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인권정책의 가외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Redundancy of Human Rights Policy in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0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인권정책 메커니즘이 당면하고 있는 국내외적 도전을 가외성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당면한 문제점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대상인 국가인권위원회는 국제인권적 배경을 가지고 설립되었기 때문에 일반적 국내 정부 기관과 비교하여 태생적으로가 외성 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 기관이 담당하는 역할과 운영을 둘러싸고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논란이 있어 왔다. 법적으로 독립기관이지만 기관의 권위가 공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기준 과 국내법 사이에서 어느 한 입장에 편중되는 것은 다른 한편의 즉각적인 반 발의 표적이 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사회문화적으로 논란이 되는 문제에서 현상유지 상태를 흔드는 권고는 심각한 사회적 반발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국가인권위가 당면한 현실도 사회적 양대 세력 즉 정부와 인권정책 메커니즘의 다른 한 축인 비정부기구(NGO)간의 갈등에 휘둘리는 취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법무부의 인권국의 기능 확대가 인권감시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의 무력화를 초래함으로써, 국가 인권정책은 인권보호의 본질을 잃고 대외홍보용 인권정책이 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 연구는 인권정책의 추진에서 행정기관 의 획일성 혹은 능률성 논리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하고, 가외성의 시각이 국가인권기구의 위상 확보 그리고 궁극적으로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논리적 기초가 될 것임을 논증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인권정책 메커니즘이 당면하고 있는 국내외적 도전을 가외성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당면한 문제점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대상...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인권정책 메커니즘이 당면하고 있는 국내외적 도전을 가외성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당면한 문제점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대상인 국가인권위원회는 국제인권적 배경을 가지고 설립되었기 때문에 일반적 국내 정부 기관과 비교하여 태생적으로가 외성 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 기관이 담당하는 역할과 운영을 둘러싸고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논란이 있어 왔다. 법적으로 독립기관이지만 기관의 권위가 공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기준 과 국내법 사이에서 어느 한 입장에 편중되는 것은 다른 한편의 즉각적인 반 발의 표적이 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사회문화적으로 논란이 되는 문제에서 현상유지 상태를 흔드는 권고는 심각한 사회적 반발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국가인권위가 당면한 현실도 사회적 양대 세력 즉 정부와 인권정책 메커니즘의 다른 한 축인 비정부기구(NGO)간의 갈등에 휘둘리는 취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법무부의 인권국의 기능 확대가 인권감시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의 무력화를 초래함으로써, 국가 인권정책은 인권보호의 본질을 잃고 대외홍보용 인권정책이 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 연구는 인권정책의 추진에서 행정기관 의 획일성 혹은 능률성 논리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하고, 가외성의 시각이 국가인권기구의 위상 확보 그리고 궁극적으로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논리적 기초가 될 것임을 논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ddresses the redundancy and conflicts of the policy process surrounding the challenges and tasks facing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remedy for the issue. Sinc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NHRCK) was established as a quasi-international body with the mandate of implemen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t has faced a variety of challenges and political impasses. The human rights machinery, functionally located between the international bod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a target of criticism and undermining due to noncompliance from other institutions because the human rights machinery is not well established as a national institution at home. The recommendations of the NHRCK, which might otherwise sway the status quo of controversial issues in society, have been criticized by opponents in the political arena.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HRCK shows the vulnerability of the human rights body, which was created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bod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When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human rights bureau in the Ministry of Justice overwhelms and marginalizes the function of the NHRCK as a monitoring body authorized by UN,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loses sight of its goal of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preferring instead to pretend to observ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insists that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policy in Korea was originally designed with the intention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and it can be reinforced by respecting the independency of the NHRCK, encouraging redundancy in the policy process.
      번역하기

      This study addresses the redundancy and conflicts of the policy process surrounding the challenges and tasks facing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remedy for the issue. Sinc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NHRCK) wa...

