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항도시의 지역산업을 활용한 일자리창출 사업의 실효성 비교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항도시의 지역산업 기반인 어묵 장인기술이라는 동일한 콘텐츠를 활용한 단일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과 도시재생 연계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 인터뷰, 사업 모니터링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분석모델로는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평가기준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연계할 수 있는 부분을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 사업을 위해서는 단일사업 형태보다 다양한 연계가 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일자리창출사업에 있어서 사후관리의 필요성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항도시의 지역산업 기반인 어묵 장인기술이라는 동일한 콘텐츠를 활용한 단일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과 도시재생 연계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의 비교분석...

      본 연구는 해항도시의 지역산업 기반인 어묵 장인기술이라는 동일한 콘텐츠를 활용한 단일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과 도시재생 연계사업 형태의 일자리창출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 인터뷰, 사업 모니터링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분석모델로는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평가기준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연계할 수 있는 부분을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 사업을 위해서는 단일사업 형태보다 다양한 연계가 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일자리창출사업에 있어서 사후관리의 필요성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stainable revitalization plan of job creating projec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creating projects of single program type and the job creating programs which are the par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the same content as the local fishery maker technology. Data were extracted by literature survey, interviews, and the project monitoring. The analytical model is evaluated using the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model, and the linkage between evaluation criteria is further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job creating program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can be linked more diversely than single program type, is more effective for sustainable jobs creating. And also the necessity of post management in job creating projects and utilizing local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stainable revitalization plan of job creating projec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creating projects of single program type and the job creating programs which are the parts of the urban regen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stainable revitalization plan of job creating projec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creating projects of single program type and the job creating programs which are the par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the same content as the local fishery maker technology. Data were extracted by literature survey, interviews, and the project monitoring. The analytical model is evaluated using the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model, and the linkage between evaluation criteria is further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job creating program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can be linked more diversely than single program type, is more effective for sustainable jobs creating. And also the necessity of post management in job creating projects and utilizing local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예비적 고찰
      • Ⅲ. SLEN 모델을 통한 사례분석
      • Ⅳ. 일자리창출 사업의 활성화 방안
      • Ⅴ. 맺음말
      • Ⅰ. 서론
      • Ⅱ. 예비적 고찰
      • Ⅲ. SLEN 모델을 통한 사례분석
      • Ⅳ. 일자리창출 사업의 활성화 방안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 관광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167-206, 2009

      2 함유근, "지역 사업의 지속 가능성 결정 요인 : SLEN 이론에 따른 국내 사례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0 (30): 125-149, 2008

      3 김예지, "지속가능한 산촌을 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1 (21): 25-38, 2017

      4 이원빈, "일자리 창출 중심의 지역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정부학회 8 : 422-449, 2012

      5 김승, "식민지시기 부산의 수산가공업과 수산가공품 현황" 부산경남사학회 (101) : 133-174, 2016

      6 김영훈, "부산지역 어묵 브랜드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4 (14): 143-155, 2008

      7 이왕건,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국토연구원 40-47, 2009

      8 윤주선, "도시재생사업 청년층 참여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9 한슬기, "도시재생사업 내 민간 비즈니스 참여와 역할 - 영국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주도적 디벨로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7 (17): 25-44, 2016

      10 김학실, "도시재생과정에서 마을기업의 역할" 경인행정학회 13 (13): 41-60, 2013

      1 김영수,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 관광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167-206, 2009

      2 함유근, "지역 사업의 지속 가능성 결정 요인 : SLEN 이론에 따른 국내 사례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0 (30): 125-149, 2008

      3 김예지, "지속가능한 산촌을 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1 (21): 25-38, 2017

      4 이원빈, "일자리 창출 중심의 지역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정부학회 8 : 422-449, 2012

      5 김승, "식민지시기 부산의 수산가공업과 수산가공품 현황" 부산경남사학회 (101) : 133-174, 2016

      6 김영훈, "부산지역 어묵 브랜드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4 (14): 143-155, 2008

      7 이왕건,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국토연구원 40-47, 2009

      8 윤주선, "도시재생사업 청년층 참여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9 한슬기, "도시재생사업 내 민간 비즈니스 참여와 역할 - 영국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주도적 디벨로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7 (17): 25-44, 2016

      10 김학실, "도시재생과정에서 마을기업의 역할" 경인행정학회 13 (13): 41-60, 2013

      11 김정호, "도시재생과 일자리창출" 한국건설관리학회 14 (14): 19-23, 2013

      12 박세훈,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사회적경제법인 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국토교통부 2014

      13 김란수, "도시 빈민 주거지 재생에서 주택협동조합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17-427, 2014

      14 Wheeler, D., "sustainable Livelihoods and Private Sector: How Development Agencies can Strengthen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s" School of Business, York University 2003

      15 영도구, "2017 대통전수방 전수창업지원프로그램 결과보고서" 2017

      16 영도구, "2016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실적 보고서 [전통이음 어묵기능인 취 창업 육성사업]"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62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