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제는 불교의 교의(敎義)에 나타나는 ‘마음챙김(mindfulness)’ 등의 다양한 의학이론과 한의학(韓醫學)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융합연구하여 각각의 영역을 확대․심화시키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4814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는 불교의 교의(敎義)에 나타나는 ‘마음챙김(mindfulness)’ 등의 다양한 의학이론과 한의학(韓醫學)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융합연구하여 각각의 영역을 확대․심화시키고자 ...
본 과제는 불교의 교의(敎義)에 나타나는 ‘마음챙김(mindfulness)’ 등의 다양한 의학이론과 한의학(韓醫學)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융합연구하여 각각의 영역을 확대․심화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불교와 사상의학의 융합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범주에서의 대체적인 연구목적을 지향한다.(세부 연구목적과 과제는 ‘연구방법 및 내용’ 참조)
1. 불교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교의체계 가운데 의철학(醫哲學)과 관련된 부분을 도출하여 사상의학과 융합하고, 이를 통하여 사상의학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한의철학 정립에 토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연구과제를 설정한다.
- 동아시아불교 전통과 동양의학사상사에서의 ‘인간’이해의 비교
- 한국불교사와 한의학사에서의 인간론 변용비교
- 불교와 사상의학에서의 인간론 비교고찰
- 선(禪), 양명학, 사상의학의 인간론
- 근대 서구 인간론의 유입과 사상의학의 영향
- 불교와 사상의학의 ‘의(醫)’ 개념 비교고찰(혹은 ‘불교와 사상의학의 성인론(聖人論) 비교’)
- 현대 한의철학의 방향과 그 과제
2. 역대의 불교사(佛敎史)와 의학사(醫學史) 등을 통하여 불교와 동양의학 및 사상의학에서 나타나는 의학이론으로부터 여러 가지 심신치유의 기법개발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방향을 설정한다.
- ‘치유’․‘치병’ 개념에 있어서 불교와 한의학의 비교
- 불교적 연기론에서 본 사상의학
- 불교와 사상의학에서의 심리적 요소와 발병의 관계 고찰
-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정서)의 차이점
- 정서적 변화가 육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 불교의 중도(中道)와 이제마의 중화(中和)의 심리치료적 기능
- 사상의학에서 ‘마음챙김(sati)’적 방법의 적용 가능성
3. ‘마음챙김’을 대표로 하는 불교의 수행론 가운데 체질에 따른 수행의 유형을 도출하여 사상의학의 사상체질과 결합시켜 다양한 체질에 대한 심신치료의 프로토콜 구축에 기초적 성과를 제공한다. 본 연구팀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과제를 설정한다.
- 청정도론과 사상의학의 체질론 비교
- 천태종(天台宗)의 지관(止觀)수행에 나타난 체질유형과 사상의학의 체질론 비교
- 티벳불교와 체질론과 사상의학의 체질론 비교
이를 통해 불교와 사상의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체질론을 비교, 고찰하여 각 체질론의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한다. 그런데 불교에서의 체질론은 바로 가르침에 대한 시설(施設)과 올바른 수행(修行)으로 이끌고자 제시한 것이다. 물론 사상의학에서도 궁극적으로는 성인과 군자의 길로 이끌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만, 불교의 체질론은 직접적으로 수행을 통해 정서의 변화로부터 깨달음으로 이끌고자 하는 의도가 더욱 강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불교와 사상의학의 체질을 융합시켜 실제적인 수행을 통하여 그 정서변화를 통계적 방법으로 측정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수행은 불교와 사상의학을 융합함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토콜 구축에 대한 하나의 시도이고, 이후 기회가 주어지는 대로 점차 확대, 심화하여 보다 전문적인 영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불교수행 전후의 체질별 정서변화 측정>
- 연구대상 수행법 : 불교의 제반 수행법(‘마음챙김(sati)’ 혹은 적절한 수행법)
- 연구방법 : 설문조사․대면조사 - 불교수행 전과 후에 체질별로 각각 조사를 실시하여 정서의 변화 정도를 측정한다.
- 연구절차:
▪ 1단계 - 분석틀 개발, 측정도구 개발
▪ 2단계 - 표본설정 및 자료수집(표본집단 내 체질분류 및 설문조사)
▪ 3단계 - 수집자료 분석 및 평가
이러한 측정은 불교수행을 통한 체질별 정서변화의 척도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 방법으로, 이를 통하여 불교와 사상의학의 융합을 통한 나타날 수 있는 심신치료의 기법개발을 위한 것이다. 본 연구팀은 다양한 불교전공자와 사상의학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측정을 기초자료로 하여 이후 ‘▪ 4단계 - 프로그램 개발’, ‘▪ 5단계 - 프로그램 검증 및 활용’ 등의 구체적인 활용의 단계에까지 도달하고자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