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rom Reverence to Rape: The Treatment of Women in the Movies-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0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는 초기에 저작권 체결과 관련하여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당초 200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되기로 되어 있던 연구개시일은 저작권 협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2005년 6월 1일로 변경되게 되었다. 그전부터 사전 준비 작업을 진행하여 왔으나 본격적인 번역은 6월부터 시작되었고 중간보고서 제출 기한인 2005년 9월 30일까지는 전체 분량의 40퍼센트인 원문 160페이지까지의 번역을 완성하고 제출하였다. 2005년 12월 26일에는 중간보고서에 대한 평가결과가 번역자에게 통보되었다. 번역자는 평과결과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착안사항을 참고하여 기존에 번역된 내용을 수정함과 동시에 차후의 번역에도 그 제안사항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번역자는 연구년을 맞이하여 1월 23일에 미국 버지니아 주 Charlottesville 소재의 University ofVirginia로 출국하였고 그곳에서 번역작업에 더 집중적으로 몰두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 대학에서 연구하는 것이 번역작업에 가져다주는 이점 또한 많았다. 우선 도서관의 Media Center에 소장되어 있는 풍부한 영화 자료들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고전영화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원작에서 설명하고 있는 20년대와 30년대의 고전영화들을 직접 감상하고 확인하는 작업은 번역에 충실도를 더해주었다. 미국대학에서 머물면서 가졌던 또 하나의 혜택은 영화 강의를 청강하면서 그곳 영화 전공 교수들과 교류함을 통해 영화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키고 검토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봄학기에는 Sylvia Chong 교수의 "Theories of Film and Violence",Eric Lott 교수의 “Postwar American Film,"그리고 가을학기에는 Walter Korte교수의 "Film Aesthetics"라는 제목의 강의를 들으면서 많은 통찰력을 얻게 되었다. 특히 Walter Korte교수는 이 책의 저자인 Molly Haskell과 교분이 있었고 그녀가 버지니아의 리치몬드에서 자라난 버지니아 사람이며 그의 남편이 유명한 작가주의 영화비평가 Andrew Sarris라는 사실도 알려주었다. 번역자는 Molly Haskell과 이메일로 교분을 쌓게 되었고 그녀는 번역상의 문제점이나 질문들을 친절하게 답변해주었다. 400페이지가 되는 난해한 문체의 이론서를 번역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8월 말로 번역은 1차적으로 끝났지만 재교와 3교를 통해 난삽한 문장들을 윤문하고 영화 제목과 인명들을 통일하는 작업이 11월까지 진행되었다. 영화 시청을 통한 장면의 확인들도 번역 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중간평가 의견서에 개진된 주요 내용은 가독성을 높이라는 것과 각주에 대한 기준 설정, 그리고 원저자의 의도를 살릴 수 있는 문체를 사용하라는 것이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시된 제안 중에는 ‘--’를 사용한 부연 설명이나 괄호 속의 문장들을 문장 속에 녹여서 써주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제안을 반영하여 원작에 있는 ‘--’나 괄호 속 설명들은 될 수 있는 대로 문장 속에 통합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들이 의도하는 바는 문장의 흐름을 깨뜨리지 않고 재치 있는 부연 설명, 멋있는 표현들을 삽입하는 데 있으며 이것이 바로 글의 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원저자의 의도를 살려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서는 이것을 유지하였다. 문장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또 하나의 요인은 관계대명사나 접속사로 연결되는 긴 문장이다. 이러한 문장들도 원문의 성격과 의미를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끊어서 번역을 하였다. 그러나 원문의 문장을 끊어서 번역하는 것이 원작자의 의도를 충실하게 살리지 않는다는 번역이론도 있는 만큼 이러한 번역이 과연 훌륭한 번역이 될 수 있는지는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이번에 번역되는 이 저서의 경우 저자가 영화 잡지와 저널에 글을 써온 저널리스트이며 그의 스타일이 문화적 인유와 맛깔스러운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면 그것을 그대로 살려주는 것이 좋은 번역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영어 모국어화자들도 쉽게 읽는 책이 아닌 전문서적이므로 우리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무조건 쉽게 푸는 것이 좋은 번역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이 책을 읽게 될 우리나라의 독자 또한 적어도 영화와 문학,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독자일 것이다. 