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의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 간 차이 탐색 =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in classe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a clas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differ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 operation method (Non-face-to-face/Face-to-face). The same liberal arts subjects were operated in both a non-face-to-face class and face-to-face class. The class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overall class performance, and appropriateness for creativity promo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e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but whether the class operation method was a non-face-to-face cla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se changes. However, the face-to-face clas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non-face-to-face class in goal achievement, achievement level of creativity among core competencies,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that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were deriv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a clas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differ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 operation method (Non-face-to-face/Face-to-face). The same liberal arts subjects were operated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a clas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differ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 operation method (Non-face-to-face/Face-to-face). The same liberal arts subjects were operated in both a non-face-to-face class and face-to-face class. The class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overall class performance, and appropriateness for creativity promo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e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but whether the class operation method was a non-face-to-face cla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se changes. However, the face-to-face clas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non-face-to-face class in goal achievement, achievement level of creativity among core competencies,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that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were deri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이 수업 운영 방법(비대면/대면)에 따라 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교양 교과목을 비대면 수업 방식과 대면 수업 방식으로 각각 운영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 수업의 종합적 성과에 대한 인식, 창의성 촉진에 적합한지에 대한 수업 평가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접적으로 창의성을 수업의 주제와 내용으로 다루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수업의 운영 방식이 비대면 수업인지는 이러한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대면 수업은 비대면 수업 보다 목표 달성도, 핵심역량 중 창의성의 성취 수준, 학습내용 이해도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는 수업 설계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이 수업 운영 방법(비대면/대면)에 따라 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이 수업 운영 방법(비대면/대면)에 따라 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교양 교과목을 비대면 수업 방식과 대면 수업 방식으로 각각 운영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 수업의 종합적 성과에 대한 인식, 창의성 촉진에 적합한지에 대한 수업 평가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접적으로 창의성을 수업의 주제와 내용으로 다루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수업의 운영 방식이 비대면 수업인지는 이러한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대면 수업은 비대면 수업 보다 목표 달성도, 핵심역량 중 창의성의 성취 수준, 학습내용 이해도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는 수업 설계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영훈 ; 손정우,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1 (21): 703-718, 2011

      2 이용민, "팀 기반 수행 중심 수업에서의학습양식과 창의적 문제해결 간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8 (18): 117-131, 2018

      3 백종남,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 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539-545, 2020

      4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5 강정하 ; 최인수, "창의적 문제해결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679-701, 2006

      6 황순희, "창의적 교양교육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과 교육적 함의" 477-494, 2014

      7 류형선, "집단 창의성의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도현 ; 윤지현 ; 강성주,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93-105, 2014

      9 최동연 ; 김지운, "온택트 시대 사이버대학교 실시간 비대면 음악수업 정교화를 위한 학습자의 수업흥미와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9) : 95-115, 2021

      10 이상민,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1 (31): 181-204, 2020

      1 진영훈 ; 손정우,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1 (21): 703-718, 2011

      2 이용민, "팀 기반 수행 중심 수업에서의학습양식과 창의적 문제해결 간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8 (18): 117-131, 2018

      3 백종남,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 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539-545, 2020

      4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5 강정하 ; 최인수, "창의적 문제해결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679-701, 2006

      6 황순희, "창의적 교양교육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과 교육적 함의" 477-494, 2014

      7 류형선, "집단 창의성의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도현 ; 윤지현 ; 강성주,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93-105, 2014

      9 최동연 ; 김지운, "온택트 시대 사이버대학교 실시간 비대면 음악수업 정교화를 위한 학습자의 수업흥미와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9) : 95-115, 2021

      10 이상민,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1 (31): 181-204, 2020

      11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12 황지원 ; 노일경 ; 정혜령, "성인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진단 및 대학교육에서의 시사점 탐색: 재직자를 중심으로"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1 (1): 47-78, 2016

      13 이용민,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이 창의적 인성, 문제해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17-131, 2015

      14 김선연,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5-141, 2021

      15 김남일, "비대면 원격수업 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1145-1158, 2020

      16 한지영 ; 이은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 -S 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69-77, 2010

      17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18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9 백수희, "디자인교육에서 혼합형 수업(Blended learning) 적용 가능성-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학회 16 (16): 43-452, 2003

      20 김선연,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5 (35): 621-653, 2019

      21 김선연,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77-304, 2020

      22 임이랑 ; 황지원 ; 김주연 ; 박다솜,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23-54, 2020

      23 임철일 ; 김민지 ; 박주현 ; 배유진 ; 염지윤,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7 (37): 459-488, 2021

      24 박혜진,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이 플립러닝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발전연구소 28 (28): 295-312, 2018

      25 이경화 ; 유경훈 ; 김은경,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27-346, 2010

      26 변현정 ; 김누리 ; 유지현 ; 이용민, "대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촉진하는 수업평가 도구 개발"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9 (19): 21-36, 2019

      27 강명희, "대학 교실수업 병행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 수업효과 요인 분석 : 사례연구" 13 (13): 1-27, 2002

      28 이도현 ; 윤지현 ; 강성주,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43-453, 2015

      29 하주현 ; 류형선 ; 이병임,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89-108, 2011

      30 성은모 ; 임정훈 ; 이인숙 ; 진성희,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요소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27-36, 2006

      31 Wei Zeng, "T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Growth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ediating Role of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Role of Deliberate Rumination" Frontiers Media SA 12 : 1264-, 2021

      32 Michaelsen, L. K., "Team-based learning" Stylus 2004

      33 Timothy J. Patston, "Secondary Education in COVID Lockdown: More Anxious and Less Creative—Maybe Not?" Frontiers Media SA 12 : 391-, 2021

      34 Hansika Kapoor, "Meaning-Making Through Creativity During COVID-19" Frontiers Media SA 11 : 2020

      35 Ronald A. Beghetto, "How Times of Crisis Serve as a Catalyst for Creative Action: An Agentic Perspective" Frontiers Media SA 11 : 3735-, 2021

      36 Beghetto, R. A., "Creativity under duress in education?" Springer 27-40, 2019

      37 Hod Orkibi, "Creative Adaptability: Conceptual Framework, Measurement, and Outcomes in Times of Crisis" Frontiers Media SA 11 : 3695-, 2021

      38 최민지,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창의성 계발 수업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변화와 대면 수업과의 차이 탐색"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57-78, 2021

      39 Maxence Mercier, "COVID-19: A Boon or a Bane for Creativity?" Frontiers Media SA 11 : 3916-,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