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코드 난독화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 가지는 회사의 기술이 쉽게 복사되는 것을 막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불법적으로 침입하려는 프로그램을 막기 위함이다. 코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11414
2008
-
Software ; Code Obfuscation ; Reverse Engineering ; Piracy Protection ; 소프트웨어 ; 코드 난독화 ; 역공학 ; 침해 방지
학술저널
219-228(1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코드 난독화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 가지는 회사의 기술이 쉽게 복사되는 것을 막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불법적으로 침입하려는 프로그램을 막기 위함이다. 코드 ...
일반적으로 코드 난독화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 가지는 회사의 기술이 쉽게 복사되는 것을 막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불법적으로 침입하려는 프로그램을 막기 위함이다. 코드 난독화는 원래 코드를 변화시켜서 읽기 어렵게 하거나 분석하기 어렵게 만드는 작업이다. 난독화 작업 이후에 원래 코드는 더 복잡한 형태를 지녀 역엔지니어링으로 분석당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서 역엔지니어링 과정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코드 난독화로 완벽하게 코드를 보호할 수는 없지만 투입되는 비용에 비해서 코드를 보호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복원력과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Collberg, C., "Watermarking, Tamperproofing, and Obfuscation: Tools for Software Protection" 28 : 735-746, 2002
2 Wang, C., A, "Security Architecture of Survivability Mechanisms" University of Virginia 2000
3 Wroblewski, G., "General Method of Program Code Obfuscation" Wroclaw University of Technology, Institute of Engineering Cybernetics 2002
4 Collberg, C., "A Taxonomy of Obfuscating Transformation" University of Auckland 1997
1 Collberg, C., "Watermarking, Tamperproofing, and Obfuscation: Tools for Software Protection" 28 : 735-746, 2002
2 Wang, C., A, "Security Architecture of Survivability Mechanisms" University of Virginia 2000
3 Wroblewski, G., "General Method of Program Code Obfuscation" Wroclaw University of Technology, Institute of Engineering Cybernetics 2002
4 Collberg, C., "A Taxonomy of Obfuscating Transformation" University of Auckland 1997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익명성을 제공하는 Blind Ticket 기반 AAA 기술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 탈락 (기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 | 0.64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