영화, 연극, 문학, 문화를 전공하는 학생, 교수, 지식인 등이 이 책의 잠재적 독자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각주를 붙이는 기준도 그에 따라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식에 속하는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한 각주는 자제하였다. 이 책이 미국의 역사적 사건, 사회적 배경과 변화가 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독자에게 생소한 내용, 영화사의 사건들, 문학적 인유(allusion)등에 초점을 맞추어서 각주를 붙이도록 노력하였다. 영화제목의 번역은 가장 힘든 부분 중의 하나이다.영화의 제목은 영화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영화의 내용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는 제목을 적절히 번역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도 직접 영화를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어 Takea Letter, Darling이라는 영화의 경우 “편지를 받아라”라는 뜻인지 “글자를 하나 골라라”라는 뜻인지 분명하지 않았다. 이 영화 자체는 구할 수가 없어서 볼 수 없었지만 Design for Living이라는 영화의 장면에서 사장이 비서에게 “편지를 불러 줄 테니 받아 적어라”는 뜻으로 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편지를 받아적어요>라고 번역하였다. 그러나 모든 고전영화를 볼 수는 없었기 때문에 IMDB(Internet Movie Data Base)에서 제공하는 시놉시스나 리뷰를 통해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거기에 따라 영화 제목을 번역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원제와 전혀 다르게 번역되어 소개된 영화 제목들이 많이 있다. 더글러스 서크의 Imitation of Life는 원제와 완전히 동떨어진 제목인 <슬픔은 그대 가슴에>로, Butch Cassidy and Sundance Kid는 <내일을 향해 쏴라>로 관객에게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소개된 번역제목이 잘 알려져 있을 경우는 그것을 따르도록 하였다. 존 카사베츠 감독의 A Woman Under the Influence는 우리 나라에 <영향 아래 있는 여자>라고 소개되어 그대로 따랐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주운전에 해당되는 영어 표현이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일 정도로 “Under the Influence”라는 말은 술에 취했다는 뜻이며 사실영화 속 여주인공도 알콜 중독에 의한 신경쇠약증을 앓고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의 The Man Who Knew Too Much는 <나는 비밀을 안다>로, To Catch a Thief는 <나는 결백하다>라는 엉뚱한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지만 일반인에게 알려진 그대로의 제목을 따랐다. 인명과 영화 제목의 경우 처음 등장할 때 괄호 속에 원문을 병기했으므로 혼란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중에 인덱스 작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인명의 경우에도 실제 발음보다는 우리나라에 소개된 발음을 따랐다. 그러나 Joan의 경우에는 실제 영어 발음이 “조운”에 가깝기 때문에 조운이라고 번역하였다. 또 다른 영어 이름인 Joanne은 “조앤”혹은 “조안”이라고 발음되기 때문에 구별을 위해서도 이렇게 하는 것이 필요했다. 영화배우와 감독의 이름이 생소한 경우 Walter Korte교수에게 자문을 구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간보고서의 평가에서 제안된 내용들 중에는 이 책이 미국 영화사를 섭렵하고 있으므로 영화의 연대표를 첨가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이 있었다. 책이 실제로 출판될 시점에서는 이러한 연대표 뿐 아니라 인덱스와 다른 참고 자료들도 첨부할 계획이다. 그리고 저자인 Molly Haskell여사는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고 있음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며 한국어판에 대한 서문을 써주기로 약속하기도 하였다. 오랜 기간 동안 운좋게도 여러 가지 좋은 조건 속에서 번역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색한 부분이나 개선해야 할 점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평가를 통해서 이러한 점이 지적된다면 그것 또한 반영하여 최선의 번역서로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
      번역하기

      본 과제는 초기에 저작권 체결과 관련하여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당초 200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되기로 되어 있던 연구개시일은 저작권 협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2005년 6월 1일로 변경되게 ...

