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기반 커피전문점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 사례 및 설문조사(IP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Coffee Shops -Focusing on the Case and Survey(IPA) of Roastery Coffee Shop in Gangneung-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roastery coffee sho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planing elements of coffee shops are extracted by reviewing the precedent stud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by carrying out field research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Thanks to the locational feature close to nature, the decks and terrace space are used as the elements of exterior space. The space for roasting is separated from the interior space of coffee shops and the space for roasting is an element of marketing. And also the IPA suggested that kitchens, finishing materials, and sculptures should be improved constantly, and that the facade design, design plan fitting for locals as space for roasting, and spatial plan connected to shops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Furniture, logo designs, and color plans are the features that should be made up concretely at the earlier stage of design, and improved step by step.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roastery coffee sho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planing elements of coffee shops are extracted by reviewing the precedent stud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are...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roastery coffee sho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planing elements of coffee shops are extracted by reviewing the precedent stud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by carrying out field research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Thanks to the locational feature close to nature, the decks and terrace space are used as the elements of exterior space. The space for roasting is separated from the interior space of coffee shops and the space for roasting is an element of marketing. And also the IPA suggested that kitchens, finishing materials, and sculptures should be improved constantly, and that the facade design, design plan fitting for locals as space for roasting, and spatial plan connected to shops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Furniture, logo designs, and color plans are the features that should be made up concretely at the earlier stage of design, and improved step by ste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커피전문점의 공간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실태조사 및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공간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공간의 특성은 자연과 인접한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데크 및 테라스 공간이 다수 나타났다. 내부공간 중 로스팅 공간은 독립된 유형과 매장내부에 계획되어진 유형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공간은 적극적인 마케팅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요도-만족도 조사(IPA)에서는 주방, 마감재료, 조형물 등이 꾸준히 개선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이 시급한 항목은 파사드 디자인 및 로스팅 공간으로 지역에 알맞은 디자인 계획 및 매장과 연계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항목은 가구, 로고디자인, 색상계획으로 초기 계획 시 디자인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커피전문점의 공간계획요소를 ...

      본 연구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커피전문점의 공간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실태조사 및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을 기반으로 한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공간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공간의 특성은 자연과 인접한 지역적인 이유로 인해 데크 및 테라스 공간이 다수 나타났다. 내부공간 중 로스팅 공간은 독립된 유형과 매장내부에 계획되어진 유형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공간은 적극적인 마케팅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요도-만족도 조사(IPA)에서는 주방, 마감재료, 조형물 등이 꾸준히 개선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이 시급한 항목은 파사드 디자인 및 로스팅 공간으로 지역에 알맞은 디자인 계획 및 매장과 연계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항목은 가구, 로고디자인, 색상계획으로 초기 계획 시 디자인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지원, "커피전문점 유형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6

      2 최지원, "커피전문점 유형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6

      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각론" 기문당 307-, 2004

      4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5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6 "www.coffeefestival.net"

      7 안경모, "IPA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평가"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45-61, 2009

      1 최지원, "커피전문점 유형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6

      2 최지원, "커피전문점 유형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과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6

      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각론" 기문당 307-, 2004

      4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5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6 "www.coffeefestival.net"

      7 안경모, "IPA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평가"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45-6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