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조건"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43-369, 2009
						
						
				
				  
				
			
			
		
	
		
			
			
				
				
						
							2 김남순,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9-219, 2004
						
						
				
				  
				
			
			
		
	
		
			
			
				
				
						
							3 정대영,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의 쟁점과 개선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20, 2013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6 김요섭, "학습장애 학생 선정 절차 실태 조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53-79, 2012
						
						
				
				  
				
			
			
		
	
		
			
			
				
				
						
							7 정광조,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93-216, 2015
						
						
				
				  
				
			
			
		
	
		
			
			
				
				
						
							8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9 김중훈, "학교 현장에서 바라본 난독증 아동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49-54, 2018
						
						
				
				  
				
			
			
		
	
		
			
			
				
				
						
							10 장수명, "핀란드 학교의 학생지원과 개인별 학습·교육계획" 2 (2): 33-69, 2015
						
						
				
				  
				
			
			
		
	
		
	
		
	
		
	
		
	
		
	
		
	
		
	
		
	
		
	
		
	
		
	
		
	
		
	
		
	
		
	
		
	
		
	
		
	
		
	
		
	
		
	
		
	
		
	
		
	
		
	
		
	
		
	
	 
	
		
		
			
				
				
						
							1 이대식, "한국형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조건"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43-369, 2009
						
						
				
				
				
			
		
	
		
			
				
				
						
							2 김남순,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9-219, 2004
						
						
				
				
				
			
		
	
		
			
				
				
						
							3 정대영,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의 쟁점과 개선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20, 2013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6 김요섭, "학습장애 학생 선정 절차 실태 조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53-79, 2012
						
						
				
				
				
			
		
	
		
			
				
				
						
							7 정광조,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93-216, 2015
						
						
				
				
				
			
		
	
		
			
				
				
						
							8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9 김중훈, "학교 현장에서 바라본 난독증 아동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49-54, 2018
						
						
				
				
				
			
		
	
		
			
				
				
						
							10 장수명, "핀란드 학교의 학생지원과 개인별 학습·교육계획" 2 (2): 33-69, 2015
						
						
				
				
				
			
		
	
		
			
				
				
						
							11 이성숙,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 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12 양민화, "특수교육법 개정과 학습장애: 관련 법령과의 연계선상에서" 2018
						
						
				
				
				
			
		
	
		
			
				
				
						
						13 김주은,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교사, 특수교사, 교육행정가 집단과의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14 김은영, "초등 협력교사제 운영 모델 발전 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 2016
						
						
				
				
				
			
		
	
		
			
				
				
						
						15 최소라, "변경된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의 개선 정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5
				
				
				
			
		
	
		
			
				
				
						
							16 김지혜, "미국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 NCLB와 ESSA를 중심으로" 
						
						
				
				
				
			
		
	
		
			
				
				
						
							17 최나리, "미국교육자들의 RTI 인식 및 연구 특성에 대한 문헌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69-89, 2015
						
						
				
				
				
			
		
	
		
			
				
				
						
							18 김중훈, "난독증과 학습부진" 2-23, 2013
						
						
				
				
				
			
		
	
		
			
				
				
						
							19 장옥순, "난독증 극복으로 행복한 학생 만들기" 73-81, 2013
						
						
				
				
				
			
		
	
		
			
				
				
						
							20 신영화, "꿈을 찾아가는 아이들 위해" 60-64, 2013
						
						
				
				
				
			
		
	
		
			
				
				
						
							21 이형빈, "기초학습 보장을 위한 초등 협력교사제 수업모델 개발연구 최종 보고서" 서울시교육청 2015
						
						
				
				
				
			
		
	
		
			
				
				
						
							22 박남기, "기초학력 정책 나아갈 방향" 
						
						
				
				
				
			
		
	
		
			
				
				
						
							23 정광조, "국내 통합교육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중재반응모형 가능성 탐색- 통합학급에서의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59-184, 2014
						
						
				
				
				
			
		
	
		
			
				
				
						
							24 이찬승, "교육청 학교가 기초학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려면" 
						
						
				
				
				
			
		
	
		
			
				
				
						
							25 김애화, "경도장애학생 지원에서의 특수교육의 역할" 2016
						
						
				
				
				
			
		
	
		
			
				
				
						
							26 교육부, "’12년 기초학력향상 지원방안" 
						
						
				
				
				
			
		
	
		
			
				
				
						
							27 Strom, K., "Transition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Waxmann 115-135, 2015
						
						
				
				
				
			
		
	
		
			
				
				
						
							28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7
						
						
				
				
				
			
		
	
		
			
				
				
						
							29 Smith, D. D.,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Teaching in an age of opportunity" Allyn and Bacon 2001
						
						
				
				
				
			
		
	
		
			
				
				
						
							30 Bradley, 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010
						
						
				
				
				
			
		
	
		
			
				
				
						
							31 Sintjago, A., "From synchronous to asynchronous: Researching online focus group platforms" 
						
						
				
				
				
			
		
	
		
			
				
				
						
							32 Stewart, D., "Focus group theory and practice" SAGE 2013
						
						
				
				
				
			
		
	
		
			
				
				
						
							33 Heward, W. L., "Exceptional children :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3
						
						
				
				
				
			
		
	
		
			
				
				
						
							34 Kivirauma, J., "Excellence through special education? Lessons from the Finnis school reform" 53 : 283-302, 2007
						
						
				
				
				
			
		
	
		
			
				
				
						
							35 Krippendorf, K. H.,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13
						
						
				
				
				
			
		
	
		
			
				
				
						
							36 교육부, "2019 특수교육통계" 
						
						
				
				
				
			
		
	
		
			
				
				
						
							37 교육부, "2018년도 기초학력 향상지원 사업담당 장학사 워크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