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마리아 난(Haemaria discolor Lindl.) 종자 배양에 의한 미세번식 = Micropropagation of Haemaria discolor Lindl. through Seed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7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마리아 난 종자의 기내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적합한 수분 시기를 구명하고, 식물생장조절물질 및 종자 저온전처리가 기내발아 및 근경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해마리아 난 종자의 기내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적합한 수분 시기를 구명하고, 식물생장조절물질 및 종자 저온전처리가 기내발아 및 근경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시기 즉개화 당일에서 1일 후, 2일에서 5일 후, 6일에서 10일 후 및 11일에서 15일 후에 자가수분 시킨 후 35일이 경과되었을 때 자연 상태에서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11일에서 15일(A4)후에 수분 시켰을 때 71.4%로 가장 높았다. 종자의 성숙정도별 기내발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개화 당일에서 15일까지 시기별로 자가수분을 실시하여 35일이 경과한 후 꼬투리 내 형성된 미성숙 및 성숙 종자를 1.0 mg·L<sup>-1</sup> NAA, 1.0 mg·L<sup>-1</sup> TDZ가 혼용 첨가된 1/2 MS 배지에 배양한 결과 기내 배양에서의 발아율은 개화 10일 후에 수분시킨 종자에서 100일 및 200일이 경과되었을 때 25.2% 및 36.1%의 발아율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내 발아율 및 근경 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은 1/2 MS 기본배지에 1.0 mg·L<sup>-1</sup> NAA와 1.0 mg·L<sup>-1</sup> TDZ 혼용첨가한 배지에서 발아율이 48.9%로 효과적이었으며, BA, 2ip 및 kinetin을 각각 1.0 mg·L<sup>-1</sup> 씩 혼용 처리한 결과 NAA와 BA 혼용처리에서는 근경이 66.3개로 형성되었다.
      종자의 저온전처리가 기내발아 및 근경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착과된 종자꼬투리를 5℃의 냉장고에서 15일간 처리한 결과 배양 60일 후에 발아수가 271.9개, rhizome은 85.7개가 발생되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stablish a mass production system of Haemaria discolor Lindl., we investigated the several factors including optimum time of pollination to induce the seed formation and ratio of fruit set and effect of seed maturity, low temperature treatment, an...

      To establish a mass production system of Haemaria discolor Lindl., we investigated the several factors including optimum time of pollination to induce the seed formation and ratio of fruit set and effect of seed maturity,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in vitro germination. To obtain seeds, self-pollination was done in various times after flowering, i.e. 0-1 days, 2-5 days, 6-10 days, and 11-15 days after flowering (DAF). The half strength of MS medium was used as the basic, and PGRs included NAA in combination with TDZ, BA, 2ip, and kinet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fruit set (71.4%) occurred when pollinated 11-15 DAF. The in vitro seed germination was highest (25.2%) when the immature seeds, collected 11 to 15 days after pollination done 6-10 DAF,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containing 1.0 mg·L<sup>-1</sup> NAA and 1.0 mg·L<sup>-1</sup> TDZ. The rhizome production from the seed culture was highest in the mixed treatment of 1.0 mg·L<sup>-1</sup> NAA and 1.0 mg·L<sup>-1</sup> BA.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of seed on germination and rhizome production was most effective when seed capsules were stored at 5˚C for 15 day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