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오수견의 구전적 설화를 중심으로 돌비의 출토 및 현 오수면 원동공원과의 연계성을 통해 오수의 지명적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오수면에 위치한 의견공원, 김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6389
2023
Korean
Osu righteous dog ; Wondong Park ; Osu-myeon ; Imsil-gun ; Osu-dog tombstone ; 오수견 ; 원동공원 ; 전북 임실군 오수면 ; 오수의견
KCI등재
학술저널
219-24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오수견의 구전적 설화를 중심으로 돌비의 출토 및 현 오수면 원동공원과의 연계성을 통해 오수의 지명적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오수면에 위치한 의견공원, 김개...
본 연구의 목적은 오수견의 구전적 설화를 중심으로 돌비의 출토 및 현 오수면 원동공원과의 연계성을 통해 오수의 지명적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오수면에 위치한 의견공원, 김개인 생가 등 풍수적인 물형가치를 찾아 구전에 합당한 공간을 설정하고, 이 설정이 구전적 오수의견(義犬)과 부합하는 지리적 형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오수의견은 구전이나 나름의 역사성을 갖추고 있는 문헌적 사료(史料)가 있으며 그와 관련하여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오수면의 의견스토리가 담긴 공간성은 반려견문화 세계화에 따라서 더욱 그 의미의 확장성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수면의 정체성과 지명 그리고 전반적인 인문학적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의견의 구전적 이야기와 합치하는 풍수적 의견물형(義犬物形)을 더하고 구전적 오수견 이야기의 토대를 돌비출현과 연관 지어 스토리의 완성적 공간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구전적 이야기로만 전해오던 인간과 반려견(의견)과의 인격적 애정관계를 통해서 그들 간의 생명관을 고찰함과 동시에 오수의견 이야기의 실제적 역사로서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오수의견 이야기의 주 무대로 알려진 오수면의 지명적 정체성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바탕으로 오수의견과의 연결성 있는 스토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graphical value of Osu-myeon through the discovery of tombstone and the connection with Wondong Park in Osu-myeon, focusing on the oral tales of Osu-dog. The righteous dog of Osu-myeon, Imsil-gun has literar...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graphical value of Osu-myeon through the discovery of tombstone and the connection with Wondong Park in Osu-myeon, focusing on the oral tales of Osu-dog. The righteous dog of Osu-myeon, Imsil-gun has literary historical data with oral traditions or written historical data with its own history, and it is also a space that is still loved by the local residents. Therefore, the spatiality of Osu-myeon's story of a righteous dog can expand its meaning further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companion dog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n life between humans and their dogs through the personal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was simply passed down through oral storytelling,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story of the righteous dog as an actual history. In addition, we sought to find out the geographical identity of Osu-myeon, known as the main stage of the Osu righteous story, and find a story that is connected to Osu-dog based on its meaning.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남, "한옥 짓는 법" 도서출판 돌베개 2020
2 이남덕, "한국어 어원 연구 1"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7
3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7
4 김동현, "한국목조주택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8
5 김동현, "한국목저 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3
6 김왕직, "한국건축용어, 문과 창" 도서출판 발언 2001
7 김왕직, "한국건축용어, 기둥" 도서출판 발언 2001
8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 답사 수첩, 온돌, 동녘" 도서출판 동녘 2009
9 도수희, "한국 지명 신 연구-지명 연구의 원리와 응용" 도서출판 제이앤씨 2011
10 안갑수, "풍수지리학의 명당론과 그 실체적 의미에 대한 고찰" 44-55, 2018
1 김종남, "한옥 짓는 법" 도서출판 돌베개 2020
2 이남덕, "한국어 어원 연구 1"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7
3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7
4 김동현, "한국목조주택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8
5 김동현, "한국목저 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3
6 김왕직, "한국건축용어, 문과 창" 도서출판 발언 2001
7 김왕직, "한국건축용어, 기둥" 도서출판 발언 2001
8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 답사 수첩, 온돌, 동녘" 도서출판 동녘 2009
9 도수희, "한국 지명 신 연구-지명 연구의 원리와 응용" 도서출판 제이앤씨 2011
10 안갑수, "풍수지리학의 명당론과 그 실체적 의미에 대한 고찰" 44-55, 2018
11 김경은, "집, 인간이 만든 자연" 책으로 보는 세상 2014
12 김홍식, "조선 궁궐의 막새기와 문양과 장식기와" 민속원 2009
13 도수희, "옛지명 해석에 관한 문제들" 한국지명학회 3 : 53-69, 2000
14 도수희, "옛 지명 「裳, 巨老,. 買珍伊」에 관한 문제" 한국지명학회 9 : 61-81, 2003
15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도서출판 동녘 2007
16 도수희, "삼한어 연구" 도서출판 제이앤씨 2008
청소년의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예측변인 탐색 : 정서상태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류 문화와 BTS 현상 : 일본에서 BTS 유행은 ‘조선인관’을 넘어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