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과 영국 바쓰 농민시장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내는 데 있다. 두 농민시장은 소재지 국가의 상이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65004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97(5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과 영국 바쓰 농민시장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내는 데 있다. 두 농민시장은 소재지 국가의 상이함...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과 영국 바쓰 농민시장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내는 데 있다. 두 농민시장은 소재지 국가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았다. 주요 공통점은 양질의 지역산 먹거리의 제공과 그에 따른 농민의 자부심, 슈퍼마켓보다 비싼 가격이지만 판매인과 소비자 모두로부터 인정받는 생산물, 판매인과 시장관리인들의 높은 직업만족도와 그 원천으로서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교류, 농민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토요농민시장 등이었다. 이처럼 공통점이 많으면서도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이 판매인의 입장보다는 소비자에게 최상의 지역산 농산물을 제공하는 일에 관심이 더 많은 데 비해 바쓰 농민시장은 소비자보다는 판매인의 자립과 지속가능성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 성수기 팜스프링스 농민시장의 주된 소비자가 추위를 피해 이주해 온 계절적 유동인구라는 사실은 바쓰 농민시장의 지역소비자 집단과는 다른 점이었다. 바쓰 농민시장과는 달리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에서는 저소득층의 농민시장 참여를 촉진하는 제도적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두 시장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팜 스프링스 농민시장과 바쓰 농민시장의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미국과 영국 농민시장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례 연구의 지속적인 시도와 성과의 축적은 양국의 농민시장에 내재된 특징들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both palm springs farmers’ market in the US and bath farmers’ market in the UK respectively and deriv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much more common features than differen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both palm springs farmers’ market in the US and bath farmers’ market in the UK respectively and deriv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much more common features than difference in these two farmers’ markets, even thought they were located in different countries. Main common features were provision of high quality local food and farmers’ pride in it, a recognized produce from both vendors and clients notwithstanding its more expensive price than that sold at supermarkets, high job satisfaction of vendors and market managers and their direct interaction with consumers as its source, continued growth of farmers’ markets, and Saturday farmers’ market. I could find out that there was also difference between palm springs farmers’ market and bath farmers’ market together with many things in common. The former was more interested in providing consumers with best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an vendors’ interest. In contrast, the latter was more interest in vendors’ financial independence and sustainability than consumers’ position. There was another difference between two farmers’ markets, too. Consumers at bath farmers’ market were local residents all year round, but main consumers during the peak season at palm springs farmers’ market were seasonal floating population who used to move away from other regions against the cold weather. Palm springs farmers’ market also had institutional programmes for promoting a participation of low-income residents at farmers’ market, whereas such programmes were not in bath farmers’ market. We should not stretch the meaning of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 between palm springs farmers’ market and bath farmers’ market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American farmers’ markets and British farmers’ markets. Nevertheless, the continuous tries of these case studies and accumulation of the outcomes have an important value as a basis for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inherent characteristics in farmers’ markets of two count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규, "현대 미국 농업구조의 특징과 변화의 동학" 9 : 194-218, 1999
