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이해에 관한 중세의 두 지평 -- 생명의 실체성과 자아형성의 원리 -- (프리프린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5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있어서 ‘영혼’의 개념이 어떠한 중요성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밝히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중세의 ‘영혼개념’이 오늘날 여전히 학문적인 근거를 충분히 가질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 제 1장에서는 근․현대 철학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영혼 개념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문제제기의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크게 중세의 영혼개념을 비판하는 입장과 긍정 수용하는 입장으로 요약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궁극적으로 ‘영혼의 개념’이 학문적인 근거를 가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들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가를 밝혀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출발점으로 하여 제 2 장과 제 3 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를 주된 근거로 하여 논하고 있다. 제 2 장에서는 ‘영혼의 개념’이 ‘생명’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전개함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질 수밖에 없는 것임을 밝히면서,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이 가진 의미에 대해 ‘생명의 유기체적인 통일성의 원리’와 ‘생명의 위계에 대한 가능근거’로서 밝히고 있다. 제 3 장 에서는 ‘영혼이 자아(의식)의 형성원리’라는 측면에서 영혼의 본질적인 기능 혹은 역할 등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우선 영혼이란 사유하는 주체로서의 정신임을 밝히고, ‘일종의 순수한 사유형식’과도 같은 영혼이 ‘이해행위’를 통해서 존재론적인 자기동일성 (정신적 실존, 자아의 내용)을 획득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내면성’과 ‘정신성’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을 확보함으로 ‘자아’라는 근․현대적인 개념이 중세의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의 실재를 지칭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내용은 자연히 중세철학의 ‘영혼에 관한 사유’가 근․현대철학의 사유의 모체가 되고 있음을 밝혀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있어서 ‘영혼’의 개념이 어떠한 중요성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밝히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중세의 ‘영혼개념’이 오늘날 여전히 학문적인 근거...

      본 논문의 목적은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있어서 ‘영혼’의 개념이 어떠한 중요성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밝히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중세의 ‘영혼개념’이 오늘날 여전히 학문적인 근거를 충분히 가질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 제 1장에서는 근․현대 철학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영혼 개념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문제제기의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크게 중세의 영혼개념을 비판하는 입장과 긍정 수용하는 입장으로 요약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궁극적으로 ‘영혼의 개념’이 학문적인 근거를 가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들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가를 밝혀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출발점으로 하여 제 2 장과 제 3 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를 주된 근거로 하여 논하고 있다. 제 2 장에서는 ‘영혼의 개념’이 ‘생명’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전개함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질 수밖에 없는 것임을 밝히면서,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의 개념’이 가진 의미에 대해 ‘생명의 유기체적인 통일성의 원리’와 ‘생명의 위계에 대한 가능근거’로서 밝히고 있다. 제 3 장 에서는 ‘영혼이 자아(의식)의 형성원리’라는 측면에서 영혼의 본질적인 기능 혹은 역할 등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우선 영혼이란 사유하는 주체로서의 정신임을 밝히고, ‘일종의 순수한 사유형식’과도 같은 영혼이 ‘이해행위’를 통해서 존재론적인 자기동일성 (정신적 실존, 자아의 내용)을 획득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내면성’과 ‘정신성’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을 확보함으로 ‘자아’라는 근․현대적인 개념이 중세의 ‘정신적인 실재’로서의 영혼의 실재를 지칭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내용은 자연히 중세철학의 ‘영혼에 관한 사유’가 근․현대철학의 사유의 모체가 되고 있음을 밝혀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 vut de notre étude est d'éclairer l'importance de la notion de l'âme dans la compréhension sur l'homme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et d'articuler cette notion peut avoir le fondement scientifique dans notre temps. Dans le premier chapitre notre étude présente les plusières pensées des philosophes modernes en face de la pensé médiévale comme problèmatique. Cette problèmatique nous fait manifester les conditions pour que la notion de l'âme peut avoir un fondement scientifique. A partire cette problèmatique dans le deuxième et troisième chapitres nous nous articulons autours des pensées d'auguistin et de Thomas d'Aquin. Dans le deuxième chapitre en éclairent que la notion de l'âme est inévitablement demendée à la pensée métaphysique sur la vie, notre étude argumente la signification de l'â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comme 'principe de l'unité organique de la vie' et comme 'le fondement du degret de la vie'. Dans le chapitre troisième notre étude argumente sur la fontion ou le rôle essentiel de l'â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constitution de la conscience de soi'. D'abord notre étude aurgument que l'âme est le sujet de la pensée, puis cette forme pure de la pensée peut avoir l'existence spirituelle comme le contenut de sa conscience de soi par l'act de la connaissance. Dans cette argumentation, le point important est que en établissant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t de 'la spiritualité', notre étude éclaire la vérité que la notion de 'la conscience de soi' à la philosophie moderne ou contemporaine dégine l'âme comme réalité spirituelle à la philosophie médiévale. Et naturellement cette étude nous montre que la pensée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sur l'âme est le fondement même de la pensée à la philosophie moderne ou contemporaine.
      번역하기

