

      20 홍은실, "초급 한국어 수업의 교수 언어 연구 : 메타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1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 교보문고 2010

      22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1~3-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2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2-2~3-1"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24 장혜진, "어휘 설명 시 한국어 교사의 메타언어 분석 : 심리어휘 및 개념어휘의 설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2A~2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2008

      26 전성기, "메타언어, 언어학, 메타언어학" 고려대학교출판부 1996

      27 홍윤기,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383-408, 2006

      28 "교육부"

      29 성지연,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57-179, 2013

      30 김중섭, "경희 한국어 중급1"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5

      31 Simon Borg, "The Use of Grammatical Terminology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A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Practices and Cognitions" 20 (20): 95-126, 1999

      32 Mitchell, J. T., "Rethinking grammar and communication" 26 (26): 13-19, 1993

      33 Mohammed, A. M., "Informal pedagogical grammar" 34 (34): 284-289,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