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의 실태와 설명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한국복지 패널 청소년 연구대상자 512명의 7차 패널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여부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3012
2015
-
300
학술저널
29-5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의 실태와 설명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한국복지 패널 청소년 연구대상자 512명의 7차 패널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여부에 대...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의 실태와 설명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한국복지 패널 청소년 연구대상자 512명의 7차 패널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여부에 대한 변인, 청소년의 저소득가구 여부, 개인, 가족 학교 관련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시도 행위의 경우, 남녀간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살생각의 경우, 남자 청소년은 무망감이 높고,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고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더 많았다. 여자 청소년은 무망감이 높고, 위축되고,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고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더 많았다. 넷째, 자살시도의 경우는, 남자 청소년은 더 우울하고 부모가 감독을 덜하고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가능성이 높았고, 여자 청소년은 위축되고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고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시도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남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과 정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 저소득층 가구의 박탈-우울-불화 간 상호작용에 대한 종단적 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을 통한 신빈곤(New Poverty)의 불평등모형 탐색-
복지지위가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와 정신건강 간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