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논의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 An examination on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matter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바람직한 삶을 위한 도덕규범과 가치문제와 더불어, 인성교육, 민 주시민 교육, 통일교육, 국가안보교육 등을 핵심영역으로 규정하며 이러한 사회과학적 문제들에 대해 ``학제적 접근``을 한다. 이에 대해 도덕과 교육의 성격에 대한 정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에 관련된 쟁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교육학 특히 교육철학의 논의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육철학이 도덕과 교육과 어떻게 밀접하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학제적 접근``을 고찰하며, 도덕과 교육과 교육학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제Ⅲ장에서는 후기 허스트의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의 개념에 비추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제Ⅳ장에서는 도덕과 보다는 각과 교육에서 가르칠 수밖에 없는 가치 영역으로서 ``인륜적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제Ⅴ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에서 정치교육이나 민주시민교육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번역하기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바람직한 삶을 위한 도덕규범과 가치문제와 더불어, 인성교육, 민 주시민 교육, 통일교육, 국가안보교육 등을 핵심영역으로 규정하며 이러한 사회과학적 문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바람직한 삶을 위한 도덕규범과 가치문제와 더불어, 인성교육, 민 주시민 교육, 통일교육, 국가안보교육 등을 핵심영역으로 규정하며 이러한 사회과학적 문제들에 대해 ``학제적 접근``을 한다. 이에 대해 도덕과 교육의 성격에 대한 정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에 관련된 쟁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교육학 특히 교육철학의 논의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육철학이 도덕과 교육과 어떻게 밀접하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학제적 접근``을 고찰하며, 도덕과 교육과 교육학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제Ⅲ장에서는 후기 허스트의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의 개념에 비추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제Ⅳ장에서는 도덕과 보다는 각과 교육에서 가르칠 수밖에 없는 가치 영역으로서 ``인륜적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제Ⅴ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에서 정치교육이나 민주시민교육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7th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claim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combining several different disciplines. But it could distort moral education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dentity problem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clarifying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2, the concept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discussed. The core of moral education is not the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sciences, but ``moral virtues and norms``.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an be clarified by the help of the theory of education, especially by the help of theory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3,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is reinterpreted in light of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suggested by the latter Hirst. The latter Hirst argues that moral education is essentially education in the conduct of a rationally fulfilling life by initiation into an ever developing web of social practices. In the chapter 4, we examine ``the ethical areas`` of moral education, in contrast with the narrow moral areas. Moral edu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narrow moral goods, but also the wider ethical goods. In the chapter 5, we discuss the problem whether the area of political education need to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or not. I argue that politic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moral education, discussing what kinds of virtues and values need to be taught in moral education.
      번역하기

      The 7th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claim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combining several different disciplines. But it could distort moral education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

      The 7th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claim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combining several different disciplines. But it could distort moral education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dentity problem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clarifying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2, the concept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discussed. The core of moral education is not the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sciences, but ``moral virtues and norms``.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an be clarified by the help of the theory of education, especially by the help of theory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3,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is reinterpreted in light of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suggested by the latter Hirst. The latter Hirst argues that moral education is essentially education in the conduct of a rationally fulfilling life by initiation into an ever developing web of social practices. In the chapter 4, we examine ``the ethical areas`` of moral education, in contrast with the narrow moral areas. Moral edu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narrow moral goods, but also the wider ethical goods. In the chapter 5, we discuss the problem whether the area of political education need to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or not. I argue that politic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moral education, discussing what kinds of virtues and values need to be taught in moral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은숙, "후기 허스트의 도덕교육론 고찰: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서의 도덕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17 (17): 163-186, 2006

      2 홍은숙, "지식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9

      3 홍은숙, "자유주의 사회에서의 시민교육: 공적 영역과 비공적 영역의 이중언어교육"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Peters, R.S.,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3

      5 유재봉, "영미 교육철학의 동향에 나타난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 탐색" 교육철학회 87-110, 2004

      6 차우규 외,"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연구자료 ORM 2005-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7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수정?보완 연구. 연구보고 CRC 2006-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5-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b

      9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연구보고 CRC 2005-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0 홍은숙, "교육의 준거점으로서의 ‘사회적 실제’ 개념의 재음미" 교육철학회 217-238, 2004

      1 홍은숙, "후기 허스트의 도덕교육론 고찰: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서의 도덕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17 (17): 163-186, 2006

      2 홍은숙, "지식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9

      3 홍은숙, "자유주의 사회에서의 시민교육: 공적 영역과 비공적 영역의 이중언어교육"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Peters, R.S.,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3

      5 유재봉, "영미 교육철학의 동향에 나타난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 탐색" 교육철학회 87-110, 2004

      6 차우규 외,"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연구자료 ORM 2005-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7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수정?보완 연구. 연구보고 CRC 2006-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5-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b

      9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연구보고 CRC 2005-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0 홍은숙, "교육의 준거점으로서의 ‘사회적 실제’ 개념의 재음미" 교육철학회 217-238, 2004

      11 홍은숙,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7

      12 Haberman, B.D., "What is the content of educ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28 (28): 183-189, 1994

      13 Green, T.F., "Walls: Education in communities of text and liturgy" Unpublished manuscript 2004

      14 Green, T.F., "Voices: The educational formation of conscienc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9

      15 Miller, D., "Virtues, practices and justic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45-264, 1994

      16 Hong,E, "Thinking of civic education in Korea: The opposite spillover problem of liberalism, Philosophy of Education 2004, Urbana: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2005, pp.118-126."

      17 Hirst, P. H., "The demands of moral education: reasons, virtues, and practices, Education in morality" Routledge 105-117, 1999

      18 Arendt, 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19 Tomasi, J., "Liberalism beyond justice: Citizens, society, and the boundaries of political the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20 Hirst, P.H., "Knowledge and curriculum" Routledge & Kegan Paul 1974

      21 Rawls, J., "Justice as fairne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22 Williams, B., "Ethics and the limits of philosoph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23 Hirst,P.H, "Educational aims: Their nature and content”, Philosophy of Education 1991, Normal. Illinois: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1992, pp.40-59."

      24 Hirst, P.H.,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s, Beyond liberal education: Essays in honour of P.H. Hirst" Routledge 184-199, 1993

      25 Gutmann, A., "Democratic educ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26 McPeck, J. E.,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St. Martin's Press 1981

      27 Galston, W., "Civic Education in the Liberal State, Philosophy of Education" Routledge 44-56, 1998

      28 MacIntyre, A,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2nd e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4

      29 Rawls, J.,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30 교육부, ""고등학교교육과정(Ⅰ).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4]""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