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 beween Social Skills and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79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friendship about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t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 syndrome by selecting six of there searches published inspecial education journals from 1990 to 2005.
      This research is written for (1) finding out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syndrome, (2)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f friendship, (3) explaining how this perception of friendship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deficits in autistic children, (4) discussing the way of developing the friendship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friendship about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t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friendship about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t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 syndrome by selecting six of there searches published inspecial education journals from 1990 to 2005.
      This research is written for (1) finding out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syndrome, (2)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f friendship, (3) explaining how this perception of friendship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deficits in autistic children, (4) discussing the way of developing the friendship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특징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특수교육 분야의 주요 저널에 간행된 논문 중 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들을 알아보고,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관계의 특징이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언어 이해 능력, 정서적 능력, 자기 인식 및 자아 개념등이 나타났고, 2) 이러한 변인들은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들로는 사회성 기술 교수, 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 교수,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활용 및 성인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발달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특징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특수교육 분야의 주요 저널에 간행된 논문 중 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들을 알아보고,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관계의 특징이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언어 이해 능력, 정서적 능력, 자기 인식 및 자아 개념등이 나타났고, 2) 이러한 변인들은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들로는 사회성 기술 교수, 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 교수,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활용 및 성인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발달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
      • Ⅳ. 고기능 자폐 및 야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
      • Ⅴ.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
      • Ⅳ. 고기능 자폐 및 야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
      • Ⅴ.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
      • Ⅵ.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