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시장에서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수출경쟁력 분석 = Analysis of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and French Cosmetics in the Chinese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영국 등이며 최근 한국 제품의 수입이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 주요 5개국의 수입비중이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인 프랑스의 비중은 2014년 38%에서 2015년 30%로 감소하였고 일본 제품수입비중은 원전 사고, 반일 감정 등으로 수입증가세가 둔화되었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은 2015년 300% 가까이 증가하면서 한국 제품의 수입비중도 23%로 증가하였다.
      한국 화장품은 세계시장에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중국시장에서 화장품 소비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과 전통적인 경쟁력이 있는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경쟁력 분석을 하였다. 경쟁력 분석을 위해 시장점유율지수(MSI)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화장품의 대규모 시장인 중국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지수를 활용하여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을 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지수(MSI)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눈화장용 제품류(아이샤도 기타), 매니큐어용 제품류과 페디큐어용 제품류(네일에나멜 기타) 그리고 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어린이용 제품류 기타 제품과 두발용 제품류(삼퓨 등) 하고 퍼머넌트 웨이빙용 또는 스트레이트닝용 제품류 등이 프랑스 동종 화장품 보다 시장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랑스 화장품은 향수 및 화장수하고 분말상의 것(압축한 것인지의 여부 불문), 훼이스 파우다, 베이비 파우다(탈쿰파우다, 포함) 기타 제품과 입술화장용 제품류(립스틱 기타) 등 이와 같은 3품목은 프랑스 화장품이 한국 화장품보다 중국 시장점유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화장품의 제품에 대한 우수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인의 눈높이에서 매력적인 장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우수한 한국 화장품을 중국 고객이 선호하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수립하여 새로운 계층을 찾아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영국 등이며 최근 한국 제품의 수입이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 주요 5개국의 수입비중이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살펴...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영국 등이며 최근 한국 제품의 수입이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 주요 5개국의 수입비중이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인 프랑스의 비중은 2014년 38%에서 2015년 30%로 감소하였고 일본 제품수입비중은 원전 사고, 반일 감정 등으로 수입증가세가 둔화되었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은 2015년 300% 가까이 증가하면서 한국 제품의 수입비중도 23%로 증가하였다.
      한국 화장품은 세계시장에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중국시장에서 화장품 소비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과 전통적인 경쟁력이 있는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경쟁력 분석을 하였다. 경쟁력 분석을 위해 시장점유율지수(MSI)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화장품의 대규모 시장인 중국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지수를 활용하여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을 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지수(MSI)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눈화장용 제품류(아이샤도 기타), 매니큐어용 제품류과 페디큐어용 제품류(네일에나멜 기타) 그리고 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어린이용 제품류 기타 제품과 두발용 제품류(삼퓨 등) 하고 퍼머넌트 웨이빙용 또는 스트레이트닝용 제품류 등이 프랑스 동종 화장품 보다 시장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랑스 화장품은 향수 및 화장수하고 분말상의 것(압축한 것인지의 여부 불문), 훼이스 파우다, 베이비 파우다(탈쿰파우다, 포함) 기타 제품과 입술화장용 제품류(립스틱 기타) 등 이와 같은 3품목은 프랑스 화장품이 한국 화장품보다 중국 시장점유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화장품의 제품에 대한 우수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인의 눈높이에서 매력적인 장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우수한 한국 화장품을 중국 고객이 선호하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수립하여 새로운 계층을 찾아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용 ; 이창현, "한중 컴퓨터 부품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9 (9): 423-439, 2007

      2 "한국수출입은행"

      3 "한국무역협회"

      4 임준형 ; 송규상, "한국과 미국 화장용제품의 경쟁력 비교"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745-760, 2012

      5 안태건 ; 이용근, "한국 기체결 FTA의 시장점유율과 무역특화도에 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9 (19): 81-100, 2018

      6 남대엽, "한⋅중⋅일의 대아세안 수출 경합성 및 경쟁력 비교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7 (17): 354-376, 2019

      7 정지현, "중국의 내수용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응" 대외정책연구원 2015

      8 강내영, "주요 신흥 Big4시장에서의 한 일 및 한 중 수출 경합도 분석, –중국, 인도, 인니, 베트남시장을 중심으로" 국제무역연구원 2018

      9 한승권 ; 최장우,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對중국 수출경쟁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20 (20): 111-130, 2018

      10 김희태 ; 권상집, "우리나라 핵심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한⋅중⋅일 수출 경쟁력 분석 및 전략 제언" 한국혁신학회 15 (15): 143-181, 2020

      1 김지용 ; 이창현, "한중 컴퓨터 부품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9 (9): 423-439, 2007

      2 "한국수출입은행"

      3 "한국무역협회"

      4 임준형 ; 송규상, "한국과 미국 화장용제품의 경쟁력 비교"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745-760, 2012

      5 안태건 ; 이용근, "한국 기체결 FTA의 시장점유율과 무역특화도에 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9 (19): 81-100, 2018

      6 남대엽, "한⋅중⋅일의 대아세안 수출 경합성 및 경쟁력 비교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7 (17): 354-376, 2019

      7 정지현, "중국의 내수용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응" 대외정책연구원 2015

      8 강내영, "주요 신흥 Big4시장에서의 한 일 및 한 중 수출 경합도 분석, –중국, 인도, 인니, 베트남시장을 중심으로" 국제무역연구원 2018

      9 한승권 ; 최장우,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對중국 수출경쟁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20 (20): 111-130, 2018

      10 김희태 ; 권상집, "우리나라 핵심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한⋅중⋅일 수출 경쟁력 분석 및 전략 제언" 한국혁신학회 15 (15): 143-181, 2020

      11 김성철, "우리나라 전기전자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과 시사점"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1435-1454, 2008

      12 김정호, "우리 농산물의 국제경쟁력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16, 2001

      13 최창열 ; 정한경, "수출 경쟁력 지수에 의한 EU시장에서의 한국 제조 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9 (9): 161-182, 2007

      14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95039/cat/10"

      15 "https://stat.kita.net/main.screen"

      16 "https://dream.kotra.or.kr/kotranews/index.do"

      17 "http://www.cmn.co.kr/sub/news/news_view.asp?news_idx=38468"

      18 김지용, "e-business 기반 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산 주요 전자부품의 대 중국시장 경쟁력을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397-412, 2015

      19 Bela Balassa,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33 (33): 99-123, 1965

      20 Porter. M.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73-93, 1990

      21 Redding, S., "Specialization Dynamics" 58 : 299-334, 2002

      22 원용걸 ; 이화연, "ASEAN내 한․중․일간 경합관계와 한국의 對ASEAN 수출 결정요인 분석: 위안화 및 엔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27 (27): 41-76, 2017

      23 Aiginger, K.,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Dynamic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9 : 159-188,

      24 김창범, "4차 산업혁명 품목에 대한 한 ․ 중·일의 對미국·對EU 수출경쟁력과 동태적 경쟁 관계 분석"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85-100, 2018

      25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5월 수출입동향"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Global Commerce And Cyber Trade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KCI등재
      2007-03-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For Global Commerce And Cyber Trade ->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1.02 1.21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