2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11-133, 2011
3 홀트-히메네스, 에릭, "한 미식가의 자본주의 가이드-우리가 먹는 것의 정치경제학 이해하기" 한울 2019
4 김원동, "춘천 농민시장의 현실과 과제- 춘천 소양로 ‘번개시장’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사회학회 20 (20): 81-115, 2010
5 애슬리, 밥, "음식의 문화학" 한울 2014
6 김종덕,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따비 2012
7 핑커턴, 탐진, "우리가 사는 곳에서 로컬 푸드 씨 뿌리기-지역, 상생과 공생, 순환을 위한 행동가이드" 따비 2012
8 김원동, "영국인의 국가정체성: ‘군주정’과 ‘정체성의 연속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9 (19): 5-30, 2016
9 김원동, "영국의 에든버러 농민시장 탐색" 2016
10 영국농민연맹, "영국의 농민시장(Farmers' Market) 동향"
1 김철규, "현대 미국 농업구조의 특징과 변화의 동학" 9 : 194-218, 1999
2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11-133, 2011
3 홀트-히메네스, 에릭, "한 미식가의 자본주의 가이드-우리가 먹는 것의 정치경제학 이해하기" 한울 2019
4 김원동, "춘천 농민시장의 현실과 과제- 춘천 소양로 ‘번개시장’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사회학회 20 (20): 81-115, 2010
5 애슬리, 밥, "음식의 문화학" 한울 2014
6 김종덕,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따비 2012
7 핑커턴, 탐진, "우리가 사는 곳에서 로컬 푸드 씨 뿌리기-지역, 상생과 공생, 순환을 위한 행동가이드" 따비 2012
8 김원동, "영국인의 국가정체성: ‘군주정’과 ‘정체성의 연속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9 (19): 5-30, 2016
9 김원동, "영국의 에든버러 농민시장 탐색" 2016
10 영국농민연맹, "영국의 농민시장(Farmers' Market) 동향"
11 노드, 리처드, "영국농업의 붕괴: 한 기간 산업의 비극적 몰락" 교우사 2012
12 김원동, "영국 농민을 통해 본 브렉시트와 국가정체성 : 농민시장 참여농민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8 (28): 191-234, 2018
13 이해진,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비판사회학회 (96) : 43-76, 2012
14 김철규, "사회학의 눈으로 본 먹거리-한국 농식품체계의 변화와 위기" 따비 2020
15 박덕병, "미국의 농민시장에서 농촌지도요원의 역할" 11 (11): 279-290, 2004
16 김원동, "미국의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배태성의 관점에서 본 특징과 활성화 방안 탐색" 한국사회학회 50 (50): 75-117, 2016
17 김원동, "미국의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따비 2018
18 김종덕, "미국의 농민시장" 15 : 213-238, 2004
19 김종덕, "먹을거리 위기와 로컬푸드" 이후 2009
20 오스터비르, 피터,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따비 2015
21 이해진, "먹거리 커먼즈와 청주시 지역먹거리정책의 방향" 한국환경사회학회 23 (23): 107-156, 2019
22 이해진, "로컬푸드와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발전 - 원주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3 (13): 229-262, 2012
23 김원동, "농민시장의 사회학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따비 2017
24 윤병선, "농민시장 소비자와 배태성 : 원주 농민시장 참여 소비자의 태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1 (21): 223-262, 2011
25 "https://www.visitpalmsprings.com/events/weekly-certified-farmers-market/13946"
26 "https://www.visitpalmsprings.com/about-palm-springs"
27 "https://www.visitbritain.com/gb/en/england/south-west/bath"
28 "https://www.laquintaca.gov"
29 "https://www.getcalfresh.org"
30 "https://www.countryfarm-lifestyles.com/farmers-markets_uk.html#.Xi29R7B7mUk"
31 "https://www.cityofpalmdesert.org"
32 "https://www.certifiedfarmersmarkets.org/farmers-vendors"
33 "https://www.certifiedfarmersmarkets.org/about"
34 "https://www.bathnes.gov.uk/services/your-council-and-democracy/local-research-and-statistics/wiki/population"
35 "https://www.bathnes.gov.uk/services/environment/sustainability/local-food/buy-local"
36 "https://psculturalcenter.org/pscc/about-us"
37 "https://en.wikipedia.org/wiki/Bath,_Somerset"
38 "https://beta.bathnes.gov.uk"
39 "http://www.bathfarmersmarket.co.uk"
40 Lapping, Mark B., "Toward the Recovery of the Local in the Globalizing Food System: the Role of Alternative Agricultural and Food Models in the US" 7 (7): 141-150, 2004
41 McEachern, Morven G, "Thinking locally, acting locally? Conscious consumers and farmers' markets" 26 (26): 395-412, 2010
