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석, "劉宋의 建國과 佛敎" 15 : 2001
2 정면, "龍顔碑를 통해 본 5세기 雲南 ‘西찬’ 세력의 성격" 중국고중세사학회 (18) : 349-392, 2007
3 김석우, "禮學에서 史學으로 -王肅과 杜預 학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86) : 89-123, 2013
4 김유철, "梁陳時代嶺南統治와 種族問題-‘俚’의 性格을 中心으로" 76 : 2001
5 김선민, "兩漢 이후 皇帝短喪制의 확립과 官人三年服喪의 入律" 동양사학회 (98) : 135-185, 2007
6 지배선, "중세 중국사 연구 : 慕容燕과 北燕史" 연세대출판부 1998
7 전영섭, "중국중세신분제연구" 신서원 2001
8 김용범, "중국중세사연구 : 南朝士人을 중심으로" 보성 2002
9 金裕哲, "중국중세(魏·晉·南北朝·隨·唐) 탐색과 심화: 2000 - 2001 魏晉南北朝 隨唐史 硏究의 動向과 展望" 역사학회 175 : 307-331, 2002
10 신성곤, "중국의 부곡, 잊혀진 역사 사라진 인간" 책세상 2006
11 홍승현, "중국과 주변 – 중국의 확대와 고대 중국인의 세계 인식" 혜안 2009
12 김진무, "중국 황실의 불교수용과 정책 - 漢ㆍ魏 ㆍ 南北朝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53) : 117-135, 2009
13 김인숙, "중국 중세 사대부와 술ㆍ약 그리고 여자" 서경문화사 1998
14 박한제, "제국으로 가는 긴 여정" 사계절 2003
15 김경호,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士"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16 권중달, "위진남북조시대를 위한 변명 : 속박과 방종의 경계에 서다" 삼화 2012
17 이공범, "위진남북조사" 지식산업사 2003
18 박한제, "영웅시대의 빛과 그늘" 사계절 2003
19 권인한,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20 홍승현, "사대부와 중국 고대사회 – 사대부의 등장과 정치적 각성에 대한 연구" 혜안 2008
21 장보영, "북위초기 정권의 성격과 통치방식의 변화 – 이중적 통치지배 방식과 관련하여" 11 : 2004
22 최진열, "북위 황제의 순행과 호한사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3 최진열, "발해국호연구" 서강대출판부 2015
24 정재균, "동아시아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 Ⅱ" 중국사학회 (97) : 371-400, 2015
25 최진열, "대륙에 서다" 미지북스 2010
26 박한제, "대당제국과 그 유산 : 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 세창출판사 2015
27 장인성, "남조의 상례 연구 – 황제의 의례를 중심으로" 32 : 2000
28 이영석, "남북조불교사" 혜안 2010
29 홍승현, "고대 중국의 예와 예학" 혜안 2014
30 박한제, "강남의 낭만과 비극" 사계절 2003
31 안순형, "魏晋南朝에서 불교전래와土着信仰의 대응" 중국사학회 (94) : 47-81, 2015
32 金錫佑, "魏晉時期 杜預의 年譜稿" 중국사학회 41 (41): 93-135, 2006
33 이성원, "魏晉士大夫의 淸談 문화와 ‘有志’論 ― 嵇康의 『家誡』를 中心으로 ―" 한국중국학회 (67) : 107-130, 2013
34 김선민, "魏晉南朝의 服喪禮와 公除제도" 중국사학회 84 (84): 33-64, 2013
35 이주현, "魏晉南朝의 將軍制와 ‘寧東大將軍’" 백제문화연구소 1 (1): 183-204, 2012
36 김선민, "魏晉南朝 시기 관료를 위한 황제의 哀悼禮" 중국고중세사학회 (28) : 93-126, 2012
37 신성곤, "魏晉南北朝시대의 人口 移動과 地域的 分布" 동양사학회 (103) : 49-86, 2008
38 이상규, "魏晉南北朝時期江南地域개발의 형태와 그 역사적 의의" 3 : 1997
39 김영환, "魏晉南北朝時期北方民族史硏究 : 拓拔鮮卑族의 歷史와 文化" 아이반호 2003
40 홍승현, "魏晉南北朝時期 中華意識의 변용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동북아역사재단 (40) : 253-312, 2013
