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의 과정과 어려움 = The study of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0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of 17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swered offline surve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y perceiv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how they actually enact it during their actual instructional planning. As a result of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ll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implement these activities considerably as much as they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challenges in manag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instructional adaptation, evaluation, and teacher reflection. Th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structional design but also teaching and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of 17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swered ...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s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ir teaching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of 17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swered offline surve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y perceiv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how they actually enact it during their actual instructional planning. As a result of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ll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implement these activities considerably as much as they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challenges in manag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instructional adaptation, evaluation, and teacher reflection. Th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structional design but also teaching and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정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업설계과정을 조사하여 지체장애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75명을 목적 표집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수업설계의 각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수업설계는 학생 현행수준 및 요구분석-교육과정분석-교육내용선정 및 수업 목표설정-학생수준별 목표설정-수업모형 및 교수학습방법계획-형성평가-돌발 상황 대비의 7단계로 수행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설계를 하면서 학습목표의 설정,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 수업자료의 선정 및 제작, 수업 실행, 개별화된 교수적 지원, 교육성과의 평가, 수업개선 노력 등에서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수업설계과정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앞으로 지체장애 특수교육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수업설계에 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정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업설계과정을 조사하여 지체장애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 방...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정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업설계과정을 조사하여 지체장애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 175명을 목적 표집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은 수업설계의 각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수업설계는 학생 현행수준 및 요구분석-교육과정분석-교육내용선정 및 수업 목표설정-학생수준별 목표설정-수업모형 및 교수학습방법계획-형성평가-돌발 상황 대비의 7단계로 수행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설계를 하면서 학습목표의 설정,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 수업자료의 선정 및 제작, 수업 실행, 개별화된 교수적 지원, 교육성과의 평가, 수업개선 노력 등에서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수업설계과정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앞으로 지체장애 특수교육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수업설계에 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의 실재(實在):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18, 2012

      2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

      3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4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28, 2012

      6 조인수, "특수교육교사를 위한 수업개선 방법과 실제" 대구대 출판부 2001

      7 전병운, "특수교육과 교과교육" 교육과학사 2009

      8 박남수, "특수교육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9 유영만, "탈(脫)-ISD(Post-ISD) 모델의 가능성과발전방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33-269, 2008

      10 박경옥,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학과 지도의 어려움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7-73, 2010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의 실재(實在):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18, 2012

      2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

      3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4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28, 2012

      6 조인수, "특수교육교사를 위한 수업개선 방법과 실제" 대구대 출판부 2001

      7 전병운, "특수교육과 교과교육" 교육과학사 2009

      8 박남수, "특수교육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9 유영만, "탈(脫)-ISD(Post-ISD) 모델의 가능성과발전방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33-269, 2008

      10 박경옥,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학과 지도의 어려움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7-73, 2010

      11 박계신, "체계적인 수업실연과 분석 활동을 통한 예비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 기술의 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23, 2011

      12 김나현,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7-70, 2011

      13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259-282, 2011

      14 박기용,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1-52, 2010

      15 박경옥, "교육실습을 이수한 예비특수교사의 수업설계활동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5-153, 2012

      16 서선진, "교육실습 중 경험한 수업설계 활동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및 수행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43-166, 2012

      17 오정숙,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37-556, 2011

      18 Dick, W,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Allyn & Bacon 2001

      19 Mercer, C. D.,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Merrill/Prentice Hall 2005

      20 Yesseldyke, J. E., "Special education: A practical approach for teachers" Houghton Mifflin 1995

      21 Visscher-Voerman, I., "Paradigms i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 52 (52): 69-89, 2004

      22 Reiser, R. A., "Instructional planning : A guide for teachers" Allen & Bacon 1996

      23 Rowland, G., "Desig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41 (41): 79-91, 1993

      24 Moallem, M., "An expert teacher's thinking and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nciple: An ethnographic study" 46 (46): 37-64, 1998

      25 정동영, "2010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내용" 국립특수교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