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행시간절약가치 추정을 위한 QR 모형에 관한 연구  :  자가 운전자의 선호의식을 고려하여 = A Study on QR Model for Estimation of Value of Travel Time Saving - Using Stated Preference of Owner Drive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8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행시간절약가치는 교통계획, 교통정책 및 교통투자사업의 사업타당성 검토시 필수요소이다. 시간절약이란 것이 실제 거래되지 않는 것이므로, 행동데이타와 의식데이타를 이용하여 시간의 행동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적인 다양한 계측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개 실용적 이유로 비집계 로짓형 모형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선택지들이 상호 독립적이라는 모형의 가정은 종종 한정적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험적인 연구로서, 자가용승용차 이용자의 유료도로 동행에 대한 선호의식을 이용하여, 그들의 통행시간절약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포함한 3가지 QR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이용하여 최적 모형을 구하기 위해 모형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모형 모두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통행시간절약가치는 약 2,400원/시간/대로 나타났다. 또한 통행단축시간보다 통행요금에 대한 탄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간의 비교분석결과는 적중률을 제외한 잔차제곱합, 추정확출잔차제곱합, 로그우도함수 값 등에 있어서 로짓 모형이 다소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통행시간절약가치는 교통계획, 교통정책 및 교통투자사업의 사업타당성 검토시 필수요소이다. 시간절약이란 것이 실제 거래되지 않는 것이므로, 행동데이타와 의식데이타를 이용하여 시간...

      통행시간절약가치는 교통계획, 교통정책 및 교통투자사업의 사업타당성 검토시 필수요소이다. 시간절약이란 것이 실제 거래되지 않는 것이므로, 행동데이타와 의식데이타를 이용하여 시간의 행동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적인 다양한 계측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개 실용적 이유로 비집계 로짓형 모형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선택지들이 상호 독립적이라는 모형의 가정은 종종 한정적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험적인 연구로서, 자가용승용차 이용자의 유료도로 동행에 대한 선호의식을 이용하여, 그들의 통행시간절약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포함한 3가지 QR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이용하여 최적 모형을 구하기 위해 모형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모형 모두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통행시간절약가치는 약 2,400원/시간/대로 나타났다. 또한 통행단축시간보다 통행요금에 대한 탄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간의 비교분석결과는 적중률을 제외한 잔차제곱합, 추정확출잔차제곱합, 로그우도함수 값 등에 있어서 로짓 모형이 다소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ree QR (Qualitative Response) models for evaluating vague of travel time saving and to find out best model by comparing these models using outcomes of model form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alue of travel time saving is about 2,400 won/hour in all three models. Second, the three models show that the goodness-of-fit is satisfactory.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models show that logit model is best in SSR (Sum of Squared Residuals), SSR weighted by estimated probabilities and value of log likelihood function without hit ratio, but the difference between each models is very smal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ree QR (Qualitative Response) models for evaluating vague of travel time saving and to find out best model by comparing these models using outcomes of model form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ree QR (Qualitative Response) models for evaluating vague of travel time saving and to find out best model by comparing these models using outcomes of model form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alue of travel time saving is about 2,400 won/hour in all three models. Second, the three models show that the goodness-of-fit is satisfactory.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models show that logit model is best in SSR (Sum of Squared Residuals), SSR weighted by estimated probabilities and value of log likelihood function without hit ratio, but the difference between each models is very smal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조사의 개요
      • 1.조사범위 및 방법
      • 2.조사 항목
      • Ⅲ.이론적 고찰
      • Ⅰ.서론
      • Ⅱ.조사의 개요
      • 1.조사범위 및 방법
      • 2.조사 항목
      • Ⅲ.이론적 고찰
      • 1.기존연구 검토
      • 2.QR 모형 및 비교분석통계량
      • Ⅳ.통행시간 절약가치 추정
      • 1.파라미터 추정 및 시간가치 산정
      • 2.QR모형의 비교분석
      • Ⅴ.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