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시대 각 국에서 제작된 鉛釉陶器의 계통과 제작된 器種이 무엇이고 기술적 淵源이 어디로부터 유래한 것인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고구려에서는 황녹, 황갈색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6712
-
2015년
Korean
연유도기 ; Lead galze ; Lead-glazed ware ; the Three Kingdoms Period ; Lead-glazed Tiles ; Glazing method ; 황갈유 ; 녹유 ; 정색제 ; 매용제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시대 각 국에서 제작된 鉛釉陶器의 계통과 제작된 器種이 무엇이고 기술적 淵源이 어디로부터 유래한 것인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고구려에서는 황녹, 황갈색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시대 각 국에서 제작된 鉛釉陶器의 계통과 제작된 器種이 무엇이고 기술적 淵源이 어디로부터 유래한 것인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고구려에서는 황녹, 황갈색의 연유도기가 생산되었다. 고구려의 연유는 정색제로 산화철(Fe2O3)을 사용하였으며 산화염 상태에서 燒成하였다. 생산된 주요 기종은 4~5세기에 제작된 접시, 항아리, 사이호(귀가 네 개 달린 항아리) 등이며 주로 무덤에서 발견된다. 형태적인 특징은 일상 생활용기와 특별히 다르지 않다. 기술적 연원은 漢代에서 北魏로 이어지는 중국 북방 중심의 연유기술이 정착하면서 고구려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는 녹색계열의 연유도기[綠釉]를 생산하였다. 녹유는 정색제로 산화동(Cu0)을 활용하였고 역시 산화염 상태에서 구워 완성하였다. 녹유를 입힌 백제도기로는 기대(그릇받침), 병, 잔탁, 와당 등이 있으며 무덤, 주거지 등에서 다양하게 발견된다. 생산된 그릇의 종류로 파악할 때 백제의 경우는 祭器, 건축자재 등의 용도로 만든 것이 분명하다. 백제의 연유기술은 6세기 후반 경 사비시대에 와서야 구현되었으며 北齊, 北周와 같은 北朝와의 영향 속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황갈색계열의 연유도기를 생산하였다. 현존하는 유물의 양식적 특징으로 판단하면 그 시기는 빨라야 7세기 초반 경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근거로는 경주나 일본 등지에서 발견되는 초기 인화문이 표현된 유물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신라 연유기술의 연원은 唐으로 추정되며, 통일 이후 연유도기가 유행하는 배경을 이루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nealogy of the Lead-glazed wares [LGW] and the kinds of LGW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o to clarify the technical origin of LGW. In Goguryeo Dynasty the yellowish green LGW or the yellowish brown L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nealogy of the Lead-glazed wares [LGW] and the kinds of LGW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o to clarify the technical origin of LGW.
In Goguryeo Dynasty the yellowish green LGW or the yellowish brown LGW were produced. The Goguryeo LGW were made of the material of the iron oxide(Fe2O3) and were baked in the oxidized flame. The kinds fo LGW were the dishes, the jars, the four-eyed pots and etc. which were discovered at the tombs.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not different from the daily wares. It was supposed that the technical origin was the north Chinese technic of LGW, which was influenced from Beiwei(北魏), Han(漢) Dynasty.
In Baekche Dynasty the green LGW were produced. The Baekche LGW were made of the material of the bronze oxides(CuO) and were baked in the oxidized flame. The kinds of Baekche LGW were the saucers of wares, the bottles, the cups, and the designed roof tiles etc. which were discovered at the tombs and the residential areas. It was supposed that the technics of LGW was realised in the late 6th century of the era of Sabi(泗沘), the technical origin of Baekche LGW was influenced from the north Chinese Bei-Je(北濟), Bei-Zhou(北周) Dynasty.
In the Shilla Dynasty the yellowish brown LGW were produced like the Gogury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