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한국 현대문학의 생태학적 고찰 = Ecological Study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1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cological study of literature could be defined as a cultur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e shock of the modern times. In this writ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st dynamic and sharpest keyword for the contemporary aesthetics is the ecological ground, the writer carefully tries to analyze and explain three texts which are believed to be formulating the aesthetic hierarchy of the above. The core of that explanation is composed of ‘double-binding’ and ‘Bul-yeon-gi-yeon’.
      Kim Su Young is such a poet who successfully sublimated the expression of freedom by literature of which he had been pursuing continuously into ecological aesthetics. The abstruseness of the poems written by Kim Su Young should be defined as another expression of ambiguity, whichis the essence of life to the author. His language closely approaches the essence of ecology, of which the indigenous language contains. This effort stands against the issue on the “speed” of the modern literature, but at the same time, it is filled with the ecological rules of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st meaningful and important issue of Kim Ji Ha’s definition of life could be compressed to a word, ‘Yul-ryeo’. Yul-ryeo, a form of cultural movement and practice of culture, introduces the Copernican revolution about modern understanding of life to the people of the same age.
      In conclusion, the ultimate objects of this writing through concrete construction of the texts are the ecological leap and dimensional qualitative change.




      Keyword : ecological Literature, double binding, Bul-yeon-gi-yeon, Yul- ryeo, mbiguity, Kim soo yeong, Lee Mun Goo, Kim ji ha
      번역하기

      The ecological study of literature could be defined as a cultur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e shock of the modern times. In this writ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st dynamic and sharpest keyword for the contemporary aesthetics is the ecologic...

      The ecological study of literature could be defined as a cultur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e shock of the modern times. In this writ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st dynamic and sharpest keyword for the contemporary aesthetics is the ecological ground, the writer carefully tries to analyze and explain three texts which are believed to be formulating the aesthetic hierarchy of the above. The core of that explanation is composed of ‘double-binding’ and ‘Bul-yeon-gi-yeon’.
      Kim Su Young is such a poet who successfully sublimated the expression of freedom by literature of which he had been pursuing continuously into ecological aesthetics. The abstruseness of the poems written by Kim Su Young should be defined as another expression of ambiguity, whichis the essence of life to the author. His language closely approaches the essence of ecology, of which the indigenous language contains. This effort stands against the issue on the “speed” of the modern literature, but at the same time, it is filled with the ecological rules of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st meaningful and important issue of Kim Ji Ha’s definition of life could be compressed to a word, ‘Yul-ryeo’. Yul-ryeo, a form of cultural movement and practice of culture, introduces the Copernican revolution about modern understanding of life to the people of the same age.
      In conclusion, the ultimate objects of this writing through concrete construction of the texts are the ecological leap and dimensional qualitative change.




      Keyword : ecological Literature, double binding, Bul-yeon-gi-yeon, Yul- ryeo, mbiguity, Kim soo yeong, Lee Mun Goo, Kim ji h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생태학은 탈(후기) 근대의 사회문화적 충격에 대한 문학적 반응이다. 이 글은 동시대 미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역동적인 키워드가 생태적 사유라는 전제를 통해, 그것의 미학적 위계를 정치하게 형식화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세 개의 텍스트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한다. 그 해석의 핵을 이루는 것은 이중구속론과double binding 不然其然Bulyeongiyeon이다. 김수영은 그가 추구한 자유의 문학적 실천을 가장 높은 단계의 생태학적 미학으로 승화한 시인이다. 그가 시도한 언어적 난해성은 그런 의미에서 애매성ambiguity의 다른 표현이며, 그것이 김수영적 생명론의 본질이다. 이문구의 언어는 토착어가 함유하고 있는 생태학적 본질에 다가가고자 노력한다. 그 노력은 근대적 속도에 길항(拮抗)하면서 그것을 뛰어넘으려는 생태적 문법으로 충만 해 있다. 한편, 김지하의 생명론이 표상하는 화두는 율려Yul-ryeo로 압축된다. 문화운동이자 문학적 실천이기도 한 그것은 동시대인들에게 근대적 생명관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轉回)를 설득한다.그리하여 구체적 텍스트 해석을 관통하면서 이 글이 노리는 것은 궁극적으로 생태담론 논의의 비약적 도약과 차원의 질적 전화(轉化)이다. SUMMARY
      번역하기

      문학생태학은 탈(후기) 근대의 사회문화적 충격에 대한 문학적 반응이다. 이 글은 동시대 미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역동적인 키워드가 생태적 사유라는 전제를 통해, 그것의 미학적 위계를 ...

