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의 관계: 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0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Using the data of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Rehabilitation Status and Needs Survey', this study included 2,034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enrolled in NPS.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fter controling for a number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degree of disa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Second, each of the medical and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s showed it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That is, each of these experiences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for improving the job engagement of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Using the data of 'The Disability Pen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Using the data of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Rehabilitation Status and Needs Survey', this study included 2,034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enrolled in NPS.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fter controling for a number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degree of disa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Second, each of the medical and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experiences showed it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job engagement. That is, each of these experiences among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for improving the job engagement of the disability pension recipient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과의 관계에서 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공단에서 구축한 '장애연금 수급자의 재활실태 및 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수급자 2,03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수의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는 직업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과의 관계에서 각각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사회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장애연금 수급자의 의료재활서비스나 사회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이 이들의 직업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연금 수급자의 직업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과의 관계에서 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공단에서 구축한 '장애연금 수급자의 재활실태...

      본 연구는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과의 관계에서 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공단에서 구축한 '장애연금 수급자의 재활실태 및 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수급자 2,03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수의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는 직업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연금 수급자의 장애정도와 직업활동과의 관계에서 각각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사회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장애연금 수급자의 의료재활서비스나 사회재활서비스 이용경험이 이들의 직업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연금 수급자의 직업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득,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2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3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19 (19): 1994

      4 權裕卿, "한국 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임금수준 결정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5 천지은, "포항시 등록장애인의 취업욕구 및 실태조사" 포항시장장애인종합복지관 2008

      6 이형열, "취업직종별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3-291, 2007

      7 강위영,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2005

      8 이채식, "정신지체인 직업유지의 영향요인" 한국학술정보 2006

      9 이현주, "재가 산재장애인의 재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1)" 한국노동연구원 2004

      10 박철민, "장애인의 취업촉진 영향요인 분석" 10 (10): 189-214, 2001

      1 김용득,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2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3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19 (19): 1994

      4 權裕卿, "한국 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임금수준 결정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5 천지은, "포항시 등록장애인의 취업욕구 및 실태조사" 포항시장장애인종합복지관 2008

      6 이형열, "취업직종별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3-291, 2007

      7 강위영,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2005

      8 이채식, "정신지체인 직업유지의 영향요인" 한국학술정보 2006

      9 이현주, "재가 산재장애인의 재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1)" 한국노동연구원 2004

      10 박철민, "장애인의 취업촉진 영향요인 분석" 10 (10): 189-214, 2001

      11 정명현, "장애인의 장기실업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12 유동철,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이 취업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42 : 290-313, 2000

      13 최윤영,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10

      14 이선우, "장애인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프로넷을 이용한 분석" 33 : 287-313, 1997

      15 최효진, "장애인 직업욕구조사보고서"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2001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7 백은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23-248, 2007

      18 이익섭,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149-176, 2003

      19 박석돈, "성인장애인의 취업의사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71-188, 2010

      20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21 이승렬,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1

      22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37 (37): 67-88, 1999

      23 조광자, "산재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4 윤조덕,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한국노동연구원 2001

      25 고덕기, "산재병원 입원환자들의 직장 복귀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延世大學校 保健大學院 1998

      26 이승렬, "산재근로자의 노동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27 김재기, "산업재해장해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5

      28 이성규, "사회통합과 장애인복지정책" 나남 2000

      29 변용찬, "복지욕구 다양화에 따른 장애인 복지지표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0 최윤영, "독일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 체계 및 정책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 (2): 35-62, 2005

      31 Aulmann, H, "독일 사 회보장시스템의 재활제도, 산업재해와 직업병으로 인한 산재보험의 재활제도" 근로복지공단 1996

      32 정영순, "고용과 사회복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33 ILO, "World Employment 1995: An ILO Report" ILO 1995

      34 Brolin, "Value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correlates of vacational success with the mentally retarded" 76 (76): 644-651, 1972

      35 Parsons, D. O., "The decline in 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88 (88): 117-134, 1980

      36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7 Badura, B., "Sozialpolitische Rahmenbedingungen, Ziele und Wirkungen von Rehabilitation, In Public Health" Springer Berlin Heidelberg 557-570, 1991

      38 Crip, "Return to work after spinal cord injury" 28-35, 1990

      39 Tuck, M.,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aspects of industrial injury" 49 (49): 20-25, 1983

      40 Belgrave, F. Z.,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justment to Disability in African-American" 57 (57): 37-40, 1991

      41 Mandes, E., "Prediction of vocational success among emotionally impaired and learning-disabled persons" 23 (23): 163-166, 1986

      42 Martz, E., "Person-related and service-related factors predicting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8 (28): 97-104, 2008

      43 Melin, R., "On predi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t a Serdish employability institute" 35 (35): 284-289, 2003

      44 Becker, H. S., "Notes on the concept of commitment" 66 (66): 32-42, 1960

      45 Walls, R, "Measurement of client outcomes in rehabilitation, In Handbook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Rehabilitation" Paul, H. Brooles Publishing Co 1987

      46 Brady, M., "Job observation and behavior scale: A supported employment assessment instrument" 37 (37): 427-433, 2002

      47 Berkowitz, M., "Improving the return to work of social security disability beneficiaries, In Work and Cash Benefits" W. E.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1996

      48 Kirsh, B., "From margins to mainstream: What do we know about work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brain injury, mental illnes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32 (32): 391-406, 2009

      49 Fulton, S. A., "Evidence of employment in equality among females with disability" 94 (94): 149-166, 1994

      50 Aarts, L. J. M., "European experiences with disability policy, In Disability, work and cash benefits"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129-166, 1996

      51 Fitzgerald, T., "Demographic determinants of succes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ardiac patients" 48 (48): 35-38, 1981

      52 McGowan, J. F., "An introduction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53 Dembo, T, "Adjustment to Misfortune: A Problem in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3 (3): 4-62, 1956

      54 Hinemann, A. W.,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Sex Role Identity and Reading Aptitude in Deaf Adolescents" 25 : 197-203, 1982

      55 Houtenville, A. J., "A comparison of the economic status of working-age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ose of other groups" 97 (97): 133-148, 2003

      56 근로복지공단, "2005년도 장해판정자 취업실태조사 결과분석"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