      This study addresses the redundancy and conflicts of the policy process surrounding the challenges and tasks facing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remedy for the issue. Sinc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NHRCK) was established as a quasi-international body with the mandate of implemen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t has faced a variety of challenges and political impasses. The human rights machinery, functionally located between the international bod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a target of criticism and undermining due to noncompliance from other institutions because the human rights machinery is not well established as a national institution at home. The recommendations of the NHRCK, which might otherwise sway the status quo of controversial issues in society, have been criticized by opponents in the political arena.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HRCK shows the vulnerability of the human rights body, which was created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bod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When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human rights bureau in the Ministry of Justice overwhelms and marginalizes the function of the NHRCK as a monitoring body authorized by UN,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loses sight of its goal of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preferring instead to pretend to observ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insists that the mechanism of human rights policy in Korea was originally designed with the intention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and it can be reinforced by respecting the independency of the NHRCK, encouraging redundancy in the policy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인권정책의 특수성
      • Ⅱ. 이론적 배경
      • 1. 정부조직과 국가인권기구의 관계
      • 2. 선행연구의 검토
      • 3. 분석의 틀
      • Ⅰ. 서 론:인권정책의 특수성
      • Ⅱ. 이론적 배경
      • 1. 정부조직과 국가인권기구의 관계
      • 2. 선행연구의 검토
      • 3. 분석의 틀
      • Ⅲ. 인권정책 시스템의 가외성 분석
      • 1. 국가인권위원회와 법무부 정책 업무 비교
      • 2. 인권정책에서 양 기관의 인식격차
      • 3. 국가인권위위원회의 독립성 검토
      • Ⅳ.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가외성
      • 1. NAP의 수립과정
      • 2. NAP 수립 집행 구조의 문제점
      • 3. 국가인권위원회의 정책권고와 감시 기능 검토
      • Ⅴ. 결론:분석의 결과와 정책적 함의
      • 1. 인권정책의 가외성 분석 결과 검토
      • 2. 종합적 인권보호 제도 구축
      • 3. 국제인권조약의 감시기능 강화
      • 참고문헌
      • Abstract
      • 필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평, "효율성의 행정학과 가외성의 행정학:문제상황과 합리성의 기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11) : 123-143, 1983

      2 김창수, "효율성과 가외성의 딜레마: 상수도정책의 불확실성과 모호성 그리고 도그마" 정부학연구소 19 (19): 241-272, 2013

      3 연합뉴스, "현병철호 인권위"

      4 문경란, "현병철 인권위원장의 업적"

      5 현병철, "현병철 인권위원장 퇴임: 인권위 독립성 우려되는 상황"

      6 박연호, "행정학신론" 박영사 2003

      7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1992

      8 곽노현, "징검다리 교육감" 메디치 2014

      9 국가인권위원회, "제3기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 수립을 위한 연구(사회권)" 2016

      10 국가인권위원회, "제2기 UPR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자료집"

      1 김영평, "효율성의 행정학과 가외성의 행정학:문제상황과 합리성의 기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11) : 123-143, 1983

      2 김창수, "효율성과 가외성의 딜레마: 상수도정책의 불확실성과 모호성 그리고 도그마" 정부학연구소 19 (19): 241-272, 2013

      3 연합뉴스, "현병철호 인권위"

      4 문경란, "현병철 인권위원장의 업적"

      5 현병철, "현병철 인권위원장 퇴임: 인권위 독립성 우려되는 상황"

      6 박연호, "행정학신론" 박영사 2003

      7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1992

      8 곽노현, "징검다리 교육감" 메디치 2014

      9 국가인권위원회, "제3기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 수립을 위한 연구(사회권)" 2016

      10 국가인권위원회, "제2기 UPR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자료집"

      11 국가인권위원회, "제2기 NAP 이행점검을 위한 토론회(2014. 6. 17)"

      12 정정길, "정책학연구" 대명출판사 2002

      13 임재홍, "인권위는 독립성이 원칙이다"

      14 최성인, "인권위, 억지 ‘다이어트’의 속사정:인권위 조직 축소의 겉과 속을 들여다보다"

      15 "인권기본법제정을 위한 제2차공청회"

      16 추미애, "인권기본법 입법공청회 자료"

      17 국가인권위원회, "인권 NAP 이행점거를 위한 토론회"