      본 과제는 초기에 저작권 체결과 관련하여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 당초 200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되기로 되어 있던 연구개시일은 저작권 협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2005년 6월 1일로 변경되게 되었다. 그전부터 사전 준비 작업을 진행하여 왔으나 본격적인 번역은 6월부터 시작되었고 중간보고서 제출 기한인 2005년 9월 30일까지는 전체 분량의 40퍼센트인 원문 160페이지까지의 번역을 완성하고 제출하였다. 2005년 12월 26일에는 중간보고서에 대한 평가결과가 번역자에게 통보되었다. 번역자는 평과결과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착안사항을 참고하여 기존에 번역된 내용을 수정함과 동시에 차후의 번역에도 그 제안사항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번역자는 연구년을 맞이하여 1월 23일에 미국 버지니아 주 Charlottesville 소재의 University ofVirginia로 출국하였고 그곳에서 번역작업에 더 집중적으로 몰두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 대학에서 연구하는 것이 번역작업에 가져다주는 이점 또한 많았다. 우선 도서관의 Media Center에 소장되어 있는 풍부한 영화 자료들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고전영화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원작에서 설명하고 있는 20년대와 30년대의 고전영화들을 직접 감상하고 확인하는 작업은 번역에 충실도를 더해주었다. 미국대학에서 머물면서 가졌던 또 하나의 혜택은 영화 강의를 청강하면서 그곳 영화 전공 교수들과 교류함을 통해 영화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키고 검토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봄학기에는 Sylvia Chong 교수의 "Theories of Film and Violence",Eric Lott 교수의 “Postwar American Film,"그리고 가을학기에는 Walter Korte교수의 "Film Aesthetics"라는 제목의 강의를 들으면서 많은 통찰력을 얻게 되었다. 특히 Walter Korte교수는 이 책의 저자인 Molly Haskell과 교분이 있었고 그녀가 버지니아의 리치몬드에서 자라난 버지니아 사람이며 그의 남편이 유명한 작가주의 영화비평가 Andrew Sarris라는 사실도 알려주었다. 번역자는 Molly Haskell과 이메일로 교분을 쌓게 되었고 그녀는 번역상의 문제점이나 질문들을 친절하게 답변해주었다. 400페이지가 되는 난해한 문체의 이론서를 번역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8월 말로 번역은 1차적으로 끝났지만 재교와 3교를 통해 난삽한 문장들을 윤문하고 영화 제목과 인명들을 통일하는 작업이 11월까지 진행되었다. 영화 시청을 통한 장면의 확인들도 번역 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중간평가 의견서에 개진된 주요 내용은 가독성을 높이라는 것과 각주에 대한 기준 설정, 그리고 원저자의 의도를 살릴 수 있는 문체를 사용하라는 것이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시된 제안 중에는 ‘--’를 사용한 부연 설명이나 괄호 속의 문장들을 문장 속에 녹여서 써주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제안을 반영하여 원작에 있는 ‘--’나 괄호 속 설명들은 될 수 있는 대로 문장 속에 통합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들이 의도하는 바는 문장의 흐름을 깨뜨리지 않고 재치 있는 부연 설명, 멋있는 표현들을 삽입하는 데 있으며 이것이 바로 글의 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원저자의 의도를 살려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서는 이것을 유지하였다. 문장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또 하나의 요인은 관계대명사나 접속사로 연결되는 긴 문장이다. 이러한 문장들도 원문의 성격과 의미를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끊어서 번역을 하였다. 그러나 원문의 문장을 끊어서 번역하는 것이 원작자의 의도를 충실하게 살리지 않는다는 번역이론도 있는 만큼 이러한 번역이 과연 훌륭한 번역이 될 수 있는지는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이번에 번역되는 이 저서의 경우 저자가 영화 잡지와 저널에 글을 써온 저널리스트이며 그의 스타일이 문화적 인유와 맛깔스러운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면 그것을 그대로 살려주는 것이 좋은 번역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영어 모국어화자들도 쉽게 읽는 책이 아닌 전문서적이므로 우리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무조건 쉽게 푸는 것이 좋은 번역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이 책을 읽게 될 우리나라의 독자 또한 적어도 영화와 문학,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독자일 것이다. 