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문학교육을 통한 문학교육론의 투시와 성찰 -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 Perspectives and Reflections 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Focused on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4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deviating from the research tendency to introduce and compare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haring the nation, history, and language wit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it seeks to fin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by deriving and examining th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beyond criticism or overcoming. As a methodology for this, the social science practice of comparative pedagogy was applied, and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criteria.
      Throug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the essential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explored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special recognition of the influence and utility of literature that is prominent in the North Korean curriculum, it considers the utility and meaning of literature and raises the issue of value and the learner's experience as important tasks. Second, in the form of literature not being realized independently but designed integratively with other domains,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lity of our domain integration and reconsider the setting of the sub-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North Korean textbooks were organized around themes and value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dding the issues of themes away from the goal-oriented system. Fourth, by examining the fact that songs are widely included in textbooks in North Korea,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and value of songs in literary education. Lastly, North Korea's “kkaeuchyeojuneun gyosubeob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revealed the problem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raised the need for improvement despite emphas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learn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deviating from the research tendency to introduce and compare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haring the 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deviating from the research tendency to introduce and compare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haring the nation, history, and language wit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it seeks to fin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by deriving and examining th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beyond criticism or overcoming. As a methodology for this, the social science practice of comparative pedagogy was applied, and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criteria.
      Throug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the essential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explored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special recognition of the influence and utility of literature that is prominent in the North Korean curriculum, it considers the utility and meaning of literature and raises the issue of value and the learner's experience as important tasks. Second, in the form of literature not being realized independently but designed integratively with other domains,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lity of our domain integration and reconsider the setting of the sub-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North Korean textbooks were organized around themes and value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dding the issues of themes away from the goal-oriented system. Fourth, by examining the fact that songs are widely included in textbooks in North Korea,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and value of songs in literary education. Lastly, North Korea's “kkaeuchyeojuneun gyosubeob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revealed the problem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raised the need for improvement despite emphas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그동안 북한 문학교육을 소개하고 실체를 분석하거나 평면적으로 비교하는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문학교육의 현상과 문제를 확장하여 살피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과 민족, 역사, 언어를 공유하는 상황적 조건 속에서 비판이나 극복을 넘어 문학교육의 제문제를 도출하고 점검하여 발전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교육학의 사회과학적 실행 단계를 준용하였고, 구체적인 비교 준거로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북한 문학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학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이끌어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북한 교육과정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학의 영향력과 효용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살핌으로써, 문학의 효용과 의미를 고민하고 가치의 문제와 학습자의 경험을 중요한 과제로 제기하였다. 둘째 문학이 독립적으로 실현되지 않고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설계되는 모습에서 우리의 영역 통합의 실태를 점검하고 국어교육 하위 영역 설정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와 가치 중심으로 편성되는 북한 국어교과서를 살핌으로써 목표 중심의 체제에서 벗어나 주제의 문제를 더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을 제기하였다. 넷째, 북한에서 노래의 가치와 효용에 주목하여 교과서에 널리 수록되는 양상을 살핌으로써, 문학교육에서 노래의 영향과 가치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북한의 ‘깨우쳐주는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활동의 강조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우리 문학교육의 문제를 드러내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그동안 북한 문학교육을 소개하고 실체를 분석하거나 평면적으로 비교하는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문학교육의 현상과 문제를 확장하여 살피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

      이 연구는 그동안 북한 문학교육을 소개하고 실체를 분석하거나 평면적으로 비교하는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문학교육의 현상과 문제를 확장하여 살피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과 민족, 역사, 언어를 공유하는 상황적 조건 속에서 비판이나 극복을 넘어 문학교육의 제문제를 도출하고 점검하여 발전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교육학의 사회과학적 실행 단계를 준용하였고, 구체적인 비교 준거로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북한 문학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학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이끌어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북한 교육과정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학의 영향력과 효용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살핌으로써, 문학의 효용과 의미를 고민하고 가치의 문제와 학습자의 경험을 중요한 과제로 제기하였다. 둘째 문학이 독립적으로 실현되지 않고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설계되는 모습에서 우리의 영역 통합의 실태를 점검하고 국어교육 하위 영역 설정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와 가치 중심으로 편성되는 북한 국어교과서를 살핌으로써 목표 중심의 체제에서 벗어나 주제의 문제를 더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을 제기하였다. 넷째, 북한에서 노래의 가치와 효용에 주목하여 교과서에 널리 수록되는 양상을 살핌으로써, 문학교육에서 노래의 영향과 가치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북한의 ‘깨우쳐주는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활동의 강조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우리 문학교육의 문제를 드러내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정, "효과적인 독서방법으로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도" 교육신문사 (5-6) : 2013

      2 김대행,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1996

      3 정일환, "한국에서의 비교교육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55-172, 2013

      4 이관규, "한국․중국․미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글학회 (300) : 183-212, 2013

      5 정혜승,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 분석" 한국독서학회 (38) : 65-96, 2016

      6 김대행,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역락 2008

      7 주재우, "통일 이후 고전문학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어문학회 (127) : 231-254, 2015

      8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Ⅰ)-(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9 사로청출판사,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10 전국국어교사모임, "중학생을 위한 우리말 우리글" 나라말 2003

      1 리정, "효과적인 독서방법으로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도" 교육신문사 (5-6) : 2013

      2 김대행,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1996

      3 정일환, "한국에서의 비교교육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55-172, 2013

      4 이관규, "한국․중국․미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글학회 (300) : 183-212, 2013

      5 정혜승,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 분석" 한국독서학회 (38) : 65-96, 2016

