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16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invol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a multiple support team to improve basic academic achievement.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from A local educational office and six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B local educational office participated our study. Fo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 analyzed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perceptions of diagnosing LD. We also examined the awareness of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e virtual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learning disabilities of the school district B accounted for 25% of the total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ut in complaints to adopt and implement the revised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criteria in the school district. Regarding the participation of special teachers in the multi-support team, it was first said that the special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n cooperate with general teachers.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tak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they did not have much experience in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ey agr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y needed to discuss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sent of the education office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experts on including students with low basic education in learning disabilities. As a follow-up study,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by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is topic, the perceptions of various special education field experts, and need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se topic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invol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a multiple support team to improve basic academic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invol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a multiple support team to improve basic academic achievement.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from A local educational office and six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B local educational office participated our study. Fo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 analyzed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perceptions of diagnosing LD. We also examined the awareness of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e virtual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learning disabilities of the school district B accounted for 25% of the total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ut in complaints to adopt and implement the revised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criteria in the school district. Regarding the participation of special teachers in the multi-support team, it was first said that the special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n cooperate with general teachers.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tak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they did not have much experience in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ey agr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y needed to discuss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sent of the education office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experts on including students with low basic education in learning disabilities. As a follow-up study,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by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is topic, the perceptions of various special education field experts, and need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se top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조건"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43-369, 2009

      2 김남순,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9-219, 2004

      3 정대영,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의 쟁점과 개선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20, 2013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6 김요섭, "학습장애 학생 선정 절차 실태 조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53-79, 2012

      7 정광조,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93-216, 2015

      8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9 김중훈, "학교 현장에서 바라본 난독증 아동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49-54, 2018

      10 장수명, "핀란드 학교의 학생지원과 개인별 학습·교육계획" 2 (2): 33-69, 2015

      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조건"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43-369, 2009

      2 김남순,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9-219, 2004

      3 정대영,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의 쟁점과 개선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20, 2013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6 김요섭, "학습장애 학생 선정 절차 실태 조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53-79, 2012

      7 정광조,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93-216, 2015

      8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9 김중훈, "학교 현장에서 바라본 난독증 아동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49-54, 2018

      10 장수명, "핀란드 학교의 학생지원과 개인별 학습·교육계획" 2 (2): 33-69, 2015

      11 이성숙,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 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12 양민화, "특수교육법 개정과 학습장애: 관련 법령과의 연계선상에서" 2018

      13 김주은,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교사, 특수교사, 교육행정가 집단과의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14 김은영, "초등 협력교사제 운영 모델 발전 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 2016

      15 최소라, "변경된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의 개선 정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5

      16 김지혜, "미국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 NCLB와 ESSA를 중심으로"

      17 최나리, "미국교육자들의 RTI 인식 및 연구 특성에 대한 문헌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69-89, 2015

      18 김중훈, "난독증과 학습부진" 2-23, 2013

      19 장옥순, "난독증 극복으로 행복한 학생 만들기" 73-81, 2013

      20 신영화, "꿈을 찾아가는 아이들 위해" 60-64, 2013

      21 이형빈, "기초학습 보장을 위한 초등 협력교사제 수업모델 개발연구 최종 보고서" 서울시교육청 2015

      22 박남기, "기초학력 정책 나아갈 방향"

      23 정광조, "국내 통합교육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중재반응모형 가능성 탐색- 통합학급에서의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59-184, 2014

      24 이찬승, "교육청 학교가 기초학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려면"

      25 김애화, "경도장애학생 지원에서의 특수교육의 역할" 2016

      26 교육부, "’12년 기초학력향상 지원방안"

      27 Strom, K., "Transition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Waxmann 115-135, 2015

      28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7

      29 Smith, D. D.,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Teaching in an age of opportunity" Allyn and Bacon 2001

      30 Bradley, 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010

      31 Sintjago, A., "From synchronous to asynchronous: Researching online focus group platforms"

      32 Stewart, D., "Focus group theory and practice" SAGE 2013

      33 Heward, W. L., "Exceptional children :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3

      34 Kivirauma, J., "Excellence through special education? Lessons from the Finnis school reform" 53 : 283-302, 2007

      35 Krippendorf, K. H.,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13

      36 교육부, "2019 특수교육통계"

      37 교육부, "2018년도 기초학력 향상지원 사업담당 장학사 워크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