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신기진, "협력학습으로서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정서장애아의 또래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공주 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박연숙,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또래수용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전유영,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5 (25): 125-151, 2007
5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 교육원 2000
6 유장순, "특수학교의 미술교과 시간에 일반학생과의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24, 2007
7 이소현, "특수아동교육-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지침서. 서울: 학지사"
8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263-286, 2006
10 배성편,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25, 2006
1 이소현, ""활동-중심의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97-122, 2003
2 신기진, "협력학습으로서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정서장애아의 또래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공주 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박연숙,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또래수용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전유영,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5 (25): 125-151, 2007
5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 교육원 2000
6 유장순, "특수학교의 미술교과 시간에 일반학생과의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24, 2007
7 이소현, "특수아동교육-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지침서. 서울: 학지사"
8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263-286, 2006
10 배성편,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25, 2006
11 김수연, "통합된 놀이프로그램의 실제" 1 : 2000
12 정은영, "통합 유치원에서의 사회극놀이 활동이 3세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3 (3): 125-145, 2004
13 이민주, "초등학교 일반학급 아동과 학부모의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 아동 수용 태도 비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4 신현기, "정신지체아 교수방법론" 교육과학사 2004
15 신현기, "전환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유․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적 능력 측정에 관한 소고 (Walker-McConnell의 관점을 중심으로)" 2000
16 김은주,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협동학습 중심의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2 : 93-122, 2001
17 보건복지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2007
18 황을숙,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17 (17): 199-216, 2002
19 교육인적자원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 여성가족부, "장애아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1 Odom, S., "장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실제지침을 중심으로" 2007
22 원종례,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47-81, 2007
23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급식․간식식단 및 요리활동자료" 교육인적자 2004
24 윤현희,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271-290, 2005
25 이경주, "유아의 수학능력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4
26 오영희,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젝트의 개발 및 적용연구" 24 : 179-201, 2001
27 신은수, "유아교육의 교수방법으로서 협동학습 활동이 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13 (13): 133-149, 1993
28 덕성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유아 영양과 요리 활동" 창지사 2006
29 이여순, "요리활동이 다운증후군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7집 : 57-71, 2005
30 유수연,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1 이은선, "요리활동 중심의 집단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41-54, 2009
32 신은수, "영․유아를 위한 영양과 건강 교육" 창지사 2009
33 양정혜, "실과교과 관련 방과후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 아동의 식생활 태도 변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63-182, 2010
34 유수옥,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연구" 18 (18): 303-318, 1998
35 Kammi, C., "물리적 지식 활동-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과학교육" 창지사 1990
36 Johnson, J. E.,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37 원계선, "그림책을 이용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장애 수용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1 (11): 447-466, 2004
38 유수옥, "구조적놀이 중재가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39 Reid, J., "교사를 위한 소집단 활동 운영 방법" 정민사 1999
40 Degrella, L.,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orthopedic and sensory disabilities" 16 : 3-11, 1984
41 Kirk, J., "Young chefs: Classroom cookery is simplicity itself with our project file to hand" 72 (72): 31-38, 1995
42 Wing-Yi Cheng, R., "When high achievers work in the same group: The roles of group heterogeneity and processes in project-based learning" 78 (78): 205-221, 2008
43 Larson, C. O., "Verbal 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16 : 289-295, 1984
44 Schmitz, M., "Towards effective partnerships in a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ask" 78 (78): 581-596, 2008
45 Oortwiin, M. B., "The impact of a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pupils' popularity, non-cooperativeness, and interethnic bias in multiethnic elementary schools" 28 (28): 211-221, 2008
46 Bricker, D., "The challenge of inclusion" 19 : 179-194, 1995
47 Meyen, E., "Strategies for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Love Publishing Company 1996
48 Favazza, P. C.,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of kindergattenage children toward people with disablities" 63 (63): 405-418, 1997
49 Hains, A. H., "Planning school transitions: Family & professional collaboration" 12 : 108-115, 1988
50 Arends, R. I., "Learning to teach(3rd ed.)" McGraw Hill, Inc. 1994
51 Acton, H. M., "Interaction and performance with in cooperative groups: effects on nonbandicapped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ir mildly mentally retarded peers" 93 : 16-23, 1988
52 Bruder, M., "Inclusion of infants and toddlers: Outcomes and ecology.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Focus on chang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1
53 Pate-Clevenger, R, "Improvement of off-task behavior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Saint Xavier University 2008
54 Tan, I. G. C., "Group investigation effects on achivement, motivation, and perceptions of students in Singapore" 100 (100): 142-154, 2007
55 Webb, N. M., "Group composition, group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small groups" 74 (74): 475-484, 1982
56 Salend, S. J.,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al successful mainstreaming program" 50 (50): 409-416, 1984
57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2nd ed.)" Ablex 2000
58 Lipsky, D. K., "Education reform and early childhood inclusion. in: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Focus on change" Paul H. Brookes 2001
59 Jolliffe, W.,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Putting it into practice" Paul Chapman Publishing 2007
60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4
61 Sapon-Shevin, M., "Cooperative learning in inclusive classrooms: Learning to become a community" 12 (12): 8-11, 1991
62 Esposito, B. B., "Changing attitudes of preschool children toward handicapped persons" 49 : 361-363,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