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平罗方言中的[53]调与[35]调 = Tone [53] and Tone [35] in Pingluo Dial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4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nosyllable condition of Lanyin Mandarin (兰银官话), Tone Yangping (阳平调) and Tone Shangsheng (上声调) merged as Tone Yangpingshang (阳平上), its pitch value of monosyllabic tone could be marked as [53]. However, in the phonetic env...

      In monosyllable condition of Lanyin Mandarin (兰银官话), Tone Yangping (阳平调) and Tone Shangsheng (上声调) merged as Tone Yangpingshang (阳平上), its pitch value of monosyllabic tone could be marked as [53]. However, in the phonetic environment which the tone of the second syllable of a two-syllable word is Tone Qusheng (去声) [13], we can distinguish Tone Yangping [53] and Tone Shangsheng [35] of the first syllable of those two-syllable words, we can find both [53-13] and [35-13] patterns. On the basis of field survey of a Chinese dialect spoken by Hui ethnic (回族) in Pingluo (平罗) county of Ningxia province, in the phonetic condition of two-syllable word with a Tone Qusheng of the second syllable, both merged and unmerged phenomenon occurred, namely [53-13] and [35-13], and [53-13] is the predominant pattern.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e unmerged phenomenon of Pingluo-Hui Chinese is not the result of the merging process of Yangping and Shangsheng, it is a result of uncomplete study of Chinese by Hui people who can’t distinguish Shangsheng and Yangping.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通常学界将兰银官话中阳平与上声合流后的单字调称为“阳平上”,单字为[53]调。一般认为后字是去声时可以区别阳平和上声,上声为[35]调,系原调的遗存。但本文通过调查宁夏平罗县方言...

      通常学界将兰银官话中阳平与上声合流后的单字调称为“阳平上”,单字为[53]调。一般认为后字是去声时可以区别阳平和上声,上声为[35]调,系原调的遗存。但本文通过调查宁夏平罗县方言时发现,平罗回族的上声在连读中后字是去声时更倾向于读作[53-13],与[35-13]并存,并且有“阳平+去声”读作[35-13]的情况。这并非是上声向阳平合流时回族早于汉族发生的表现,而是回族在集体转用汉语之后、上声向阳平合流之前没有能够完全区别上声与阳平的表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张安生, "银川话阳平、上声合并史新探(上)" (1) : 2005

      2 张盛裕, "银川方言的声调" (1) : 1984

      3 高葆泰, "银川方言志" 语文出版社 1993

      4 陈保亚, "语素音形:提取核心语音单位的起点" 27 (27): 2007

      5 刘俐李, "论焉耆方言的变调类型" (1) : 2000

      6 钱曾怡, "汉语官话方言研究" 齐鲁书社 2010

      7 北京大学中文系, "方言调查字组、词汇、语法简表" 2015

      8 陈保亚, "当代语言学" 高等教育出版社 2009

      9 李树俨, "平罗县志" 宁夏人民出版社 1996

      10 平山久雄, "平山久雄语言学论文集" 商务印书馆 2005

      1 张安生, "银川话阳平、上声合并史新探(上)" (1) : 2005

      2 张盛裕, "银川方言的声调" (1) : 1984

      3 高葆泰, "银川方言志" 语文出版社 1993

      4 陈保亚, "语素音形:提取核心语音单位的起点" 27 (27): 2007

      5 刘俐李, "论焉耆方言的变调类型" (1) : 2000

      6 钱曾怡, "汉语官话方言研究" 齐鲁书社 2010

      7 北京大学中文系, "方言调查字组、词汇、语法简表" 2015

      8 陈保亚, "当代语言学" 高等教育出版社 2009

      9 李树俨, "平罗县志" 宁夏人民出版社 1996

      10 平山久雄, "平山久雄语言学论文集" 商务印书馆 2005

      11 陈保亚, "对立的充分性和最大对立环境——从兰银官话的四声调说起" (1) : 2018

      12 高葆泰, "宁夏方音跟陕、甘、青方音的比较" (4) : 1982

      13 林涛, "宁夏方言概要" 宁夏人民出版社 2012

      14 张燕来, "兰银官话语音研究" 北京语言大学 2003

      15 李树俨, "中宁县方言志" 宁夏人民出版社 1989

      16 丁邦新, "丁邦新语言学论文集" 商务印书馆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hines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inguistics KCI등재
      2015-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in Korea -> Korea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4 0.4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