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석중 동요 / 동시 개작 양상 연구 - 1930년대 작품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daptation Pattern in Yoon Seok-joong's Children’s Songs & Poems - Based on a collection of works from the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4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윤석중의 1930년대 작품집을 대상으로 원작과 비교 분석하여 개작 양상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그의 문학적 특징과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윤석중은 ‘모든 것이 시...

      본 연구는 윤석중의 1930년대 작품집을 대상으로 원작과 비교 분석하여 개작 양상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그의 문학적 특징과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윤석중은 ‘모든 것이 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시인’이다. 1920·30년대 당대의 민요풍과 정형률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의 소재를 통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새로운 시풍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작은 필수적인 도구였다. 그는 동일 작품을 지속적으로 개작을 하면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한다. 가령, 의성어 의태어를 활용하여 사물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묘미와 분위기를 자아내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시어 개작과 연의 삭제와 추가 등을 통해 작품의 밀도를 높인다. 전체적인 맥락과 분위기 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어를 개작하고,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과격한 의미와 내용을 삭제하면서 어린이의 마음을 헤아리고 있다. 어른의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생기발랄한 동심의 눈으로 세계 / 대상을 바라보면서 작품의 완성도를 위해 노력을 기하고 있다.
      특히, 윤석중은 나라 잃은 현실 속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무엇을 주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당시 비극적 현실을 슬픔으로 나타내기보다 웃음과 위안을 주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윤석중은 사회·문화적 상황을 염두에 두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윤석중은 시대 변화에 따다 그때그때 적실하게 개작을 하면서 작품의 변화를 주고 다양한 방식과 실험으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Yoon Seok-joong's works in the 1930s were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s to examine the adapted works. Yoon Seok-joong is a poet who thought everything could be a poem. In the 1920s and 30s,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ev...

      In this study, Yoon Seok-joong's works in the 1930s were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s to examine the adapted works. Yoon Seok-joong is a poet who thought everything could be a poem. In the 1920s and 30s,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everyday materials and new poetry styles were planned to be created to escape from the folk songs and stereotypes of the time. Adapting songs and poems was an essential tool in this process. He continues to adapt the same work and builds his own world of work. For example, by using the onomatopoeia to express objects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it creates various flavors and atmospheres that can be felt in the poem, drawing the reader's interest and attention. It also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work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poem and the deletion and addition of the kite. The poem is adapted to harmonize with the overall context and atmosphere, and the child's mind is understood by removing radical meanings and content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child. Instead of looking at the world with the eyes of an adult, he is making efforts to complete the work by looking at the world and objects with the eyes of a lively childhood.
      In particular, Yoon Seok-joong shows what to give to children growing up in the reality of losing their country. He expressed the tragic reality of the time in a way that gave laughter and comfort rather than sadness. To this end, Yoon Seok-joong is revealing in a circumstantial wa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s such, Yoon Seok-joong changed his work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reated his own world of work in various ways and experi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원호, "한국아동문학 작가작품론 전편" 서문당 1991

      2 "중외일보"

      3 "조선일보"

      4 윤석중, "잃어버린 댕기" 계수나무회 1933

      5 이명옥, "윤석중의 동요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6 노경수, "윤석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제곤, "윤석중 문학을 돌아보다" 아동문학평론사 35 : 2010

      8 김수라, "윤석중 문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윤석중, "윤석중 동요집" 신구서림 1932

      10 윤석중, "윤석중 동요선" 박문서 1939

      1 노원호, "한국아동문학 작가작품론 전편" 서문당 1991

      2 "중외일보"

      3 "조선일보"

      4 윤석중, "잃어버린 댕기" 계수나무회 1933

      5 이명옥, "윤석중의 동요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6 노경수, "윤석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제곤, "윤석중 문학을 돌아보다" 아동문학평론사 35 : 2010

      8 김수라, "윤석중 문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윤석중, "윤석중 동요집" 신구서림 1932

      10 윤석중, "윤석중 동요선" 박문서 1939

      11 문선희, "윤석중 동요동시 연구"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12 김용희, "윤석중 동요 연구의 두 가지 과제" 한국아동문학학회 (10) : 2004

      13 김제곤, "윤석중 동시에 대한 재인식" 한국학연구소 (20) : 141-166, 2009

      14 김순아, "윤석중 동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15 윤석중, "어린이와 한평생" 범양사출판부 1985

      16 "어린이"

      17 "신소년"

      18 "신가정"

      19 "소년"

      20 진선희, "석동 윤석중의 동시 연구 : 슬픈 웃음과 낙천적 전망"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5 : 2006

      21 윤석중, "새싹의 벗 윤석중 전집(1-30권)" 웅진출판 1988

      22 "동아일보"

      23 김수경, "근대 창작 동요의 수용과 동심의 재구성 -1920~30년대 동요의 교과서 수용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361-402, 2009

      24 盧源浩, "尹石重 硏究 : 創作 童謠·童詩를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1-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4-1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re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 and Traslation's Institute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