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3
2 정구, "한강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3 조익, "포저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4 이황, "퇴계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5 Touraine, Alain, "탈산업 사회의 사회 이론: 행위자의 복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6 김영민, "철학의 역사와 의미의 역사, 성리학자와 연암 박지원: 이기론 연구방법론 재검토" 한국학연구원 (43) : 131-158, 2011
7 조헌, "중봉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8 박현순, "조선시대 과거 수험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9) : 205-243, 2015
9 하윤섭, "의미의 역사와 <누항사> -교육적 독법의 마련을 겸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4 : 7-36, 2013
10 이이, "율곡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8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3
2 정구, "한강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3 조익, "포저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4 이황, "퇴계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5 Touraine, Alain, "탈산업 사회의 사회 이론: 행위자의 복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6 김영민, "철학의 역사와 의미의 역사, 성리학자와 연암 박지원: 이기론 연구방법론 재검토" 한국학연구원 (43) : 131-158, 2011
7 조헌, "중봉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8 박현순, "조선시대 과거 수험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9) : 205-243, 2015
9 하윤섭, "의미의 역사와 <누항사> -교육적 독법의 마련을 겸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4 : 7-36, 2013
10 이이, "율곡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8
11 김흥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12 송시열,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회 1988
13 이종호, "송암집 1" 도서출판 드림 2015
14 권호문, "송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15 김광조, "송암 권호문의 시가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기영, "송암 권호문의 <독락팔곡> 연구" 어문연구학회 25 : 1994
17 하윤섭, "송암 권호문 시가의 재해석을 위한 이론적 기반의 마련" 개신어문학회 38 : 2013
18 최재남, "사림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997
19 신형철, "몰락의 에티카" 문학동네 2013
20 김흥규, "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 창비 2013
21 김문기, "권호문의 시가 연구: <한거십팔곡>과 독락팔곡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4 : 1986
22 禹應順, "權好文의 詩世界"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23 최현재, "權好文 詩歌의 情緖的 特徵과 文學史的 意義" 우리말글학회 35 : 209-240, 2005
24 박연호, "<누항사>에 나타난 ‘가난’과 ‘우활’의 의미" 한민족어문학회 (64) : 341-364, 2013
25 하윤섭,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46) : 21-54, 2011
26 박현순, "16세기 예안현 사족들의 修學과 관직진출" 교육사학회 17 (17): 79-11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