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2 김신근, "한국의학대계(18)" 여강출판사 1994
3 "한국의 지식콘텐츠.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18"
4 오재근, "중국, 일본, 한국의 의안 비교를 통해 살펴본 17~18세기 한국의 상한의학" 24 (24): 2014
5 이기복, "의안(醫案)으로 살펴보는 조선후기의 의학 - 실행과정에서 보이는 의학지식에 대한 태도와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29-459, 2012
6 하기태, "의문보감에 수록된 주명신의안에 대한 연구" 13 (13): 2000
7 신동원, "역시만필: 조선어의 이수귀의동의보감 실전기" 도서풀판 들녘 2015
8 허준, "대역동의보감" 법인문화사 1999
9 장태경, "국역 우잠만고ㆍ우잠잡저"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10 이꽃메, "『역시만필(歷試漫筆)』의 사례로 재구성한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질병" 대한의사학회 24 (24): 497-532, 2015
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2 김신근, "한국의학대계(18)" 여강출판사 1994
3 "한국의 지식콘텐츠.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18"
4 오재근, "중국, 일본, 한국의 의안 비교를 통해 살펴본 17~18세기 한국의 상한의학" 24 (24): 2014
5 이기복, "의안(醫案)으로 살펴보는 조선후기의 의학 - 실행과정에서 보이는 의학지식에 대한 태도와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29-459, 2012
6 하기태, "의문보감에 수록된 주명신의안에 대한 연구" 13 (13): 2000
7 신동원, "역시만필: 조선어의 이수귀의동의보감 실전기" 도서풀판 들녘 2015
8 허준, "대역동의보감" 법인문화사 1999
9 장태경, "국역 우잠만고ㆍ우잠잡저"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10 이꽃메, "『역시만필(歷試漫筆)』의 사례로 재구성한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질병" 대한의사학회 24 (24): 497-532, 2015
11 이선아, "19세기 고창지방 의원 은수룡이 남긴 경험의안" 한국의사학회 18 (18): 63-91, 2005
12 이기복, "18세기 의관 이수기(李壽祺)의 자기인식: 기술직 중인의 전문가의식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2 (22): 483-52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