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윤기,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9
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하우 2014
3 정대현, "한국어교실에서 생산되는 메타말에 관한 연구: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5-197, 2012
4 정대현,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활동 시에 나타나는 메타말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7-136, 2012
5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 표현 교육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2010): 154-162, 2010
6 최해주,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한국어 문법서 및 교재 분석과 학습자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295-318, 2008
7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8 한송화,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361-391, 2010
9 정선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우리어문학회 (49) : 353-386, 2014
10 한송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메타언어의 문제:문법용어에 대한 교사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9-201, 2010
1 홍윤기,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물" 2009
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하우 2014
3 정대현, "한국어교실에서 생산되는 메타말에 관한 연구: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5-197, 2012
4 정대현,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활동 시에 나타나는 메타말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7-136, 2012
5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 표현 교육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2010): 154-162, 2010
6 최해주,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한국어 문법서 및 교재 분석과 학습자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295-318, 2008
7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8 한송화,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361-391, 2010
9 정선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우리어문학회 (49) : 353-386, 2014
10 한송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의 메타언어의 문제:문법용어에 대한 교사및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9-201, 2010
11 김성기, "한국어 메타언어표현 분석 연구" 한국외대 2015
12 고경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검토" 국어국문학회 (166) : 141-163, 2014
13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14 황주하, "한국어 교육에서의 피동 표현 교육 방안:파생 피동사에 의한 피동법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2011 (2011): 143-155, 2011
15 강수경,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말 연구:메타언어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1-27, 2010
16 "학술연구정보서비스"
17 김윤희, "학문적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8 "표준국어대사전"
19 정대현, "출력 기능을 통한 한국어 형태 습득 연구 -메타말과 언어지식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61-182, 2009
20 홍은실, "초급 한국어 수업의 교수 언어 연구 : 메타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1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3" 교보문고 2010
22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1~3-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2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2-2~3-1"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24 장혜진, "어휘 설명 시 한국어 교사의 메타언어 분석 : 심리어휘 및 개념어휘의 설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2A~2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2008
26 전성기, "메타언어, 언어학, 메타언어학" 고려대학교출판부 1996
27 홍윤기,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383-408, 2006
28 "교육부"
29 성지연,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57-179, 2013
30 김중섭, "경희 한국어 중급1"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5
31 Simon Borg, "The Use of Grammatical Terminology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A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Practices and Cognitions" 20 (20): 95-126, 1999
32 Mitchell, J. T., "Rethinking grammar and communication" 26 (26): 13-19, 1993
33 Mohammed, A. M., "Informal pedagogical grammar" 34 (34): 284-28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