      문학생태학은 탈(후기) 근대의 사회문화적 충격에 대한 문학적 반응이다. 이 글은 동시대 미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역동적인 키워드가 생태적 사유라는 전제를 통해, 그것의 미학적 위계를 정치하게 형식화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세 개의 텍스트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한다. 그 해석의 핵을 이루는 것은 이중구속론과double binding 不然其然Bulyeongiyeon이다. 김수영은 그가 추구한 자유의 문학적 실천을 가장 높은 단계의 생태학적 미학으로 승화한 시인이다. 그가 시도한 언어적 난해성은 그런 의미에서 애매성ambiguity의 다른 표현이며, 그것이 김수영적 생명론의 본질이다. 이문구의 언어는 토착어가 함유하고 있는 생태학적 본질에 다가가고자 노력한다. 그 노력은 근대적 속도에 길항(拮抗)하면서 그것을 뛰어넘으려는 생태적 문법으로 충만 해 있다. 한편, 김지하의 생명론이 표상하는 화두는 율려Yul-ryeo로 압축된다. 문화운동이자 문학적 실천이기도 한 그것은 동시대인들에게 근대적 생명관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轉回)를 설득한다.그리하여 구체적 텍스트 해석을 관통하면서 이 글이 노리는 것은 궁극적으로 생태담론 논의의 비약적 도약과 차원의 질적 전화(轉化)이다. SUMM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흰 그늘의 길" 학고재 2003

      2 "중심의 괴로움" 솔 1996

      3 "인문학과 생태학" 백의 2001

      4 "우리시와 생태현실주의" 천년의시작 (15호) : 2005

      5 "예감에 가득 찬 숲 그늘" 실천문학사 1999

      6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7 "생태시학으로서의 생명과 율려" 한국어문연구회 127집 : 2005

      8 "생태문학의 정의와 분류를 위한 하나의 시도" 독일언문학연구회 (12호) : 1999

      9 "생명과 자치" 솔 1996

      10 "삶과 온 생명" 솔 1998

      1 "흰 그늘의 길" 학고재 2003

      2 "중심의 괴로움" 솔 1996

      3 "인문학과 생태학" 백의 2001

      4 "우리시와 생태현실주의" 천년의시작 (15호) : 2005

      5 "예감에 가득 찬 숲 그늘" 실천문학사 1999

      6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7 "생태시학으로서의 생명과 율려" 한국어문연구회 127집 : 2005

      8 "생태문학의 정의와 분류를 위한 하나의 시도" 독일언문학연구회 (12호) : 1999

      9 "생명과 자치" 솔 1996

      10 "삶과 온 생명" 솔 1998

      11 "살림의 시학" 세계사 1995

      12 "문학생태학의 미학적 과제" 한국언어문학회 51집 : 2003

      13 "문학, 생태학, 현실" 중앙일보사 (통권92호) : 2000

      14 "마음의 생태학" 1989

      15 "김수영시와 자유" 한국언어문학회 54집 : 2005

      16 "기우뚱한 균형에 관하여" 환경운동연합 (26) : 1995

      17 "경계의 시학" 민음사 (통권4호) : 1997

      18 "What is Life" 한울 2001

      19 "The Resistance to theory" 한신문화사 1993

      20 "Les trois cologies" 동문선 2003

      21 "Kali for Woman" 1988

      22 "Ecology and End of Postmodernity" icon books Ltd, london 2001

      23 "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 녹색평론사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