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한센병 환자에 대한 치료와 주변에의 전염을 예방(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센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상황은 그리 향상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한센인의 사회복귀나 사회통합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한센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근본적인 기제를 밝히고, 다음으로 그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전국의 일반인1,446명을 표본으로 채택하여, 사회적 거리감의 개념과 귀인이론을 사용하여 일반인의 한센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한센병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보다 부정적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통제성, 안정성 모두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쳐 병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고 생각할수록,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거나 회복되기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의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위하여 한센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한센인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고정관념과 감정을 갖고 사회적 거리감을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방안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의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한센병 환자에 대한 치료와 주변에의 전염을 예방(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센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상황은 그리 향상되고 있지 ...

      의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한센병 환자에 대한 치료와 주변에의 전염을 예방(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센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상황은 그리 향상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한센인의 사회복귀나 사회통합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한센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근본적인 기제를 밝히고, 다음으로 그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전국의 일반인1,446명을 표본으로 채택하여, 사회적 거리감의 개념과 귀인이론을 사용하여 일반인의 한센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한센병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보다 부정적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통제성, 안정성 모두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쳐 병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고 생각할수록,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거나 회복되기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의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위하여 한센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한센인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고정관념과 감정을 갖고 사회적 거리감을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방안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ommunities infringed human rights and inflict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through social segregation driven by extreme prejudice and fear towards Hansen’s disease. Although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human rights infringement and discrimination over the years, many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still suffer social isolation due to the public’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attitude of public towards the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and the fundamental mechanism embedded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is research, 1446 people have been surveyed nationally to analyse the attitudes towards the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using the social distance concept.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were categorized into stereotype and emotional feeling and their respective influence was compared.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this research analysis covered factors affecting discriminatory attitude and behavior such as the disease’s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in addition to social demographical variables, contact and knowledge about Hansen’s dise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 general public’s negative stereotype towards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is 2.53 out of 5, negative feelings 2.59 and social distance 3.04. Overall this was not that high. Secondly, social distance is more influenced by negative feelings than negative stereotype. Thirdy,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all affected social distance. The social distance was increased as attributing self-responsible for contracting a disease, and increasing skepticism for recovery through treat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public’s attitudes and understanding towards Hansen’s disease as well as reducing social distance by having positive stereotypes and feelings.
      번역하기

      Korean communities infringed human rights and inflict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through social segregation driven by extreme prejudice and fear towards Hansen’s disease. Although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hum...

      Korean communities infringed human rights and inflict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through social segregation driven by extreme prejudice and fear towards Hansen’s disease. Although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human rights infringement and discrimination over the years, many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still suffer social isolation due to the public’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attitude of public towards the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and the fundamental mechanism embedded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is research, 1446 people have been surveyed nationally to analyse the attitudes towards the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using the social distance concept.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were categorized into stereotype and emotional feeling and their respective influence was compared.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this research analysis covered factors affecting discriminatory attitude and behavior such as the disease’s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in addition to social demographical variables, contact and knowledge about Hansen’s dise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 general public’s negative stereotype towards 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 is 2.53 out of 5, negative feelings 2.59 and social distance 3.04. Overall this was not that high. Secondly, social distance is more influenced by negative feelings than negative stereotype. Thirdy,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all affected social distance. The social distance was increased as attributing self-responsible for contracting a disease, and increasing skepticism for recovery through treat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public’s attitudes and understanding towards Hansen’s disease as well as reducing social distance by having positive stereotypes and feel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사회적 거리감
      • 2.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요인
      • 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사회적 거리감
      • 2.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요인
      • III.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선정 및 표집
      • 2. 측정도구
      • 3. 분석방법
      • VI. 연구결과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2. 주요 변수의 일반적 경향
      • 3.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미영, "혼혈인에 대한 낙인연구: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인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15-246, 2009

      2 정근식,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5

      3 곽정숙, "치위생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7, 2009

      4 한국여성개발원,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 연구" 2004

      5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신념과 호감도가 편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성 편견, 인종편견과 한국의 성 편견, 지역편견의 비교" 15 (15): 1-16, 2001

      6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13 (13): 1-33, 1999

      7 류승아, "정신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정신장애인들의 직업능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22 (22): 51-70, 2012

      8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 99-126, 2002

      9 박현정,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 13 : 109-131, 2009

      10 김희자,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9 (9): 255-282, 2008

      1 오미영, "혼혈인에 대한 낙인연구: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인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15-246, 2009

      2 정근식,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5

      3 곽정숙, "치위생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7, 2009

      4 한국여성개발원,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 연구" 2004

      5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신념과 호감도가 편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성 편견, 인종편견과 한국의 성 편견, 지역편견의 비교" 15 (15): 1-16, 2001

      6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13 (13): 1-33, 1999

      7 류승아, "정신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정신장애인들의 직업능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22 (22): 51-70, 2012

