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cts of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in Diamond Mountains Travel Poetry -Focused on Yulgok's Yupungak and Songgang's Gwandongbyeolgok- Kim, Gwang-j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aspects of how natural sc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27571
2007
-
810.5
KCI등재
학술저널
361-382(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pects of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in Diamond Mountains Travel Poetry -Focused on Yulgok's Yupungak and Songgang's Gwandongbyeolgok- Kim, Gwang-j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aspects of how natural sce...
Aspects of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in Diamond Mountains Travel Poetry
-Focused on Yulgok's Yupungak and Songgang's Gwandongbyeolgok-
Kim, Gwang-j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aspects of how natural scenery is depicted in the poetic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literati and determine how these differences came about.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two aspects of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in literati poetic literature: imitative natural scenery, which described natural scenery in such a way that it closely resembled the actual scenery, and creative natural scenery, which represented natural scenery not as it was but as a medium for expressing the author's inner intentions and feeling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aspects of the depiction of natural scenery stemmed from differences in the way of thinking about depicting natural scenery. That is, in the poetic literature of the literati, imitative natural scenery was rooted in the Neo-Confucian idea of finding joy in nature itself, while creative natural scenery was rooted in the idea of ascribing meaning to nature.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栗谷의 遊楓嶽과 松江의 關東別曲을 대상으로 하여 朝鮮 中期 士大夫 詩歌文學에서 山水를 形象化하는 樣相에 어떤 差異가 있는지, 그러한 차이는 왜 발생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했...
이 글은 栗谷의 遊楓嶽과 松江의 關東別曲을 대상으로 하여 朝鮮 中期 士大夫 詩歌文學에서 山水를 形象化하는 樣相에 어떤 差異가 있는지, 그러한 차이는 왜 발생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自然美의 發見’이라고 명명되는 朝鮮 中期 士大夫 詩歌文學에서 형상화된 산수의 모습은 두 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하나는 자신이 접한 산수의 모습을 實景과 방불하게 묘사하려는 寫景山水이고, 다른 하나는 산수를 事實的으로 描寫하기보다는 작자의 內面에 일어난 情, 意, 興 따위를 드러내기 위한 媒介體로 선택된 造景山水이다. 이와 같은 差異는 ‘物’과 ‘我’ 중 무엇이 중심이 되어 표현되느냐 하는 形象思惟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사대부 시가문학에 나타나는 寫景山水는 性理學的 形象思惟에서 ‘我’보다 ‘物’이 중시되는 因物起興的 思惟方式에 의한 것이고, 造景山水는 ‘物’보다는 ‘我’가 중시되는 托物寓意的 思惟方式에 의한 산수 형상화인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산수시의 경치 한국시가의 역사의식" 文藝出版社 136 137-, 1993
2 "사림파문학의 연구" 월인 2000
3 "韓國小說의 理論" 7 136-, 1977
4 "朝鮮朝 長歌 歌脈의 一端, 鄭在晧 編著" 태학사 231 -233, 1996
5 "性理學的 外物認識과 形象思惟 朝鮮中期 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成均館大學校出版部 95 125-, 1993
1 "산수시의 경치 한국시가의 역사의식" 文藝出版社 136 137-, 1993
2 "사림파문학의 연구" 월인 2000
3 "韓國小說의 理論" 7 136-, 1977
4 "朝鮮朝 長歌 歌脈의 一端, 鄭在晧 編著" 태학사 231 -233, 1996
5 "性理學的 外物認識과 形象思惟 朝鮮中期 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成均館大學校出版部 95 125-, 1993
近代 女性文學의 형성 원리 연구-정전의 形成과 ‘女性性’의 制度化 過程을 중심으로-
分斷文學의 主體 構成 敍事-男性/女性 화자의 成長小說 比較 分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