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정치참여의 변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for a new structure of governance in the neo-nomadic society through in-depth analyses of the new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rought about by the recent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the Internet and their impacts on the operation of existing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modern representative political system.

      Regarding the width and new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ur result shows, first, that the ability to use the information technology as a tool of acquir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s affected by the social divide which has already existed. This implies a possibility of the extant social inequality being reinforced by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 result also shows that, after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lated ability to use this as a sour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spread and disseminated to the individuals and society to a certain level, the ability to use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for political participation differ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imension of social inequality,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finall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re allowed or restricted.

      Next, our result on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emergence of neo-nomadic society and the related information technology are bigger and more salient on issue-oriented, flexible, and activ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on the traditional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emergence of neo-nomadic society will be likely to strengthen various features of civic culture. These features have been reported as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ble and mature democracy.

      However, our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enlargement and reinforc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fueled by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improvement of democratic governance. Our analysis on the survey data including citizens of large number of countries shows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level of difference in trust, satisfaction, and political efficacy across countries.

      We seek for an answer to this puzzle through in-depth case studies on Denmark, Finland, the U.S. and Japan. Our case study suggests that, in the latter two countries where two relatively big parties compete each other for political control, the institutional inertia of parties provide the parties with low incentive to respond to rising interests of citizens for new issues and that this im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institutional solution results in the low level of political efficacy and, hence, trust an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Denmark and Finland where relatively big number of small to medium sized parties compete and cooperate for political control,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low threshold to entry and challenges from the forces which have not gained representation provide the parties with big incentive to respond to new issues of the citizens. It is the parties that have taken initiatives in developing and reflecting new issu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se countries.

      Our analysis on the Chinese case also shows that not only the citizens but also the state can benefit from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because the latter enhance the capability of the state to monitor and control the citizens.

      In sum, our result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a unified approach that systematically combines the effort to reform the structure of government from the top and the effort to nurture the foundation of governance from the bottom, in order for us to build a new structure of democratic governance in the emerging neo-nomadic society.
      번역하기

      This study seeks for a new structure of governance in the neo-nomadic society through in-depth analyses of the new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rought about by the recent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the Internet and their i...

      This study seeks for a new structure of governance in the neo-nomadic society through in-depth analyses of the new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rought about by the recent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the Internet and their impacts on the operation of existing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modern representative political system.

      Regarding the width and new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ur result shows, first, that the ability to use the information technology as a tool of acquir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s affected by the social divide which has already existed. This implies a possibility of the extant social inequality being reinforced by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 result also shows that, after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lated ability to use this as a sour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spread and disseminated to the individuals and society to a certain level, the ability to use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for political participation differ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imension of social inequality,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finall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re allowed or restricted.

      Next, our result on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emergence of neo-nomadic society and the related information technology are bigger and more salient on issue-oriented, flexible, and activ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on the traditional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emergence of neo-nomadic society will be likely to strengthen various features of civic culture. These features have been reported as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ble and mature democracy.

      However, our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enlargement and reinforc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fueled by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improvement of democratic governance. Our analysis on the survey data including citizens of large number of countries shows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level of difference in trust, satisfaction, and political efficacy across countries.

      We seek for an answer to this puzzle through in-depth case studies on Denmark, Finland, the U.S. and Japan. Our case study suggests that, in the latter two countries where two relatively big parties compete each other for political control, the institutional inertia of parties provide the parties with low incentive to respond to rising interests of citizens for new issues and that this im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institutional solution results in the low level of political efficacy and, hence, trust an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Denmark and Finland where relatively big number of small to medium sized parties compete and cooperate for political control,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low threshold to entry and challenges from the forces which have not gained representation provide the parties with big incentive to respond to new issues of the citizens. It is the parties that have taken initiatives in developing and reflecting new issu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se countries.

      Our analysis on the Chinese case also shows that not only the citizens but also the state can benefit from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because the latter enhance the capability of the state to monitor and control the citizens.

      In sum, our result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a unified approach that systematically combines the effort to reform the structure of government from the top and the effort to nurture the foundation of governance from the bottom, in order for us to build a new structure of democratic governance in the emerging neo-nomadic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함께 나타나고 있는 정치참여 변화의 성격과 그 변화의 양상이 현존하는 제도화된 정치체제의 운영과 작동에 미친 영향을 면밀히 분석함을 통하여 앞으로 구축해야 할 제도적 거버넌스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참여의 폭과 양상에 관한 우리의 연구는 먼저 정보통신기술을 정치참여의 자원이 되는 정치적 정보획득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능력에 있어서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사회적 격차의 차이가 강화되어 가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통한 정치적 정보획득의 능력이 일정 수준이상으로 개인과 사회 내에 보급된 이후,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능력은 사회적 격차를 이루는 차원에 따라,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정치참여가 허용되고 이루어지는 제도적 환경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아울러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참여의 유형에 대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이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능력은 투표와 같은 전통적 정치 참여의 형태보다는 쟁점 중심적인, 유연하면서도 능동적인 새로운 형태의 정치 참여를 통하여 주로 발현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또한 신유목 사회의 출현은 건전한 민주주의의 안정과 성숙을 위한 토대가 되는 시민 문화적 속성을 강화시켜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아울러 제시하여 준다.

