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걸치는 시기의 동아시아의 근대사는 시작부터 불행했다. 오래동안 같은 문화권 안에서 생활해온 '동양 3국' 중의 하나인 일본이 근대로 오면서 이른바 脫亞入歐主義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410
-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걸치는 시기의 동아시아의 근대사는 시작부터 불행했다. 오래동안 같은 문화권 안에서 생활해온 '동양 3국' 중의 하나인 일본이 근대로 오면서 이른바 脫亞入歐主義를...
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걸치는 시기의 동아시아의 근대사는 시작부터 불행했다. 오래동안 같은 문화권 안에서 생활해온 '동양 3국' 중의 하나인 일본이 근대로 오면서 이른바 脫亞入歐主義를 채택하더니 한반도와 중국을 침략했고, 나아가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여 동남아시아까지 침략했다가 결국 패전국이 되었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기에는 한반도가 분단되었고 그에 따라 한·미·일 공조체제와 조·중·소 공조체제가 대립함으로써 동아시아 전체가 분단되었으며 다시 열전과 냉전이 이어졌다. 불행했던 20세기를 넘기면서 냉전체제가 해소되어가?옜穗#? 하나, 한반도의 분단이 계속되는 한 청일·러일전쟁으로 충돌했던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사이의 대립은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그러므로 21세기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는 20세기 역사를 각국이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는가는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일차적으로는 20세기 전후시기, 즉 '문호개방기'와 '식민지시기'에 대한 천착이 필요하다.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전개에서 '문호개방기'는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폭력적으로 편입되어 각국이 식민지 반식민지 제국주의 국가로 분기되는 과정이었다. 이 시기 각국은 밖으로 서구의 외압과 식민지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상호 각축을 벌였으며 안으로 전통과 서구적 근대성이 충돌하면서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한 시기였다. 이와 같은 과정은 대체로 청일전쟁을 분기로 동아시아 질서가 크게 변모되었고, 러일전쟁과 한일병합을 경유하면서 문호개방기의 동아시아 질서는 새로운 단계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이 시기에 대한 각국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을 비교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