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실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2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와 2005년 대학수학능력시험(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수리표준점수를 이용하여 남녀 노동시장 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결정요인으로 남자는 청소년 시절 미래직업 설계와 전공-직무매치가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여자는 수학실력과 기술 분야 직업에서 커리어를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특히, 수학 관련 요인은 어려운 수학공부에 대한 보상이 주어져 임금상승 효과로 나타났다. 수학에 흥미를 가진 경우, 수능 수리표준점수 10점 상승은 시간당임금 기준으로 0.2%의 임금상승 효과를 보였고, 특히, 수리가형에서는 수능 수리성적의 임금효과는 0.6%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학 관련 요인들은 차별적 격차를 줄이면서 남녀 임금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수학실력에 대한 보상에 남녀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미이다.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실력이 보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문제는 여자들의 수학 기피이다.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키워주고, 수학과 미래직업에 대한 전망을 연결하여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정책의 개선과 변화를 통해 남녀 보상격차를 줄이고, 미래 핵심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와 2005년 대학수학능력시험(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수리표준점수를 이용하여 남녀 노동시장 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결정요인...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와 2005년 대학수학능력시험(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수리표준점수를 이용하여 남녀 노동시장 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결정요인으로 남자는 청소년 시절 미래직업 설계와 전공-직무매치가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여자는 수학실력과 기술 분야 직업에서 커리어를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특히, 수학 관련 요인은 어려운 수학공부에 대한 보상이 주어져 임금상승 효과로 나타났다. 수학에 흥미를 가진 경우, 수능 수리표준점수 10점 상승은 시간당임금 기준으로 0.2%의 임금상승 효과를 보였고, 특히, 수리가형에서는 수능 수리성적의 임금효과는 0.6%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학 관련 요인들은 차별적 격차를 줄이면서 남녀 임금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수학실력에 대한 보상에 남녀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미이다.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실력이 보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문제는 여자들의 수학 기피이다.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키워주고, 수학과 미래직업에 대한 전망을 연결하여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정책의 개선과 변화를 통해 남녀 보상격차를 줄이고, 미래 핵심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easured performance of labor market using combined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2005. Results show that ten points increase of mathematics score of the CSAT is related with 0.1% income increase based on hourly wage. On top of that, if applied interest in Maths, the effect of income increase is 0.2%. Expecially, in the case of selecting type Ga math test and being interest in math, the income increase effect is 0.6%. Attitude of math and math ability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are connected to labor market performance. Factors related with math militate against gender wage disparity.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in woman is largely a matter of personal preference. Improvement of math and career education policy through arousing interest in math and job design utilizing math can reduce gender wage gap, and also math base expans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번역하기

      This paper measured performance of labor market using combined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2005. Results show that ten points increase of mathematics score of the CSAT is related wit...

      This paper measured performance of labor market using combined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2005. Results show that ten points increase of mathematics score of the CSAT is related with 0.1% income increase based on hourly wage. On top of that, if applied interest in Maths, the effect of income increase is 0.2%. Expecially, in the case of selecting type Ga math test and being interest in math, the income increase effect is 0.6%. Attitude of math and math ability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are connected to labor market performance. Factors related with math militate against gender wage disparity.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in woman is largely a matter of personal preference. Improvement of math and career education policy through arousing interest in math and job design utilizing math can reduce gender wage gap, and also math base expans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