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배전망 운용시스템은 배전자동화, 배전지능화를 거쳐 능동배전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능동배전망에서는 배전선로 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 및 선로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39225
2020
Korean
학술저널
20-26(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배전망 운용시스템은 배전자동화, 배전지능화를 거쳐 능동배전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능동배전망에서는 배전선로 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 및 선로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우리나라의 배전망 운용시스템은 배전자동화, 배전지능화를 거쳐 능동배전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능동배전망에서는 배전선로 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 및 선로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최근 최대 초당 120회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D-PMU(Distribution Phasor Measurement Unit)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보다 빠른 전송속도와 높은 신뢰성을 지닌 통신 네트워크의 배전망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LTE, 5G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의 고장 복구 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능동배전망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국가 에너지 정책과 ICT 융합: 전기 에너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