영화, 연극, 문학, 문화를 전공하는 학생, 교수, 지식인 등이 이 책의 잠재적 독자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각주를 붙이는 기준도 그에 따라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식에 속하는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한 각주는 자제하였다. 이 책이 미국의 역사적 사건, 사회적 배경과 변화가 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독자에게 생소한 내용, 영화사의 사건들, 문학적 인유(allusion)등에 초점을 맞추어서 각주를 붙이도록 노력하였다. 영화제목의 번역은 가장 힘든 부분 중의 하나이다.영화의 제목은 영화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영화의 내용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는 제목을 적절히 번역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도 직접 영화를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어 Takea Letter, Darling이라는 영화의 경우 “편지를 받아라”라는 뜻인지 “글자를 하나 골라라”라는 뜻인지 분명하지 않았다. 이 영화 자체는 구할 수가 없어서 볼 수 없었지만 Design for Living이라는 영화의 장면에서 사장이 비서에게 “편지를 불러 줄 테니 받아 적어라”는 뜻으로 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편지를 받아적어요>라고 번역하였다. 그러나 모든 고전영화를 볼 수는 없었기 때문에 IMDB(Internet Movie Data Base)에서 제공하는 시놉시스나 리뷰를 통해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거기에 따라 영화 제목을 번역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원제와 전혀 다르게 번역되어 소개된 영화 제목들이 많이 있다. 더글러스 서크의 Imitation of Life는 원제와 완전히 동떨어진 제목인 <슬픔은 그대 가슴에>로, Butch Cassidy and Sundance Kid는 <내일을 향해 쏴라>로 관객에게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소개된 번역제목이 잘 알려져 있을 경우는 그것을 따르도록 하였다. 존 카사베츠 감독의 A Woman Under the Influence는 우리 나라에 <영향 아래 있는 여자>라고 소개되어 그대로 따랐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주운전에 해당되는 영어 표현이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일 정도로 “Under the Influence”라는 말은 술에 취했다는 뜻이며 사실영화 속 여주인공도 알콜 중독에 의한 신경쇠약증을 앓고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의 The Man Who Knew Too Much는 <나는 비밀을 안다>로, To Catch a Thief는 <나는 결백하다>라는 엉뚱한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지만 일반인에게 알려진 그대로의 제목을 따랐다. 인명과 영화 제목의 경우 처음 등장할 때 괄호 속에 원문을 병기했으므로 혼란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중에 인덱스 작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인명의 경우에도 실제 발음보다는 우리나라에 소개된 발음을 따랐다. 그러나 Joan의 경우에는 실제 영어 발음이 “조운”에 가깝기 때문에 조운이라고 번역하였다. 또 다른 영어 이름인 Joanne은 “조앤”혹은 “조안”이라고 발음되기 때문에 구별을 위해서도 이렇게 하는 것이 필요했다. 영화배우와 감독의 이름이 생소한 경우 Walter Korte교수에게 자문을 구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간보고서의 평가에서 제안된 내용들 중에는 이 책이 미국 영화사를 섭렵하고 있으므로 영화의 연대표를 첨가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이 있었다. 책이 실제로 출판될 시점에서는 이러한 연대표 뿐 아니라 인덱스와 다른 참고 자료들도 첨부할 계획이다. 그리고 저자인 Molly Haskell여사는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고 있음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며 한국어판에 대한 서문을 써주기로 약속하기도 하였다. 오랜 기간 동안 운좋게도 여러 가지 좋은 조건 속에서 번역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색한 부분이나 개선해야 할 점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평가를 통해서 이러한 점이 지적된다면 그것 또한 반영하여 최선의 번역서로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원저자 및 번역대상과제소개 2. 번역연구 수행내용 『숭배에서 강간까지』번역본

      1. 원저자 및 번역대상과제소개
      2. 번역연구 수행내용
      『숭배에서 강간까지』번역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