41 하원수, "魏晉南北朝 時期의 ‘士’에 관한 一試論― 日本 學界에서의 ‘貴族’論에 대한 再檢討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0) : 85-125, 2012
42 신성곤, "魏周革命(557)과 宇文護 執政初의 政治的 指向" 중국고중세사학회 15 (15): 153-195, 2006
43 김종완, "顔氏家訓" 푸른역사 2007
44 이계명, "隋唐官僚制의 成立과 展開 : 山東貴族과 山東官僚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출판부 1995
45 박한제, "陳寅恪의 都城論 補正 ― ‘宮城偏北論’과 ‘北門關鍵論’을 中心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30) : 143-189, 2013
46 박한제, "金文經敎授停年退任紀念동아시아사연구논총" 혜안 1996
47 박한제, "遊牧國家와 城郭 - 坊牆制의 出現과 그 背景 -" 역사학회 200 (200): 419-482, 2008
48 신성곤, "身分史로 본 魏晉南北朝史" 38 : 1998
49 최진열, "西魏北周 華州(同州)의 政治·軍事的 지위와 역할" 중국고중세사학회 (31) : 231-261, 2014
50 정재훈, "西魏ㆍ北周時期(534-581)의 대외정책" 42 : 2000
51 김석우, "西晉 시기 杜預 『左傳』 주석의 몇 가지 형식과 그의 정치적 이상" 동양사학회 (130) : 45-90, 2015
52 강문호, "范縝神滅論과 그 찬술배경" 27 : 2008
53 박한제, "胡族의 中原統治構造와 北魏均田制" 8 : 2001
54 김성한, "百濟의 遼西 영유와 ‘樂浪’" 호남사학회 (52) : 171-205, 2013
55 김성한, "百濟의 遼西 영유와 ‘百濟郡’" 호남사학회 (50) : 1-31, 2013
56 강정설, "河西에서의 政權 出現과 河西의 浮上" 중국고중세사학회 23 (23): 149-194, 2010
57 최진열, "東魏北齊의 華北 지배와 그 한계" 동양사학회 (125) : 83-136, 2013
58 안순형, "東魏 · 北齊시기 佛敎動向과 文宣帝의 佛敎觀" 부산경남사학회 (75) : 275-308, 2010
59 이영석, "東晋 比丘尼에 관한 小考 - 「比丘尼傳」을 중심으로 -" 중국사학회 36 (36): 79-108, 2005
60 신성곤, "東晉시기 部曲·兵戶의 구성과 部曲主의 성격" 중국사학회 24 : 79-118, 2003
61 박수정, "東晉時代僑州郡縣制의 成立" 12ㆍ13 : 1999
62 이균은, "東晉南朝時代의 山澤開發에 대한 一考察-北人貴族과 南人胡族의 在地性을 중심으로" 11 : 1995
63 홍정아, "東晉南朝時代 長江中流域의 행정구역 변화와 그 특징" 중국고중세사학회 (35) : 333-368, 2015
64 홍정아, "東晉南朝時代 荊楚地域文化와 ‘荊楚人’ 意識" 동양사학회 (118) : 43-85, 2012
65 홍정아, "東晉南朝時代 荊ㆍ雍 地域人의 출사와 僑舊의 갈등 ― 南郡王 劉義宣 반란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30) : 191-225, 2013
66 박한제, "東晉ㆍ南朝史와 僑民-‘僑舊體制’의 형성과 그 展開" 53 : 1996
67 정재균, "東晉․宋齊 佛敎의 地域別 展開 樣相 ― 釋慧皎의 『高僧傳』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5) : 267-308, 2011
68 홍승현, "後漢末~魏晉時期 尙書學의 전개와 그 의의" 동양사학회 (130) : 1-44, 2015
69 이재성, "古代東蒙古史硏究" 법인문화사 1996
70 김한규, "古代東亞細亞幕府體制硏究" 일조각 1997
71 양진성, "南朝의 王言 敕의 정립과 그 운영" 중국고중세사학회 (27) : 247-279, 2012
72 김종완, "南朝의 戎蠻府" 又石大人文科學硏究所 3 : 1996
73 김용범, "南朝의 士人에 대하여-梁ㆍ陳交替期의 貳臣을 중심으로" 8 : 1996
74 양진성, "南朝時期 王言의 構造와 運營 ― 詔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32) : 239-280, 2014
75 이계명, "北魏時代 河東薛氏의 動向" 호남사학회 (23) : 1-48, 2004
76 최진열, "北魏後期 洛陽거주 胡人들의 생활과 문화 ― 孝文帝의 ‘漢化政策’의 재검토 ―" 중국고중세사학회 (24) : 379-433, 2010
