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일 시대(1998∼2007) 북한당국의 통일담론 분석: 노동신문 구호를 중심으로 = North Korean Official Discourses on the Issue of Reunification during the Kim Jong-il Era (1998-200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 is clearly a nation of propaganda which engulfs its citizens innumerous slog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slogans on reunifi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circulation in the Korean Workers’ Party’s Rodong Sinmun during the Kim Jong-il era between 1998 to 2007. The issue of reunification is one which North Korean regime has continually emphasized, albeit perhaps only nominally. Since the start of the Kim Jong-il era, each year, the Rodong Sinmun has produced and propagated various reunification slogans. Would their substance and frequency of distribution be similar in every year? If these aspects of the newspapers’ reunification slogans vary each year, what is the cause of such differences? Who would be the designated receiver of those slogans and what would be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sending them under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 reunification slogans that appear in the Rodong Sinmun and analizes its annual changes and characterstics, using the five-step Lasswell Communication Method;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time period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2007.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reunification slogans published in the Rodong Sinmun are not only intended for North Korean citizens, but also for other audienc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ts citizens and the US government. Furthermore, throughout the past ten years of the Kim Jong-il regime, the substance of these slogan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vary according to North Korea’s intent to regulate inter-Korean relations and U.S.-North Korean relations.
      번역하기

      North Korea is clearly a nation of propaganda which engulfs its citizens innumerous slog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slogans on reunifi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circulation in the Korean Worke...

      North Korea is clearly a nation of propaganda which engulfs its citizens innumerous slog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slogans on reunifi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circulation in the Korean Workers’ Party’s Rodong Sinmun during the Kim Jong-il era between 1998 to 2007. The issue of reunification is one which North Korean regime has continually emphasized, albeit perhaps only nominally. Since the start of the Kim Jong-il era, each year, the Rodong Sinmun has produced and propagated various reunification slogans. Would their substance and frequency of distribution be similar in every year? If these aspects of the newspapers’ reunification slogans vary each year, what is the cause of such differences? Who would be the designated receiver of those slogans and what would be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sending them under the Kim Jong-il era?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 reunification slogans that appear in the Rodong Sinmun and analizes its annual changes and characterstics, using the five-step Lasswell Communication Method;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time period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2007.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reunification slogans published in the Rodong Sinmun are not only intended for North Korean citizens, but also for other audienc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ts citizens and the US government. Furthermore, throughout the past ten years of the Kim Jong-il regime, the substance of these slogan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vary according to North Korea’s intent to regulate inter-Korean relations and U.S.-North Korean re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은 선전의 국가, 구호의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현장에 각종 구호가 넘쳐나는 곳이다. 이 논문은 이른바 김정일 시대에 해당하는 1998년 이후 2007년까지 10년의 기간 동안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통일과 관련하여 어떤 유형의 구호를, 얼마나 자주 제시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통일은 북한당국이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그 중요성을 늘 강조하는 것이 당연한 사안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북한당국이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매해 노동신문을 통해 생산하고 보급해 온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분포가 비슷한 양상을 보일까? 만약 해마다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현황이 달라졌다면 그 차이를 만들어 내는 원인은 무엇으로 봐야 하는가? 김정일 시대에 북한당국이 내세웠던 통일구호의 수신자는 누구이며 그 발신목적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의문사항을 풀어나가기 위해 이 논문은 1998년 1월 1일 자 이후 2007년 12월 31일 자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를 전수조사한 뒤 10년간의 시계열적 변화와 특징을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5단계 모델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게재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수신자는 북한주민 이외에도 남한주민과 남한당국, 미국 등 제2의 수신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김정일 시대 10년 동안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조정하고자 하는 북한당국의 의도에 따라 그 내용과 연도별 빈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북한은 선전의 국가, 구호의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현장에 각종 구호가 넘쳐나는 곳이다. 이 논문은 이른바 김정일 시대에 해당하는 1998년 이후 2007년까지 10...

      북한은 선전의 국가, 구호의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현장에 각종 구호가 넘쳐나는 곳이다. 이 논문은 이른바 김정일 시대에 해당하는 1998년 이후 2007년까지 10년의 기간 동안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통일과 관련하여 어떤 유형의 구호를, 얼마나 자주 제시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통일은 북한당국이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그 중요성을 늘 강조하는 것이 당연한 사안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북한당국이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 매해 노동신문을 통해 생산하고 보급해 온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분포가 비슷한 양상을 보일까? 만약 해마다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내용과 빈도 현황이 달라졌다면 그 차이를 만들어 내는 원인은 무엇으로 봐야 하는가? 김정일 시대에 북한당국이 내세웠던 통일구호의 수신자는 누구이며 그 발신목적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의문사항을 풀어나가기 위해 이 논문은 1998년 1월 1일 자 이후 2007년 12월 31일 자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를 전수조사한 뒤 10년간의 시계열적 변화와 특징을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5단계 모델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북한당국이 노동신문에 게재하는 통일관련 구호의 수신자는 북한주민 이외에도 남한주민과 남한당국, 미국 등 제2의 수신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김정일 시대 10년 동안 노동신문에 등장하는 통일관련 구호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조정하고자 하는 북한당국의 의도에 따라 그 내용과 연도별 빈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성, "통일전선 사업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2 전미영, "통일담론에 나타난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43 (43): 2003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통제체제" 통일연구원 1999

      5 Reboul, Oliver,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5

      6 유재천,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7 안찬일, "북한의 민족공조의 본질과 전망" 2003

      8 이우영,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9 이정우, "담론의 공간-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민음사 1994

      10 권혜진, "노동신문 구호를 통해 본 북한사회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1 김일성, "통일전선 사업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2 전미영, "통일담론에 나타난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43 (43): 2003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통제체제" 통일연구원 1999

      5 Reboul, Oliver,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5

      6 유재천,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7 안찬일, "북한의 민족공조의 본질과 전망" 2003

      8 이우영,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9 이정우, "담론의 공간-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민음사 1994

      10 권혜진, "노동신문 구호를 통해 본 북한사회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11 최진욱, "남북관계 60년과 통일담론" (2) : 2008

      12 와다 하루꼬,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13 전미영, "김정일 정권의 정세인식:‘선군’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6

      14 "『평양방송』"

      15 통일연구원, "『통일환경 및 남북한 관계와 전망』: 1998년~2007년"

      16 "『노동신문』"

      17 Lasswell, H. 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Society in : The Communication of Ideas; A series of Address" Harper and Brothers 1948

      18 Skinner, Quentin, "Social Meaning and the Explanation of Social Action in : Meaning and Context: Quentin Skinner AND his Critics" University of Princeton Press 1988

      19 Pecheux, Michael,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Macmillan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