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벼 친환경재배에서 왕우렁이의 잡초방제효과 및 피해 = Weedy Control Efficacy and Injury of Rice Plant by Golden Apple Snail(Pomacea canaliculata)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43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벼 친환경재배에서 왕우렁이의 크기, 투입시기 및 투입량에 따른 잡초방제효과와 벼에 대한 피해율을 구명하여 가장 적합한 잡초관리법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이앙 후 5, 10 및 15...

      본 연구는 벼 친환경재배에서 왕우렁이의 크기, 투입시기 및 투입량에 따른 잡초방제효과와 벼에 대한 피해율을 구명하여 가장 적합한 잡초관리법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이앙 후 5, 10 및 15일에 투입한 왕우렁이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는 각각 98%, 89% 및 58%로서 투입시기가 늦어질수록 잡초방제 효과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왕우렁이 단독처리보다는 쌀겨와 체계처리시 잡초방제 효과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우렁이 투입시기가 늦어질수록 방제가 어려운 잡초는 여뀌, 피,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등이었다.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해 적합한 왕우렁이 중패의 투입시기 및 투입량은 이앙 후 5일 이내에는 3㎏ 10a-1, 이앙 후 10일에는 6~7㎏이었고 이앙 후 15일에는 7㎏이었다. 따라서 왕우렁이 투입시기가 늦어질수록 투입량을 늘려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왕우렁이 치패의 투입시기 및 투입량은 써레질직후에 1㎏(2,000개)10a-1이었으며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미국외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 등 모두100% 방제가 가능하였다. 왕우렁이 중패(3㎏ 10a-1)에 의한 벼의 하위엽 및 분얼경에5~7% 정도 피해가 나타났으며, 치패 1㎏(2,000개) 10a-1의 경우는 묘령에 관계없이 벼의 하위엽에 1%정도의 피해를 보였다. 그러나 왕우렁이의 크기나 투입량별로 처리한 후 조사한 벼의 초장과 분얼수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친환경벼 재배지에서 잡초방제효과, 벼 피해율 및 왕우렁이 비용 등을 고려할 때 왕우렁이 치패 1㎏ 10a-1(2,000개)를 써레질 직후에 투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best method for weed management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rough the study on the effect of weed control and injury levels of rice plants as affected by size, input time, and input a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best method for weed management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rough the study on the effect of weed control and injury levels of rice plants as affected by size, input time, and input amount of golden apple snail (GAS). The efficacy of weed control as affected by GAS when applied at 5, 10, and 15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was 98, 89, and 58%, respectively. The efficacy of weed control had declined as late the input time of GAS. On the other hand, the efficacy of weed control as affected by rice bran followed by GAS treatment was higher than by GAS treatment alone. Weed species such as Persicaria hydropiper, Echinochloa crus-galli,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were not completely controlled by GAS when applied late. Input amount and time of adult GAS (70 days after hatching) for effective weed control were 3 ㎏ 10a-1 at 5 DAT, 6-7 ㎏ 10a-1 at 10 DAT, and 7 ㎏ 10a-1 at 15 DAT. Input time and amount of young GAS (35 days after hatching) for effective weed control were 0 day after harrow (DAH) and 1 ㎏ 10a-1, respectively. The young GAS when applied 0 DAH at 1 ㎏ 10a-1 provided 100% control of P. hydropiper, E. crus-galli, S. juncoides, M. vaginalis, Ludwigia prostrata, Eleocharis kuroguwai, Sagittaria trifolia and Cyperus difformis. The rice foliar injury caused by adult (3 ㎏ 10a-1) and young (1 ㎏ 10a-1) GAS were 5-7% and 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ce injury by size and input amount of GAS on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young GAS when applied 1 ㎏ 10a-1 at 0day after harrow was the best method for weed management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섭, "친환경농업기술을 이용한 벼 재배의 기술체계 및 경제성. 오리, 왕우렁이를 중심으로" 9 (9): 69-81, 2001

      2 김도익, "전남지역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의 발생생태 및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6 (46): 109-115, 2007

      3 김희동, "우렁이 투입에 의한 논잡초 방제효과" 83-90, 1998

      4 이상범, "왕우렁이(apple snails) 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 21 (21): 8-, 2002

      5 정순재, "왕우렁이(Ampullarius insularus)의 섭식․생태 및 논 잡초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 7 (7): 169-178, 1999

      6 김중영, "왕우렁이 양식" 오성출판사 25-29, 1993

      7 문영훈, "벼 재배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17 (17): 319-323, 1998

      8 전남농업기술원, "벼 유기재배 첫걸음" 115-, 2009

      9 농업과학기술원, "벼 유기재배 가이드 북"

      10 平井剛夫, "スクミリンゴガイの發生と分布擴大" 43 (43): 34-37, 1989

      1 박주섭, "친환경농업기술을 이용한 벼 재배의 기술체계 및 경제성. 오리, 왕우렁이를 중심으로" 9 (9): 69-81, 2001

      2 김도익, "전남지역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의 발생생태 및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6 (46): 109-115, 2007

      3 김희동, "우렁이 투입에 의한 논잡초 방제효과" 83-90, 1998

      4 이상범, "왕우렁이(apple snails) 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 21 (21): 8-, 2002

      5 정순재, "왕우렁이(Ampullarius insularus)의 섭식․생태 및 논 잡초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 7 (7): 169-178, 1999

      6 김중영, "왕우렁이 양식" 오성출판사 25-29, 1993

      7 문영훈, "벼 재배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17 (17): 319-323, 1998

      8 전남농업기술원, "벼 유기재배 첫걸음" 115-, 2009

      9 농업과학기술원, "벼 유기재배 가이드 북"

      10 平井剛夫, "スクミリンゴガイの發生と分布擴大" 43 (43): 34-37, 1989

      11 Brmbeo-Tuburan, I., "Use of the golden snail, cassava, and maize as feeds for the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in ponds" 131 : 91-100, 1995

      12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STAT Users Guide, Version 7. Electronic Version"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Weed&Turfgrass Science</br>외국어명 : Weed&Turfgrass Science
      2012-12-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