77 최진열, "北魏後期 胡語사용 현상과 그 배경" 중국고중세사학회 (23) : 195-246, 2010
78 백윤목, "北魏均田制에 있어서 民의 受田對象과 受田順序에 대하여" 14 : 1996
79 박한제, "北魏均田制成立의 前提-征服君主의 資源確保策과 督課制" 37 : 1999
80 김용천, "北魏 孝文帝 ‘三年喪’의 실체와 그 성격" 중국사학회 (86) : 125-160, 2013
81 백윤목, "北魏 均田法 제 8條의 疑難點에 대한 檢討" 부산경남사학회 (85) : 301-322, 2012
82 김성한, "北魏 均田制의 새로운 이해 - 수전 자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70) : 103-127, 2009
83 白允穆, "北魏 均田制의 實行에서 還受 問題에 대한 검토" 중국사학회 24 : 119-174, 2003
84 신성곤, "北周 宇文護 執政期의 王都와 覇府" 중국고중세사학회 17 (17): 227-262, 2007
85 김유철, "北伐을 통해 본 東晉朝廷의 國家觀과 皇帝權" 6 : 2000
86 김민수, "劉裕의 劉宋革命과 寒門勢力" 2 : 1996
87 지배선, "前秦 苻堅에 대하여 - A.D.358~365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47) : 315-352, 2009
88 전상걸, "分裂과 統合: 中國中世의 諸相" 지식산업사 1998
89 김성희, "代國에서 北魏로 ―拓跋 統治者의 性格 變化와 漢人士族의 收用―" 이화사학연구소 (41) : 243-285, 2010
90 이춘호, "五胡王朝의 胡人 지배방식과 그 성격 - 大單于의 任職과 單于臺의 설치를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1) : 239-284, 2011
91 조영래, "五胡十六國시기 民族政權과 部落制- ‘胡漢分治’의 이해를 위하여" 16 : 2009
92 김성희, "五胡十六國ㆍ北朝 時期, 母后의 干政 ― 慕容氏와 拓跋氏의 興亡을 이해하기 위한 前提 ―" 중국고중세사학회 (33) : 127-160, 2014
93 정수덕, "九朝律考(4)" 세창출판사 2015
94 정수덕, "九朝律考(3)" 세창출판사 2015
95 박한제, "中華의 分裂과 隣近 各國의 對應 -'多重的'中華世界의 成立-" 한국중국학회 (54) : 251-279, 2006
96 김택민, "中國土地經濟史硏究" 고려대출판부 1998
97 김성한, "中國土地制度史硏究" 신서원 1998
98 박근칠, "中國古代의 戶籍記載樣式變化와 計帳樣式의 關係" 9 : 2002
99 김종완, "中國南北朝史硏究 : 朝貢ㆍ交聘關係를 중심으로" 일조각 1995
100 강문호, "中國中世政治史硏究" 국학자료원 1999
101 김한신, "中國 后土 信仰의 변천과정─ 漢代~唐代 후토 이미지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 중국고중세사학회 (37) : 237-264, 2015
102 홍승현, "中國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Ⅰ" 중국사학회 (96) : 301-344, 2015
103 조성우, "中世 中國 生死觀의 一面과 道敎 ― 殃禍의 觀念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5) : 185-222, 2011
104 박근칠, "‘前秦建元20年(384)籍’과 호적 기재양식의 변천 ― 4~10세기 서북지역출토 호적류 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31) : 29-85, 2015
105 홍승현, "[역주] 동아시아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 Ⅲ" 중국고중세사학회 (37) : 265-305, 2015
106 조성우, "5세기 北魏 佛敎에서 보이는 위기의식 - 「大慈如來告疏」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36) : 277-310, 2015
107 김영환, "5胡16國 君主의 文化變容에 관한 硏究" 한중인문학회 (9) : 244-280, 2002
108 이춘호, "4세기 초 河西지역 張氏정권(301~332)의 출현과 그 성격" 역사학회 (214) : 65-110, 2012
109 이균은, "3世紀 前半 曹魏의 對外政策" 중국사학회 19 : 37-7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