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가정적 배경을 포함한 사교육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배경이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44523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1-175(2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정적 배경을 포함한 사교육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배경이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이 연구는 가정적 배경을 포함한 사교육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배경이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교육이 대학진학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진학 분석모형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설정하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4년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일반계 고등학생 2,000명 자료 중 2005년에 대학에 진학한 학생의 추적 자료를 표집한 후,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을 활용했다. 연구의결과로서, 사교육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자기개발 변수인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주목된다. 4년제 상위권 대학의 경우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진학할 가능성이 높으며, 4년제 대학이나 4년제 상위권 대학의 경우EBSi 수능특강 시청이 다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s of private co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pursue the research purpose, we analyzed 2004 KRIVET KEEP data of 2,000 academic-oriented high school graduates who entered colleges in 2005. We used p...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s of private co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pursue the research purpose, we analyzed 2004 KRIVET KEEP data of 2,000 academic-oriented high school graduates who entered colleges in 2005. We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control confounding variables among students grouped by college admi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private coaching on college admissio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EBSi lectures and self-study time were also effective factors. To be qualified for four-year colleges in the top ranks, the more time students spended on self-study, the higher opportunities they had to attend to top-tier universities. It also showed that EBSi for SAT was effective for the entrance to both four-year college and top-tier college.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also provided.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하남, "한국의 교육계층화: 세대 간 변화와 불평등 추이" 한국노동연구원 2003
2 노현경, "학부모 및 학생관련요인과 사교육비 지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97-118, 2006
3 김양분, "입시학원의 교육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2
4 오영수,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2 (12): 2-56, 2003
5 김진영, "수학능력 시험 실시 10년간 대학의 서열 변화" 한국재정학회 11 (11): 121-153, 2006
6 이종태,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7 이찬영, "사교육투자의 효율성 분석: 고3의 사교육투자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34) : 1-30, 2008
8 임천순,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331-356, 2004
9 최형재, "사교육의 대학진학에 대한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07
10 이기종, "사교육의 대학진학 효과성 검증" 2007
1 방하남, "한국의 교육계층화: 세대 간 변화와 불평등 추이" 한국노동연구원 2003
2 노현경, "학부모 및 학생관련요인과 사교육비 지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97-118, 2006
3 김양분, "입시학원의 교육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2
4 오영수,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2 (12): 2-56, 2003
5 김진영, "수학능력 시험 실시 10년간 대학의 서열 변화" 한국재정학회 11 (11): 121-153, 2006
6 이종태,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7 이찬영, "사교육투자의 효율성 분석: 고3의 사교육투자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34) : 1-30, 2008
8 임천순,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331-356, 2004
9 최형재, "사교육의 대학진학에 대한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07
10 이기종, "사교육의 대학진학 효과성 검증" 2007
11 양정호, "사교육의 대학진학 효과: 중2부터 대학 1학년까지 사교육 경험 종단분석" 2007
12 양정호,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종단적 연구―한국노동패널조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1-145, 2005
13 이성림, "사교육비 부담과 가계의 소비지출"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63-76, 2005
14 고형일,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1-42, 2002
15 최상근,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16 임천순, "사교육 수요 분석: 학습보충론과 미래투자론"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1-27, 2008
17 채재은, "방과후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41-66, 2009
18 박소영, "방과후 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91-411, 2008
19 이수정,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 분석: 사교육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접근"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455-484, 2007
20 유진봉, "대학졸업생의 취업효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21 김안나, "대학입학 수능 성적 분포의 변화추이를 통해 본 고등교육의 서열화 구조"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65-83, 2003
22 오호영, "대학서열화와 기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3 이경회, "대학교육의 성별 임금효과 - 대학 순위와 전공의 영향을 중심으로" 2007
24 이해명, "과외의 학업 성적 결정 효과. 한국 사교육 팽창의 심층 해부" 2001
25 상경아, "고등학생의 수학 과외가 학업성취도,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42-58, 2005
26 한대동,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외효과의 비교연구" 11 (11): 33-54, 2001
27 이정환, "가족환경, 과외, 성적" 한국사회학회 36 (36): 8-20, 2002
28 김현진, "가정배경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분석" 2007
29 이영, "가계특성에 따른 사교육비 분포" 2004
30 이승신,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과 경제적 복지" 대한가정학회 40 (40): 211-227, 2002
31 李周浩, "學校 政策과 課外의 경제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8 (8): 1-60, 2002
32 김지하, "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을 사용한 사교육 유형별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67-96, 2009
33 채창균, "EBS 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25-44, 2007
34 노동부, "2008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노동부 2008
3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차년도 설문지" 2005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1차년도 설문지" 2004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Investment in On-the-Job Training on Labor Productivi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 | 1.113 | 0.25 |
AI시대의 고등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신한대학교 신종우수면관련 영아급사 조사교육: 갑작스런 아기 사망 사례, 무엇을 어떻게 조사할까?
K-MOOC 인하대학교 안영미수면관련 영아급사 조사교육: 갑작스런 아기 사망 사례, 무엇을 어떻게 조사할까?
K-MOOC 인하대학교 안영미종합토론 : 고등교육 혁신지원을 위한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UDEC)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태억, 김정숙, 김현철, 박주병, 서순식, 장상현School Improvement: Vertical Tutoring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