      6 김대행,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역락 2008

      7 주재우, "통일 이후 고전문학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어문학회 (127) : 231-254, 2015

      8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Ⅰ)-(Ⅲ)"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9 사로청출판사,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10 전국국어교사모임, "중학생을 위한 우리말 우리글" 나라말 2003

      11 정홍교, "조선문학개관 1" 사회과학출판사 1986

      12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

      13 김광성,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제도는 학생들을 지식경제시대의 인재후비들로 키울 수 있게 하는 확고한 담보" 교육신문사 (6) : 2013

      14 "인민학교 교수 방법" 김형직 사범대학 1987

      15 문교부, "인문계 고등학교 국어 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75

      16 강능수, "위대한 사회주의 교육강령을 문학 창작에 철저히 구현하자!"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77

      17 본사기자, "우월한 교육제도의 새로운 발전을 위하여" 교육신문사 (5) : 2013

      18 박수영, "우리말 보급은 학교에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사회과학출판사 (1) : 1970

      19 고정희, "영국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비형식 교육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57) : 91-122, 2017

      20 정룡진, "아동문학의 새로운 발전" 문예출판사 1991

      21 김대행, "시와 문학의 탐구" 역락 1999

      22 정영근, "세계화시대 비교교육학 연구의 문제와 과제 - 국제교육정책 비교연구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한독교육학회 15 (15): 123-142, 2010

      23 장윤순, "새 교과서를 받아안고-신심이 넘친다" 교육신문사 (3) : 2014

      24 리병모, "사회주의 교육학" 김형직 사범대학 1989

      25 전태성, "사상교양에 대한 주체적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91

      26 정일환,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영역과 교육학"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24, 2017

      27 김형찬, "북한의 주체교육사상" 한백사 1990

      28 김대행, "북한의 시가문학" 문학과비평사 1990

      29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 이론" 역락 2002

      30 김양희, "북한의 문학교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2005

      31 최홍원, "북한의 고전문학 교육 내용 연구-교과서 수록 작품의 선정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5) : 53-93, 2013

      32 강보선,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탐색"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2) : 1-34, 2016

      33 정진석,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강령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내용 분석"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8) : 145-174, 2018

      34 동영준, "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우리교육 1999

      35 박기범,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한국문학회 (81) : 55-89, 2019

      36 이경화, "북한 중등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양상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62) : 221-257, 2019

      37 이영미, "북한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12

      38 정재찬,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청년문학』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65 : 265-292, 2015

      39 이향규, "북한 교육 60년" 교육과학사 2010

      40 이상일, "북한 교과서의 고전문학작품 선정 원칙과 수록 체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131-158, 2006

      41 임옥규, "북한 교과서 개편에 따른 문학교육 양상"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13 : 149-178, 2012

      42 변경가, "북한 고급중학교『국어문학』에 수록된 제재 양상 및 특징―김정은 시대의 2013 교육강령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학회 (56) : 211-239, 2019

      43 정혜승, "미국의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한국독서학회 (14) : 335-372, 2005

      44 김정웅, "문학예술건설경험" 사회과학출판사 1984

      45 최지현, "문학교육과정론" 역락 2006

      46 김성우, "문학(고등중학교 6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09

      47 김성우, "문학(고등중학교 5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2

      48 현종오, "문학(고등중학교 4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02

      49 최홍원,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한국문학교육학회 (62) : 41-87, 2019

      50 김대행, "노래와 시의 세계" 역락 1999

      51 고정희, "남북한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 통일 대비 단계의 국어과 교수·학습 내용 선정 및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36) : 1-49, 2015

      52 김기석, "남북한 분단교육의 형성과 그 극복: 통일 후 교육통합을 위한 새로운 지평 탐색"

      53 주재우, "김정은시대의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 분석" 한국독서학회 (48) : 133-163, 2018

      54 조정아,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통일연구원 23 (23): 177-206, 2014

      55 김일성, "김일성 저작 선집 7" 조선로동당출판사 1978

      56 최학, "국어문학(고급중학교 2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14

      57 황금순, "국어문학(고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13

      58 리성학, "국어문학 교수학습참고서(고급중학교 제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59 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 "국어문학 교수요강(고등중학교 4-6학년용)"

      60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6

      61 김영일, "국어교육에서 학생들의 언어표현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 : 2014

      62 고용우, "국어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창비교육 2014

      63 박종호, "국어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창비교육 2014

      64 우인철, "국어교수참고서(초급중학교 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65 박재원, "국어교수와 문화어 교수" (3) : 1968

      66 해주 2사범대학, "국어교수법" 교육도서출판사 1973

      67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68 김영일, "국어과목을 통한 문학교육"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69 (269): 2017

      6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0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71 이인제,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시안)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72 우인철, "국어(초급중학교 2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14

      73 우인철, "국어(초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13

      74 홍미영, "국내외 교실 학습 연구(II)-우리나라, 핀란드, 호주의 중학교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7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교육학대백과사전 2" 하우동설 1998

      76 전국국어교사모임, "고등학생을 위한 우리말 우리글" 나라말 2002

      77 김미영, "‘통일교육’을 위한 ‘문학’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 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47) : 49-83, 2015

      78 Harvey, Stephanie, "Strategies that work" Stenhouse Publishers 2000

      79 Gossman, Lionel,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80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8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집필기준(국어, 도덕, 경제, 역사)"

      82 권순희, "2013년 개정 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 국어교육학회 53 (53): 5-47, 2018

      83 Wolfgang, Kristin Noelle, "102 Reading response lessons" Corwin Press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