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일성, "통일전선 사업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2 전미영, "통일담론에 나타난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43 (43): 2003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통제체제" 통일연구원 1999
5 Reboul, Oliver,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5
6 유재천,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7 안찬일, "북한의 민족공조의 본질과 전망" 2003
8 이우영,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9 이정우, "담론의 공간-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민음사 1994
10 권혜진, "노동신문 구호를 통해 본 북한사회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1 김일성, "통일전선 사업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2 전미영, "통일담론에 나타난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43 (43): 2003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통제체제" 통일연구원 1999
5 Reboul, Oliver,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5
6 유재천,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7 안찬일, "북한의 민족공조의 본질과 전망" 2003
8 이우영,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9 이정우, "담론의 공간-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민음사 1994
10 권혜진, "노동신문 구호를 통해 본 북한사회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11 최진욱, "남북관계 60년과 통일담론" (2) : 2008
12 와다 하루꼬,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13 전미영, "김정일 정권의 정세인식:‘선군’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6
14 "『평양방송』"
15 통일연구원, "『통일환경 및 남북한 관계와 전망』: 1998년~2007년"
16 "『노동신문』"
17 Lasswell, H. 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Society in : The Communication of Ideas; A series of Address" Harper and Brothers 1948
18 Skinner, Quentin, "Social Meaning and the Explanation of Social Action in : Meaning and Context: Quentin Skinner AND his Critics" University of Princeton Press 1988
19 Pecheux, Michael,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Macmillan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