      18 최민희,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설문결과, “법조계 전문가들 79% 이성호 후보자 국가인권위원장으로 부적합”"

      19 김창수, "위험사회와 가외성의 효용: 고리원전 정전사고 사례의 분석" 한국정부학회 25 (25): 595-618, 2013

      20 안경환, "시대유감" 라이프맵 2012

      21 국가인권위원회, "세계 국가인권기구 현황 연구" 휴먼컬처아리랑 2015

      22 "법무부 홈페이지"

      23 김종문, "법무부 인권국과 국가인권정책"

      24 고발뉴스, "법무부 “인권 보호 주체는 법무부 : 시민단체 반발”"

      25 문경란, "문경란 서울시민 인권헌장 제정 시민위원회 부위원장인터뷰, “동성애 반대한다고 적극적으로 손든 분도 있다”"

      26 미디어 오늘, "무력감에 빠진 인권위"

      27 법무부, "대한민국 정부, 국가인권정책 기본계획 2012-2016" 2013

      28 국가인권위원회, "노동조합설립신고서 반려처분 취소소송에 관한 의견제출"

      29 국가인권위원회, "노동조합 설립에 관한 법령 및 정책 개선 권고"

      30 안경환, "김현정의 뉴스쇼, CBS 인터뷰(2013.2.18.)"

      31 박찬운, "국제인권법으로 본 국가인권위원회의 의의와 독립성" 법학연구소 26 (26): 85-102, 2009

      32 법무부, "국가인권정책협의회 규정(대통령훈령 제220호)"

      33 법무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2012년도 이행상황"

      34 이호중, "국가인권위위원회 5년 평가와 과제 1 :국가인권위위원회 인권기준 설정기준의 성과와 과제"

      35 "국가인권위위원장인선절차 마련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시민사회단체연석회의(2015. 6. 8.)"

      36 정해영,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보장을 위한 기관소송" 법학연구소 8 (8): 13-46, 2014

      37 헌법재판소, "국가인권위원회와 대통령 간의 권한쟁의, 전원재판부 2009헌라6, 2010. 10. 28"

      38 박찬운, "국가인권위원회와 대통령 간의 권한쟁의 결정(2009헌라6)에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8 (28): 99-118, 2011

      39 "국가인권위원회법(시행 2016. 2. 3., 법률 제14028호, 2016.2.3)"

      40 시민단체 56개, "국가인권위원회 형식적 NAP추진 비판과 민간위원 추천거부 인권단체기자회견(2011. 6. 28.)"

      41 정호경,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제도에 관한 고찰 -행정소송, 행정심판, 심사청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8 (28): 57-80, 2011

      42 정태욱, "국가인권위원회 독립성에 관한 제도 개선론 소고" 법학연구소 13 (13): 229-264, 2010

      43 명숙, "국가인권위원장은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 인권위원장의 자격과 인선절차"

      44 하태수, "가외성 시각에서 본 경쟁정책기구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대한 시론적 탐색" 한국공공관리학회 20 (20): 157-188, 2006

      45 The Danish Centre for Human Rights, "The Work and Practice of Ombudsman and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46 Landau, M., "Redundancy, Rationality, and the Problem of Duplication and Overlap" 29 (29): 346-358, 1969

      47 Bendor, J. B., "Parallel systems : Redundancy in Governmen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48 UN OHCHR,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History, Principl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49 Doran, M., "Legislativ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ve Redundancy, Legislative Organizaion" 91 : 1821-, 2011

      50 국가인권위원회, "ICC 승인소위등급심사연기권고에대한국가인권위원회성명"

      51 국가인권위원회, "ICC 승인소위 권고의 실효적 이행을 위한 토론회(2015. 1. 29)"

      52 국가인권위원회, "ICC 권고 반영한 개정 국가인권위원회법 시행:새인권위원 선출절차의 투명성과 다양성 기대"

      53 Felsenthal, D. S., "Applying the Redundancy Concept to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40 (40): 247-252, 1980

      54 인권, 시민, 사회단체, "2기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에 대한 인권단체입장 (성명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6 0.6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