      그러나 신유목사회의 이기(利器)인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정치 참여의 확대와 강화가 바로 민주적 거버넌스의 증진을 보장하여주는 것은 아님을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다수 국가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시민들의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의 측면에서 그리고 시민들의 정치적 효능감(efficacy)의 측면에서 국가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에 대하여 본 연구는, 유럽의 덴마크와 핀란드, 그리고 미국과 일본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답을 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거대한 소수의 정당 간의 경쟁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 정당들이 가지는 강한 제도적 관성이, 새로운 쟁점에 대한 시민들의 새로운 정치적 이해에 반응의 낮은 유인(incentive)으로 작용하여, 이로부터 야기되는 수요(demand)와 공급(demand) 간의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능감과 체제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소규모의 다수 정당간의 경쟁과 협력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의 덴마크와 핀란드의 경우, 정치적 대표의 진입 장벽(threshold)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도적 환경 속에서 다른 정당들과의, 그리고 아직 대표를 획득하지 못한 시민 사회 속의 이해들과의 경쟁의 환경이, 정당들로 하여금 시민들의 새로운 요구를 적극적으로 계발하고, 이를 정책결정과정에 수용하는 방향으로 선제적인 주도권을 행사하도록 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신유목사회의 출현을 가속화시키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주는 효용이 시민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중국의 사례는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기술은 고도의 통제와 감시의 수단을 아울러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함께 나타난 미시적 권력들의 전면적 부상, 즉 사회 모든 계층의 정치참여의 확대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함께 나타나고 있는 정치참여 변화의 성격과 그 변화의 양상이 현존하는 제도화된 정치체제의 운영과 작동에 미친 영향을 면밀히 분석함을 통하여 앞으로 ...

      본 연구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함께 나타나고 있는 정치참여 변화의 성격과 그 변화의 양상이 현존하는 제도화된 정치체제의 운영과 작동에 미친 영향을 면밀히 분석함을 통하여 앞으로 구축해야 할 제도적 거버넌스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참여의 폭과 양상에 관한 우리의 연구는 먼저 정보통신기술을 정치참여의 자원이 되는 정치적 정보획득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능력에 있어서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사회적 격차의 차이가 강화되어 가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통한 정치적 정보획득의 능력이 일정 수준이상으로 개인과 사회 내에 보급된 이후,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능력은 사회적 격차를 이루는 차원에 따라,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정치참여가 허용되고 이루어지는 제도적 환경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아울러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참여의 유형에 대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이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능력은 투표와 같은 전통적 정치 참여의 형태보다는 쟁점 중심적인, 유연하면서도 능동적인 새로운 형태의 정치 참여를 통하여 주로 발현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또한 신유목 사회의 출현은 건전한 민주주의의 안정과 성숙을 위한 토대가 되는 시민 문화적 속성을 강화시켜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아울러 제시하여 준다.

      그러나 신유목사회의 이기(利器)인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정치 참여의 확대와 강화가 바로 민주적 거버넌스의 증진을 보장하여주는 것은 아님을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다수 국가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시민들의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의 측면에서 그리고 시민들의 정치적 효능감(efficacy)의 측면에서 국가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에 대하여 본 연구는, 유럽의 덴마크와 핀란드, 그리고 미국과 일본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답을 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거대한 소수의 정당 간의 경쟁으로 특징 지워지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 정당들이 가지는 강한 제도적 관성이, 새로운 쟁점에 대한 시민들의 새로운 정치적 이해에 반응의 낮은 유인(incentive)으로 작용하여, 이로부터 야기되는 수요(demand)와 공급(demand) 간의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능감과 체제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소규모의 다수 정당간의 경쟁과 협력을 특징으로 하는 유럽의 덴마크와 핀란드의 경우, 정치적 대표의 진입 장벽(threshold)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도적 환경 속에서 다른 정당들과의, 그리고 아직 대표를 획득하지 못한 시민 사회 속의 이해들과의 경쟁의 환경이, 정당들로 하여금 시민들의 새로운 요구를 적극적으로 계발하고, 이를 정책결정과정에 수용하는 방향으로 선제적인 주도권을 행사하도록 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신유목사회의 출현을 가속화시키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주는 효용이 시민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중국의 사례는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기술은 고도의 통제와 감시의 수단을 아울러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신유목사회의 출현과 함께 나타난 미시적 권력들의 전면적 부상, 즉 사회 모든 계층의 정치참여의 확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