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재 지역별 지방교육재정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지방교육자치 개편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해 보았으며, 향후시․도교육청과 시․도의회가 연계․협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지역별 지방교육재정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지방교육자치 개편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해 보았으며, 향후시․도교육청과 시․도의회가 연계․협력...
이 연구는 현재 지역별 지방교육재정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지방교육자치 개편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해 보았으며, 향후시․도교육청과 시․도의회가 연계․협력하여 지방교육재정을 효율적으로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로서첫째, 지방교육재정 확보와 관련하여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의 개편, 교육투자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얻기 위해 직접세인 소득세, 법인세, 재산세 등에추가로 교육과세를 하는 방안,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로부터의 교육재정 확충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지방교육예산 편성과 관련하여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 교육상임위원회 존치 및 교육상임위원회 자격 제한 등 제도적보완 장치 마련, 사업별 예산제도 내실화를 제시하였다. 셋째, 지방교육재정심의과정에서 시․도교육청 예․결산자문위원회 활성화 방안, 예산 심의 과정에 공청회 실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과제를 중심으로 시․도교육청과 시․도와의 상호 연계체제를 구축하는 정치적 역량발휘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to review the impact of changes of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on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finally to suggest several issues for the connec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to review the impact of changes of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on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finally to suggest several issues for the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system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func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agenda for an efficient local educational finance connected to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rning about 1) securing a stabilization of a local educational finance, 2)restructuring a system of compilation of local educational budget, 3)reorganizing the process of deliberation on the local educational budget.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concerning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polic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관, "현행 지방교육자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in: 지방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해법은 무엇인가?" 2009
2 공은배, "한국교육재정 구조개편 방향 설정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3 반상진, "한국 지방교육재정의 구조와 운영 측면. in: 한국 지방교육의 진단과 발전과제" 2010
4 표시열, "한국 지방교육자치의 이념과 실제. in: 한국 지방교육의 진단과 발전과제" 2010
5 반상진, "초·중등학교 자율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정책의 점검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89-117, 2009
6 윤정일,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시대의 교육재정; 새로운 도전과 과제" 2010
7 하봉운, "지방자치단체 교육재정 지원의 성과와 과제" 2009
8 공은배, "지방교육재정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9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29-164, 2006
10 송기창, "지방교육자치 구조의 변화와 지방교육재정의 과제" 2010
1 이용관, "현행 지방교육자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in: 지방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해법은 무엇인가?" 2009
2 공은배, "한국교육재정 구조개편 방향 설정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3 반상진, "한국 지방교육재정의 구조와 운영 측면. in: 한국 지방교육의 진단과 발전과제" 2010
4 표시열, "한국 지방교육자치의 이념과 실제. in: 한국 지방교육의 진단과 발전과제" 2010
5 반상진, "초·중등학교 자율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정책의 점검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89-117, 2009
6 윤정일,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시대의 교육재정; 새로운 도전과 과제" 2010
7 하봉운, "지방자치단체 교육재정 지원의 성과와 과제" 2009
8 공은배, "지방교육재정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9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29-164, 2006
10 송기창, "지방교육자치 구조의 변화와 지방교육재정의 과제" 2010
11 김용일, "미완의 과제: 지방교육 정치-행정의 민주화. in: 지방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해법은 무엇인가?" 2009
12 교육과학기술부,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자율화 추진방안" 2009
13 최준렬, "교육재정 확보의 전망과 과제" 2007
14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도 지방교육재정운영평가" 2008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Investment in On-the-Job Training on Labor Productivi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 | 1.11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