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장 특수교사의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체조수업의 고충과 개선방안 =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of Gymnastics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3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gymnastics cla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improvement pl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in Gyeonggi - 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rkwic software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4.0 to analyze degree centrality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keyword for gymnastics class recognized b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derived as development level, manual, professional lectur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SE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gymnastics class in term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guidance contents. third, the core key words for the gymnastics class improvement methods recognized by SET were derived as instrumentation, instruction, and professional lecturers. fourth, SET mentioned that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three aspects related to competition, guidance, and facilities in order to facilitate gymnastics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gymnastics cla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improvement pl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gymnastics cla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improvement pl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in Gyeonggi - 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rkwic software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4.0 to analyze degree centrality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keyword for gymnastics class recognized by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derived as development level, manual, professional lectur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SE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gymnastics class in term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guidance contents. third, the core key words for the gymnastics class improvement methods recognized by SET were derived as instrumentation, instruction, and professional lecturers. fourth, SET mentioned that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three aspects related to competition, guidance, and facilities in order to facilitate gymnastics cla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정성우,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뜀틀 고개튀겨돌기 체조 수업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143-162, 2013

      3 강유석,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소외와 일탈" 한국체육학회 44 (44): 1001-1011, 2005

      4 임효경,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1-20, 2014

      5 이웅배, "특수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 걱정거리 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771-780, 2017

      6 이재원, "특수교육의로서의 체육" 11 (11): 15-21, 2004

      7 오아라, "특수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811-819, 2008

      8 구교만, "특수교사의 좋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과 방해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9 이인수, "초등학생의 기계체조 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정영미, "초등학교 기계체조 수업운영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1차 교육과정~2009개정 교육과정-"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41-150, 2013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정성우,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뜀틀 고개튀겨돌기 체조 수업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143-162, 2013

      3 강유석, "특수학교 체육수업의 소외와 일탈" 한국체육학회 44 (44): 1001-1011, 2005

      4 임효경,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1-20, 2014

      5 이웅배, "특수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 걱정거리 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771-780, 2017

      6 이재원, "특수교육의로서의 체육" 11 (11): 15-21, 2004

      7 오아라, "특수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811-819, 2008

      8 구교만, "특수교사의 좋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과 방해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9 이인수, "초등학생의 기계체조 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정영미, "초등학교 기계체조 수업운영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1차 교육과정~2009개정 교육과정-"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41-150, 2013

      11 송봉규, "초등교사가 인식한 체육수업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2 양갑렬, "초등 체육수업을 소흘히 하는 원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4 (4): 18-28, 2000

      1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14 윤지운, "체조동작을 활용한 지각-운동능력 평가도구 개발 : 발달수준을 준거로한 발발장애학생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15 윤지운, "질적연구의 내용분석을 위한 의미연결망: 특수체육의 활용가능성" 한국체육학회 54 (54): 877-889, 2015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10

      17 박병도,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해결하기"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26, 2007

      18 백종수, "중학교 기계체조 수업 운영 실태 및 부담 요인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83-100, 2006

      19 김석균, "중등체육교사의 수업 걱정거리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23) : 21-28, 2005

      20 이정민, "종이접기 활동이 발달장애아의 지각-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15): 97-127, 2013

      21 임채영,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 특성"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11-133, 2014

      22 조영희, "장애아동·청소년 체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7 : 91-108, 2009

      23 양성실, "서울시 중학교 기계체조 수업실태 조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김성재, "발달적 게임과 교육체조를 통합한 유아동작교육활동의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5 정우식, "동료·임상장학을 통한 초등학교 ‘체조활동’ 영역의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55-72, 2009

      2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27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8 손준구, "교육대학생의 체조교수능력진단을 위한 문화기술적 연구" 6 (6): 33-43, 2000

      29 윤동훈, "교수적 수정이 발달장애 중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문제행동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35-54, 2009

      30 장미순,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47-174, 2013

      31 Kioumourtzoglou, E., "Experience with perceptual and motor skills in rhythmic gymnastics" 84 : 1363-1372, 1997

      32 Gallahue, D. L.,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all children" Human Kinetic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