42 Kirwan, James, "The interpersonal world of direct marketing: Examining conventions of quality at UK Farmers' Markets" 22 : 301-312, 2006
43 김원동, "The U.S. Agricultural Policy, CSA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Agriculture" 지역사회학회 15 (15): 221-261, 2014
44 Ruelas, Valerie, "The Role of Farmers’ Markets in Two Low Income, Urban Communities" 37 : 554-562, 2012
45 Brown, Cheryl, "The Impacts of Local Markets: A Review of Research on Farmers Markets and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90 (90): 1296-1302, 2008
46 Bentley, Gillian, "The Countryside in the City-Situating a Farmers' Market in Birmingham" 18 (18): 109-120, 2003
47 Guthman, Julie, "Squaring Farm Security and Food Security in Two Types of Alternative Food Institutions" 71 (71): 662-684, 2006
48 Gillespie, Gilbert, "Remaking the North American Food System" Univ. of Nebraska Press 65-83, 2007
49 Holloway, Lewis, "Reading the Space of the Farmers' Marke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rom the UK" 40 (40): 285-299, 2000
50 Alkon, Alison H., "Paradise or pavement: the social constructions of the environment in two urban farmers' marke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justice and sustainability" 13 (13): 271-289, 2008
51 Azavedo, Mark, "How important is Food at Farmers’ Markets? Evidence from Bardon Farmers’ Market, Brisbane, Queensland, Australia" 4 (4): 32-39, 2018
52 Barney & Worth, Inc, "Growing Portland's Farmers Markets: Portland Farmers Markets/Direct-Market Economic Analysis(Research Report)" 2008
53 Alkon, Alison H., "From value to values: sustainable consumption at farmers markets" 25 : 487-498, 2008
54 Kirschenmann, Frederick L., "Food as Relationship" 3 (3): 106-121, 2008
55 Guthrie, John, "Farmers' markets:the small business counter-revolution in food production and retailing" 108 (108): 560-573, 2006
56 Spilková, Jana, "Farmers' markets in Prague: a new challenge within the urban shoppingscape" 30 : 179-191, 2013
57 Connell, David J., "Farmers' markets and the 'good food' value chain: a preliminary study" 13 (13): 169-185, 2008
58 Milestad, Rebecka, "Enhancing Adaptive Capacity in Food Systems: Learning at Farmers’ Markets in Sweden" 15 (15): 29-, 2010
59 김원동, "Current Situation and Urgent Problems of American Identit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Views of American Farmers" 지역사회학회 20 (20): 175-206, 2019
60 Lawson, Rob, "Creating value through cooperation: An investigation of farmers' markets in New Zealand" 110 (110): 11-25, 2008
61 Feagan, Robert, "Consumer quest for embeddedness: a case study of the Brantford Farmers’ Market" 33 (33): 235-243, 2009
62 King, Christine A, "Community Resilience and Contemporary Agri-Ecological Systems: Reconnecting People and Food, and People with People" 25 (25): 111-124, 2008
63 Dollahite, Jamie S., "Building community capacity through enhanced collaboration in the farmers market nutrition program" 22 (22): 339-354, 2005
64 Kirwan, James, "Alternative Strategies in the UK Agro-Food System: Interrogating the Alterity of Farmers' Markets" 44 (44): 395-415, 2004
65 권오상, "20세기의 미국 농업, 번영과 그 대가" 박영사/박영북스 [서울] 2010
66 Dowler, Clizabeth, "'Doing food differently': reconnecting biolog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care for food" 57 (57): 200-221, 2009
충청북도 농촌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발전방안 :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중앙정부 부처의 농촌 읍 · 면 수준 정책 협력 - 비판과 제언
날카로움과 열정의 결합 : 김철규. 2020. 『사회학의 눈으로 본 먹거리』, 따비
수세투쟁과정의 생생한 다큐멘터리 : 윤수종. 2020. 『해남수세투쟁』, 심미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2 | 1.17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