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하철 환승역 내부 환경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신도림역(1-2호선)과 서울역(1-4호선)의 환승역 환경 비교분석을 위주로 - = Study on the Inside Environment and Design of Interchange Subway Station - Focused on the Sindorim Station (1-2) and Seoul Subway Station (1-4)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way is quick and safe method public’s transportation.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subway station is not improving the qualitative level of city with the complicated traffic line and deteriorating facilities of the subway st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underground walking space and the design elemen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two transfer stations(Sindorim station and Seoul subway station). Also, the following results are the problems drawn from the analysis of various interviews on the subject of the present condi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guide line. Since Sindorim station functions as a connection route for transferring, it needs enhancement in visual indications and signs for various facilities that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handicapped and elderly. Because the central function of Seoul Station is transferring, it should include interior designs that consider and associ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route, train station, and outside.
      번역하기

      The subway is quick and safe method public’s transportation.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subway station is not improving the qualitative level of city with the complicated traffic line and deteriorating facilities of the subway station. This stu...

      The subway is quick and safe method public’s transportation.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subway station is not improving the qualitative level of city with the complicated traffic line and deteriorating facilities of the subway st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underground walking space and the design elemen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two transfer stations(Sindorim station and Seoul subway station). Also, the following results are the problems drawn from the analysis of various interviews on the subject of the present condi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guide line. Since Sindorim station functions as a connection route for transferring, it needs enhancement in visual indications and signs for various facilities that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handicapped and elderly. Because the central function of Seoul Station is transferring, it should include interior designs that consider and associ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route, train station, and outsi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하 보행공간에 대한 선진사례와 서울시의 지하철역 디자인 중점사항을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환승역에 있어 시설의 노후화와 이동 이용자의 복잡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신도림역(1-2호선)과 서울역(1~4호선)을 선택하여 현황사진과 인터뷰조사를 실시(2007년)하여 미관 저해 요소와 안전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결과 두 역 모두 유동인구가 많고 소음, 동선, 사인이 복잡함에 따른 혼선을 주고 있지만 환승역으로써 이용객의 불편함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승역으로서 신도림역은 환승으로 이동하는 공간이 많은 역이고 서울역은 다양한 목적으로 연결과 주변시설과 역사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역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특성을 살려 차별적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통적인 개선책으로는 다양한 동선에 대한 제한과 단순함을 주어 복잡함을 덜고 또한 환승 홀을 두고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하 보행공간에 대한 선진사례와 서울시의 지하철역 디자인 중점사항을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환승역에 있어 시설의 노후화와 이동 이용자의 복잡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본 연구는 지하 보행공간에 대한 선진사례와 서울시의 지하철역 디자인 중점사항을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환승역에 있어 시설의 노후화와 이동 이용자의 복잡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신도림역(1-2호선)과 서울역(1~4호선)을 선택하여 현황사진과 인터뷰조사를 실시(2007년)하여 미관 저해 요소와 안전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결과 두 역 모두 유동인구가 많고 소음, 동선, 사인이 복잡함에 따른 혼선을 주고 있지만 환승역으로써 이용객의 불편함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승역으로서 신도림역은 환승으로 이동하는 공간이 많은 역이고 서울역은 다양한 목적으로 연결과 주변시설과 역사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역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특성을 살려 차별적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통적인 개선책으로는 다양한 동선에 대한 제한과 단순함을 주어 복잡함을 덜고 또한 환승 홀을 두고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특별시, "지하철정거장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2 서울특별시, "지하보행로가이드라인 및 디자인유형개발(2)" 서울특별시 42-49, 2010

      3 "반달리즘"

      4 "“교통약자"라 함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자, 어린이 등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자"

      5 "1974년에 1호선 개통으로 지하철 시대를 열었고 현재 서울메트로는 36년간 1-4호선을 유지하였고 도시철도공사는 서울특별시 지하철 5, 6, 7, 8호선의 운영하고 있다. 또한 (주)서울시 메트로 9호선으로 별도 운영되며 인천선, 분당선, 공항철도, 중앙선 등이 수도권역을 이루고 있다"

      1 서울특별시, "지하철정거장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2 서울특별시, "지하보행로가이드라인 및 디자인유형개발(2)" 서울특별시 42-49, 2010

      3 "반달리즘"

      4 "“교통약자"라 함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자, 어린이 등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자"

      5 "1974년에 1호선 개통으로 지하철 시대를 열었고 현재 서울메트로는 36년간 1-4호선을 유지하였고 도시철도공사는 서울특별시 지하철 5, 6, 7, 8호선의 운영하고 있다. 또한 (주)서울시 메트로 9호선으로 별도 운영되며 인천선, 분당선, 공항철도, 중앙선 등이 수도권역을 이루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