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Creative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월의 연구 기간 ...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라는 주제로 총 12차시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44명 에게 3주간 적용하였다. 특히,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이로부터 9주 후에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창의적 사고 능력의 각 하위 요소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TEAM 수업이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수학불안 요소에 대한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논리 · 비판적 사고 및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의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 기반의 창의적 사고 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에서도 수학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와 더불어 창의성 발달을 위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이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We developed a 12 hour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containing 4 thematic m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We developed a 12 hour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containing 4 thematic modules that connect mathematical ideas to real-world applications such as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for a research period of 7 month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44 high school girls for 3 week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for this study. A pretest was administrated before the instruction, and the same test was administrated 9 weeks after the pre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subcomponent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It means that the use of the STEAM program is effective in developing high school girls’ pos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creative thinking. In addition, the use of the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based on mathematical knowledge. These results show that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should be used widely in high school to change students’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원,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의 효과" 교육연구원 31 (31): 105-119, 2015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 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15 (15): 129-153, 1997

      4 이경언,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원 2010

      5 오창환, "중학교 확률 단원에서 활용할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014 (2014): 251-259, 2014

      6 조석희,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한국영재학회 17 (17): 1-26, 2007

      7 한양대학교 과학철학교육위원회, "이공계학생을 위한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8

      8 최승배, "이공계 여학생 지원율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993-1004, 2003

      9 이승우,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35-55, 2013

      10 김준송,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 최정원,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E-textiles를 활용한 STEAM 교육의 효과" 교육연구원 31 (31): 105-119, 2015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 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15 (15): 129-153, 1997

      4 이경언,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원 2010

      5 오창환, "중학교 확률 단원에서 활용할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014 (2014): 251-259, 2014

      6 조석희,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한국영재학회 17 (17): 1-26, 2007

      7 한양대학교 과학철학교육위원회, "이공계학생을 위한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8

      8 최승배, "이공계 여학생 지원율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993-1004, 2003

      9 이승우,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35-55, 2013

      10 김준송,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2 신선미, "여학생의 이공계 진로선택과 직업세계 이행 성과" 한국교육학회 42 (42): 205-226, 2004

      13 윤지애, "어린이 디자인 창의력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49-164, 2013

      14 김은지, "스토리메이킹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이 초등 저학년의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6 (26): 147-162, 2015

      15 박경옥,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추론능력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와 그 차이에 관한 분석 –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7 (7): 101-116, 2003

      16 박선화,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7 이민희,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159-177, 2013

      18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19 김수진,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0 상경아, "수학 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연계 데이터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1 전미숙,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18 (18): 91-106, 2015

      22 조현정, "수학 기반 STEAM 교육 관점에서 학생들의 교과 융합 역량 분석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5 (45): 49-75, 2014

      23 김혜숙, "교육정보화 정책의 효과성 분석 : TIMSS 2007의 한국, 싱가포르,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209-234, 2010

      24 박정,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23-41, 2008

      25 민무숙, "공학분야 여성고급인적자원 개발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2

      26 권오남, "공간시각화 능력에서의 웹기반 프로그램과 지필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 (40): 4-88, 2002

      27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28 Torrance, E. P.,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la manual figural(streamlined) forms A &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2008

      29 박현주, "STEAM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및 현장활용도 향상 기본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30 이명숙,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12 (12): 75-94, 2013

      31 김미숙,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2 한혜숙,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27 (27): 523-545, 2013

      33 송미영,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46 (46): 99-122, 2015

      34 OECD, "PISA 2012 Results : Ready to learn : Students’ engagement, drive and self-beliefs(volume Ⅲ)" PISA, OECD Publishing 2013

      35 McLeod, D. B., "Handbook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575-596, 1992

      36 Goldin, G. A.,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59-72, 2002

      37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563-575, 1975

      38 김해규,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17 (17): 277-29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