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근대의 헤테로토피아, 극장 = The Space of Heterotopia; Thea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1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theater is one of the most effectible cultural space from among imported goods. The theater as an architecture overcame both movability and chang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and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new culture. The theater as a stationary space moved the criterion of the premodern value, such as an individual/a group, reality/irreality, and sex/gender; moreover, spectators were brought up as not only a wishful individual but the public enjoying the modern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theater of the early modern age was the space of heterotopia that the individual’s secret desire was satisfied in the colonial period. Spectators learned the new way of their life and sense of values; besides, tried actualizing the desire outside the theater. They considered the theater as a space for instruction showing themselves a national and racial crisis through the drama and the film; it was the space, however, that constantly roused the individual’s desire for everyday life. In short, the modern theater was the fittest space in which spectators were culturally trained for being reborn as modernist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y came to find themselves and look at others; therefore, they could change themselves into the culturally modern public.
      번역하기

      The modern theater is one of the most effectible cultural space from among imported goods. The theater as an architecture overcame both movability and chang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and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new culture. The theat...

      The modern theater is one of the most effectible cultural space from among imported goods. The theater as an architecture overcame both movability and chang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and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new culture. The theater as a stationary space moved the criterion of the premodern value, such as an individual/a group, reality/irreality, and sex/gender; moreover, spectators were brought up as not only a wishful individual but the public enjoying the modern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theater of the early modern age was the space of heterotopia that the individual’s secret desire was satisfied in the colonial period. Spectators learned the new way of their life and sense of values; besides, tried actualizing the desire outside the theater. They considered the theater as a space for instruction showing themselves a national and racial crisis through the drama and the film; it was the space, however, that constantly roused the individual’s desire for everyday life. In short, the modern theater was the fittest space in which spectators were culturally trained for being reborn as modernist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y came to find themselves and look at others; therefore, they could change themselves into the culturally modern publ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극장은 서구의 문화적 박래품 가운데 대중의 일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문화공간이다. 극장이라는 고정된 건축물은 전통연희가 지닌 유동성과 가변성을 극복하면서 새로운 문화체험의 길을 열어 놓았다. 그것은 극장이라는 고정된 공간을 경계로 개인과 집단, 가상과 현실, 성과 젠더의 전근대적 가치 규준을 흔들면서 그 공간을 찾은 관객들을 욕망하는 개인이자 근대적 일상을 향유하는 대중으로 육성해냈던 것이다. 특히 1920년대를 전후로 한 근대 초기의 극장은 국권의 상실이라는 엄혹한 국가적 위기 상황 앞에서 가시적으로 분출해내기 힘든 개인의 내밀한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관객들은 새로운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학습해 나갔으며, 나아가 극장 밖의 공간에서 그러한 욕망을 일상의 공간으로 내려앉히기 위한 다양한 모방을 시도하였다. 극장은 일견 국가적민족적 위기를 연극과 영화를 통해 환유하는 훈육의 장으로 비추어지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그러한 거대담론 사이를 틈입한 개인의 일상에 대한 욕망을 끊임없이 환기시켜주었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근대의 극장은 일제강점기, 결코 일상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비일상의 상황에서 관객들 스스로가 근대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문화적 훈련을 받기에 더없이 적절한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관객들은 자신을 발견하고 타인을 응시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발견과 응시를 통해 그들 자신을 근대적 문화 대중으로 탈바꿈 시켜 나갔던 것이다. SUMMARY
      번역하기

      근대 극장은 서구의 문화적 박래품 가운데 대중의 일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문화공간이다. 극장이라는 고정된 건축물은 전통연희가 지닌 유동성과 가변성을 극복하면서 새로운 문화체험...

      근대 극장은 서구의 문화적 박래품 가운데 대중의 일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문화공간이다. 극장이라는 고정된 건축물은 전통연희가 지닌 유동성과 가변성을 극복하면서 새로운 문화체험의 길을 열어 놓았다. 그것은 극장이라는 고정된 공간을 경계로 개인과 집단, 가상과 현실, 성과 젠더의 전근대적 가치 규준을 흔들면서 그 공간을 찾은 관객들을 욕망하는 개인이자 근대적 일상을 향유하는 대중으로 육성해냈던 것이다. 특히 1920년대를 전후로 한 근대 초기의 극장은 국권의 상실이라는 엄혹한 국가적 위기 상황 앞에서 가시적으로 분출해내기 힘든 개인의 내밀한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관객들은 새로운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학습해 나갔으며, 나아가 극장 밖의 공간에서 그러한 욕망을 일상의 공간으로 내려앉히기 위한 다양한 모방을 시도하였다. 극장은 일견 국가적민족적 위기를 연극과 영화를 통해 환유하는 훈육의 장으로 비추어지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그러한 거대담론 사이를 틈입한 개인의 일상에 대한 욕망을 끊임없이 환기시켜주었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근대의 극장은 일제강점기, 결코 일상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비일상의 상황에서 관객들 스스로가 근대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문화적 훈련을 받기에 더없이 적절한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관객들은 자신을 발견하고 타인을 응시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발견과 응시를 통해 그들 자신을 근대적 문화 대중으로 탈바꿈 시켜 나갔던 것이다. SUMM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 인간 2001

      2 "한국의 문학비평" 민음사 1995.

      3 "한국연희시연구" 이우출판사 1985.

      4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5 "한국사실주의 희곡, 그 욕망의"

      6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출판부 1996

      7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문화과학사 2004

      8 "연극과 사회" 동아일보 1920.5.4~16.

      9 "소위 근대극에 대하여" 1983.

      10 "몽파리 나녀" 조선일보 1929.7.27.

      1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 인간 2001

      2 "한국의 문학비평" 민음사 1995.

      3 "한국연희시연구" 이우출판사 1985.

      4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5 "한국사실주의 희곡, 그 욕망의"

      6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출판부 1996

      7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문화과학사 2004

      8 "연극과 사회" 동아일보 1920.5.4~16.

      9 "소위 근대극에 대하여" 1983.

      10 "몽파리 나녀" 조선일보 1929.7.27.

      11 "매체와 형식의 역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상호매체성 개념" 21집 : 2003.9

      12 "대한매일신보" 대한자강회월보 조선중앙일보

      13 "근대사회의 여가문화" 서울대출판부 1997

      14 "극장의 탄생" 한국극예술학회 19집 : 2004.4

      15 "극장 구경가다: 근대극장과 대중문화의 형성" 28 :

      16 "경성의 극장만담" 연극과 인간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