      Le vut de notre étude est d'éclairer l'importance de la notion de l'âme dans la compréhension sur l'homme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et d'articuler cette notion peut avoir le fondement scientifique dans notre temps. Dans le premier chapitre not...

      Le vut de notre étude est d'éclairer l'importance de la notion de l'âme dans la compréhension sur l'homme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et d'articuler cette notion peut avoir le fondement scientifique dans notre temps. Dans le premier chapitre notre étude présente les plusières pensées des philosophes modernes en face de la pensé médiévale comme problèmatique. Cette problèmatique nous fait manifester les conditions pour que la notion de l'âme peut avoir un fondement scientifique. A partire cette problèmatique dans le deuxième et troisième chapitres nous nous articulons autours des pensées d'auguistin et de Thomas d'Aquin. Dans le deuxième chapitre en éclairent que la notion de l'âme est inévitablement demendée à la pensée métaphysique sur la vie, notre étude argumente la signification de l'â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vie' comme 'principe de l'unité organique de la vie' et comme 'le fondement du degret de la vie'. Dans le chapitre troisième notre étude argumente sur la fontion ou le rôle essentiel de l'âme en tant que 'principe de la constitution de la conscience de soi'. D'abord notre étude aurgument que l'âme est le sujet de la pensée, puis cette forme pure de la pensée peut avoir l'existence spirituelle comme le contenut de sa conscience de soi par l'act de la connaissance. Dans cette argumentation, le point important est que en établissant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t de 'la spiritualité', notre étude éclaire la vérité que la notion de 'la conscience de soi' à la philosophie moderne ou contemporaine dégine l'âme comme réalité spirituelle à la philosophie médiévale. Et naturellement cette étude nous montre que la pensée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sur l'âme est le fondement même de la pensée à la philosophie moderne ou contempora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론
      1. 문제제기 : 전통적 영혼개념2)에 대한 근․현대 철학의 두 경향
      2. 중세의 영혼에 관한 '형이상학적 필연성'과 '생명의 원리'
      2-1. ‘생명의 원리’와 ‘유기체’ 그리고 ‘생명의 위계’
      2-2. 개별성의 원리인 영혼
      3. 영혼의 자기이해와 의식형성의 원리로서의 영혼
      3-1. 영혼의 ‘자기 인식’
      3-2. 내명성과 정신적 실재
      결론
      참고 문헌
      번역하기

      서론 1. 문제제기 : 전통적 영혼개념2)에 대한 근․현대 철학의 두 경향 2. 중세의 영혼에 관한 '형이상학적 필연성'과 '생명의 원리' 2-1. ‘생명의 원리’와 ‘유기체’ 그리고 ...

      서론
      1. 문제제기 : 전통적 영혼개념2)에 대한 근․현대 철학의 두 경향
      2. 중세의 영혼에 관한 '형이상학적 필연성'과 '생명의 원리'
      2-1. ‘생명의 원리’와 ‘유기체’ 그리고 ‘생명의 위계’
      2-2. 개별성의 원리인 영혼
      3. 영혼의 자기이해와 의식형성의 원리로서의 영혼
      3-1. 영혼의 ‘자기 인식’
      3-2. 내명성과 정신적 실재
      결론
      참고 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