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 : 긍정적 접촉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060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 2023. 2. 졸업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relationship Among Intergroup Anxiety, Perspective taking, and Ageism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 형태사항

        vi, 74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양수진
        참고문헌: p.45-66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202193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ption that the elderly are weak and vulnerable has been strengthened, and hate expressions targeting the elderly have increased. In Korea, as the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is accelerating,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as a result,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may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geism, a problematic social phenomenon in an aging society, appears, and to contribute to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argeting the young generation, who can recogniz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m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hich understands others through the other person's position and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which is an uncomfortable emotion felt in interaction with outgroups, and ageism which means negative emotions, thoughts, prejudic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hat appear due to biological grounds of ag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verify whether this relationship varies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6 young adults aged 19-29.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confirmed using PROCESS Macro v4.1,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were higher in females, an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higher in males. In addition,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better when there was a residence experience with the elderly, and the intergroup anxiety was higher when there was no living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gender and residence experience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ageism and intergroup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egism and perspective-taking,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Perspective-taking and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In other words, feeling anxiety in interactions with the elderly directly increased ageism attitudes, which also indirectly affected lowered perspective-taking.
      Thir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perspective-taking, and ageism. That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elderly, the higher the effect of perspective-taking in reducing ageism. This means that ageism can be lowered due to high perspective-taking when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previously had high-quality experiences of contact with the elderly experience intergroup anxie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tergroup anxiety was a factor influencing ageism in the young gene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ed perspective-taking capacity in this relationship act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lower ageism increased only when the contact experience known to lower prejudice was positive or intima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ducation and intervention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hich is a problem in an aging society.
      번역하기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ption that the elderly are weak and vulnerable has been strengthened, and hate expressions targeting the elderly have increased. In Korea, as the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is accelerating, t...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ption that the elderly are weak and vulnerable has been strengthened, and hate expressions targeting the elderly have increased. In Korea, as the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is accelerating,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as a result,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may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geism, a problematic social phenomenon in an aging society, appears, and to contribute to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argeting the young generation, who can recogniz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m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hich understands others through the other person's position and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which is an uncomfortable emotion felt in interaction with outgroups, and ageism which means negative emotions, thoughts, prejudic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hat appear due to biological grounds of ag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verify whether this relationship varies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6 young adults aged 19-29.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confirmed using PROCESS Macro v4.1,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were higher in females, an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higher in males. In addition,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better when there was a residence experience with the elderly, and the intergroup anxiety was higher when there was no living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gender and residence experience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ageism and intergroup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egism and perspective-taking,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Perspective-taking and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In other words, feeling anxiety in interactions with the elderly directly increased ageism attitudes, which also indirectly affected lowered perspective-taking.
      Thir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perspective-taking, and ageism. That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elderly, the higher the effect of perspective-taking in reducing ageism. This means that ageism can be lowered due to high perspective-taking when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previously had high-quality experiences of contact with the elderly experience intergroup anxie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tergroup anxiety was a factor influencing ageism in the young gene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ed perspective-taking capacity in this relationship act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lower ageism increased only when the contact experience known to lower prejudice was positive or intima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ducation and intervention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hich is a problem in an aging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노인은 연약하고, 취약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표현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세대간 갈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간 갈등을 가장 크게 인식할 수 있는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사회현상인 연령주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집단과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정서인 집단간 불안과 나이라는 생물학적인 근거를 이유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감정, 생각, 편견, 차별적 행동을 의미하는 연령주의의 관계를, 다른 사람의 입장과 관점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조망수용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노인과의 접촉경험의 긍정적인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젊은 성인기 356명(M=만 24.64세, SD=3.1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차이검정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 v4.1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결과, 성별, 노인과의 거주 경험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는 여성이 더 높았고, 접촉경험의 긍정적 수준은 남성이 더 높았다. 또한, 노인과의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더 긍정적이었고, 없는 경우에는 집단간 불안이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거주경험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집단간 불안은 연령주의와 정적으로, 조망수용, 긍정적 접촉경험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망수용과 긍정적 접촉경험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노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연령주의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낮아진 조망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를 긍정적 접촉경험이 조절하였다. 즉,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조망수용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는 이전에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이었던 청년세대는 집단간 불안을 느꼈을 때 높은 조망수용으로 인해 연령주의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에서 나타나는 연령주의에 집단간 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낮아진 조망수용 능력이 기저의 기제로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편견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접촉경험이 긍정적이거나 친밀했을 때에만 조망수용 능력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낮출 수 있는 교육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노인은 연약하고, 취약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표현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노인인구...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노인은 연약하고, 취약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표현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세대간 갈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간 갈등을 가장 크게 인식할 수 있는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사회현상인 연령주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집단과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정서인 집단간 불안과 나이라는 생물학적인 근거를 이유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감정, 생각, 편견, 차별적 행동을 의미하는 연령주의의 관계를, 다른 사람의 입장과 관점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조망수용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노인과의 접촉경험의 긍정적인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젊은 성인기 356명(M=만 24.64세, SD=3.1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차이검정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 v4.1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결과, 성별, 노인과의 거주 경험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는 여성이 더 높았고, 접촉경험의 긍정적 수준은 남성이 더 높았다. 또한, 노인과의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더 긍정적이었고, 없는 경우에는 집단간 불안이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거주경험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집단간 불안은 연령주의와 정적으로, 조망수용, 긍정적 접촉경험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망수용과 긍정적 접촉경험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노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연령주의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낮아진 조망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를 긍정적 접촉경험이 조절하였다. 즉,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조망수용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는 이전에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이었던 청년세대는 집단간 불안을 느꼈을 때 높은 조망수용으로 인해 연령주의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에서 나타나는 연령주의에 집단간 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낮아진 조망수용 능력이 기저의 기제로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편견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접촉경험이 긍정적이거나 친밀했을 때에만 조망수용 능력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낮출 수 있는 교육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A. 연령주의 6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A. 연령주의 6
      • B. 집단간 불안 8
      • 1. 집단간 불안 8
      • 2.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 10
      • C. 조망수용 12
      • 1. 조망수용 12
      • 2. 집단간 불안과 조망수용 15
      • 3. 조망수용과 연령주의 17
      • D. 긍정적 접촉경험 18
      • 1. 긍정적 접촉경험 18
      • 2. 조망수용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의 긍정적 접촉경험 19
      • Ⅲ. 연구방법 21
      • A. 연구 대상 21
      • B. 측정 도구 23
      • C. 연구 절차 27
      • D. 자료 분석 27
      • Ⅳ. 연구 결과 28
      • A. 기술통계 및 차이검정 28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8
      •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29
      • B.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30
      • C.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31
      • D. 집단간 불안과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긍정적 접촉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33
      • Ⅴ. 결론 및 논의 38
      • A. 요약 및 논의 38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38
      • 2. 주요변인 간 상관분석 39
      • 3. 집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 긍정적 접촉경험의 관계 40
      •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2
      • 참고문헌 45
      • 부록 1 집단간 불안 설문지 67
      • 부록 2 연령주의 설문지 68
      • 부록 3 조망수용 설문지 70
      • 부록 4 긍정적 접촉경험 설문지 71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