      8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 99-126, 2002

      9 박현정,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 13 : 109-131, 2009

      10 김희자,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9 (9): 255-282, 2008

      11 나은영, "역고정관념의 활성화와 인상형성: 남녀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과제 1997

      12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13 김경호, "억압의 관점에서 읽는 한센인차별의 어제와 오늘- 사회복지 개입 방안의 모색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0 (10): 9-37, 2009

      14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에서 본 지역감정" 성원사 1998

      15 김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조사연구소 7 : 169-206, 2004

      16 임성택,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외국인에 대한 한국학생들의 고정관념 분석" 한국교육학회 41 (41): 12-301, 2003

      17 김진희, "서울 시민의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연구" 2 : 1-32, 2008

      18 羅看采, "職業階層間의 社會的 距離感에 關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19 Prekumar, R., "Understanding the attitude of multidisciplinary teams working in leprosy" 65 : 66-77, 1994

      20 Jacobs M, "Transmission of health information on leprosy from children to families in an urban centre" 65 (65): 272-278, 1994

      21 Allport, G., "The nature of prejudice, Malden" Addison-Wesley 1954

      22 Switzer, B, "The impact of religiosity and attribution theory on attitudes toward addiction and cancer" 12 (12): 241-245, 2009

      23 Park, R. E., "The concept of social distance" 8 : 339-344, 1923

      24 Corrigan, P., "Stigmatizing attributions about mental illness" 28 (28): 91-102, 2000

      25 Tsang, H., "Stigmatizing attitudes towards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Hong Kong" 31 (31): 383-396, 2003

      26 Cross, H, "Step: An intervention to address the issue of stigma related to leprosy in Southern Nepal" 76 : 316-324, 2005

      27 Martin, J. W., "Social distance and social stratification" 47 : 179-186, 1963

      28 Bogardus, E. S., "Social distance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22 : 462-476, 1938

      29 Aronson, E., "Social Psychology. 3rd ed"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1999

      30 Westie F. R., "Social Distance Scales : A tool for the study of stratification" 43 : 251-258, 1959

      31 Fiske, S. T., "Social Cognition and Social Perception" 44 : 155-194, 1993

      32 Link, B. G, "Public conceptions of mental illness: labels, causes, dangerousness, and social distance" 89 : 1328-1333, 1999

      33 Jussim, L., "Prejudice, Stereotypes and labelling effects : Source of bias in person perception" 68 (68): 228-246, 1995

      34 Martin, J. K., "Of fear and loathing : The role of"disturbing behavior", labels, and causal attributions in shaping public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41 : 208-223, 2000

      35 Bogardus, E. S., "Measuring social distances" 9 : 299-308, 1925

      36 Talaska, C. A., "Legitimating Racial Discrimination: Emotions, not beliefs, best predict discrimination in a met-analysis" 21 : 263-296, 2008

      37 Kumaresan, J. A, "Knowledge and attitude of health workers towards leprosy in northwestern Botswana" 71 (71): 366-367, 1994

      38 Barkataki, P., "Knowldege and attitudes to leprosy among patients and community members : a comparative study in Uttar Pradesh India" 77 : 62-68, 2006

      39 Weiner, B., "Judgements of responsibility : A foundation for a theory of social conduct" Guilford 1995

      40 Ewhrudjakpor, C., "Health care providers knowledge as correlates of their attitudes towards leprosy sufferers in Nigeria" 2 (2): 115-120, 2008

      41 손애리,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연구 - 구조모형을 이용한 에이즈 낙인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23) : 31-56, 2008

      42 Corrigan, P., "Familiarity with and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ho have serious mental illness" 52 : 953-958, 2001

      43 Triandis, H. C.,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component of social attitudes" 68 : 420-430, 1964

      44 Bara. l J., "Effectiveness of training of basic health workers in leprosy control programme" 70 : 23-31, 1998

      45 Penn, D. L., "Dispelling the stigma of schizophrenia: What sort of information is best?" 2 (2): 567-578, 1994

      46 Angermeyer, M. C., "Determinents of the public’s preference for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schizophrenia" 48 : 663-668, 2003

      47 Link, B. G.,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and perceptions of how dangerous they are" 27 : 289-302, 1986

      48 Holmes, E., "Changing attitudes about schizophrenia" 25 (25): 447-456, 1999

      49 Corrigan, P., "Challenging two mental illness stigmas : Personal responsibility and dangerousness" 28 (28): 293-309, 2002

      50 Awofeso, N., "Appraisal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Nigerian nurses towards leprosy" 63 : 169-172, 1992

      51 Weiner, B.,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reactions to stigmas" 55 : 738-748, 1988

      52 Corrigan, P., "An Attribution Model of Public Discrimination toward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44 : 162-179, 2003

      53 Bogardus, E. S., "A Social Distance Scale" 17 : 265-271, 1933

      54 질병관리본부, "2011 감염병감시연보"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