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詩經 번역서의 해석 양상 검토 및 현대적 해석 방법 모색 - 「鄭風․褰裳」을 중심으로 - = Examinations of Interpretation Aspects, And Seeking Modern Interpretation Methods, of The Book of Odes Translations - Focused on 「Zheng-feng(鄭風)․Qian-chang(褰裳)」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3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people agree with the value Chinese classics have and,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an education and learning in Chinese classics is recognized. However, it is true that Chinese classics are still unfamiliar with modern people. This would be because of the prejudice and fact that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is not fit for the value pursued by modern society and are written in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But,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looked into, there are lots of contents able to appeal to modern people morally, princip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to translate Chinese classics in an appropriate Korean, without damaging the real meaning of such contents as recorded in Chinese writings, and to interpret them in a variety of ways would be one of methods in which they become valuable from the modern viewpoint. This paper was written under such a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main issues, the aspects of interpretation were analyzed by examining some of translations of The Book of Odes published in our country(Korea). In addition, interpretation of main annotators in the past was examined and at the same time, proposing a few methods of modern interpretation, thought of a new model of translated books. This is an attempt seeking for a method allowing modern people to have an easy access to Chinese classics, preserving the real meaning of Chinese classics in its entirety.
      번역하기

      Most people agree with the value Chinese classics have and,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an education and learning in Chinese classics is recognized. However, it is true that Chinese classics are still unfamiliar with modern people. This would be be...

      Most people agree with the value Chinese classics have and,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an education and learning in Chinese classics is recognized. However, it is true that Chinese classics are still unfamiliar with modern people. This would be because of the prejudice and fact that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is not fit for the value pursued by modern society and are written in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But, the contents of Chinese classics looked into, there are lots of contents able to appeal to modern people morally, princip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to translate Chinese classics in an appropriate Korean, without damaging the real meaning of such contents as recorded in Chinese writings, and to interpret them in a variety of ways would be one of methods in which they become valuable from the modern viewpoint. This paper was written under such a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main issues, the aspects of interpretation were analyzed by examining some of translations of The Book of Odes published in our country(Korea). In addition, interpretation of main annotators in the past was examined and at the same time, proposing a few methods of modern interpretation, thought of a new model of translated books. This is an attempt seeking for a method allowing modern people to have an easy access to Chinese classics, preserving the real meaning of Chinese classics in its entir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고전이 현대에 지니는 가치에 대해서는 다수가 동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문고전 교육과 학습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한문고전은 여전히 현대인들에게 거리감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한문고전의 내용이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적합하지 않다는 편견, 그리고 어려운 漢文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문고전의 내용을 살펴보면, 현대인들에게 이치적으로, 감정적으로, 도덕적으로 다가 갈 수 있는 내용이 많이 있다. 그러므로 漢文으로 기록된 이러한 내용들을 본뜻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우리말로 옮겨내고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의 해설을 진행하는 것이, 지금 시대에 한문고전이 가치를 지니게 하는 관건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작성한 글이다.
      본론에서는 한문고전 가운데 『詩經』을 선택하여,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몇 종의 『詩經』 번역서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는 『詩經』 번역서의 해석과 해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이어서 『詩經』에 대한 역대 주요 주석가의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동일한 시편이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음과 각 주석에 따라 경문의 해석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적 해석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인들로 하여금 『詩經』에 흥미를 가지게 하고 다각도로 접근하게 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한문고전이 현대에 지니는 가치에 대해서는 다수가 동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문고전 교육과 학습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한문고전은 여전히 현대인들에게 거리감을 주고 ...

      한문고전이 현대에 지니는 가치에 대해서는 다수가 동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문고전 교육과 학습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한문고전은 여전히 현대인들에게 거리감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한문고전의 내용이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적합하지 않다는 편견, 그리고 어려운 漢文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문고전의 내용을 살펴보면, 현대인들에게 이치적으로, 감정적으로, 도덕적으로 다가 갈 수 있는 내용이 많이 있다. 그러므로 漢文으로 기록된 이러한 내용들을 본뜻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우리말로 옮겨내고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의 해설을 진행하는 것이, 지금 시대에 한문고전이 가치를 지니게 하는 관건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작성한 글이다.
      본론에서는 한문고전 가운데 『詩經』을 선택하여,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몇 종의 『詩經』 번역서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는 『詩經』 번역서의 해석과 해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이어서 『詩經』에 대한 역대 주요 주석가의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동일한 시편이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음과 각 주석에 따라 경문의 해석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적 해석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인들로 하여금 『詩經』에 흥미를 가지게 하고 다각도로 접근하게 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알랭 바디우, "조건들" 새물결 2006

      2 이기동, "시경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4

      3 김학주, "시경" 명문당 2002

      4 유교문화연구소, "시경" 성균관대 학교출판부 2008

      5 서용순, "비-관계의 관계로서의 사랑: 라깡과 바디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0 (10): 87-104, 2008

      6 우한용, "문학 상" 두산동아

      7 오윤숙, "近代 以後 中國《詩經》解釋學의 成果 擧例 分析 ― 〈近代 以後 韓中《詩經》解釋學의 樣相과 成果〉중 中國篇 (2)" 중국어문논역학회 (12) : 3-33, 2004

      8 오윤숙, "近代 以後 中國 ≪詩經≫ 解釋學의 樣相-<近代 以後 韓中 ≪詩經≫ 解釋學의 樣相과 成果> 중 中國篇 (1)" 한국중문학회 26 : 1-32, 2003

      9 朱熹, "詩集傳"

      10 姚際恒, "詩經通論"

      1 알랭 바디우, "조건들" 새물결 2006

      2 이기동, "시경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4

      3 김학주, "시경" 명문당 2002

      4 유교문화연구소, "시경" 성균관대 학교출판부 2008

      5 서용순, "비-관계의 관계로서의 사랑: 라깡과 바디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0 (10): 87-104, 2008

      6 우한용, "문학 상" 두산동아

      7 오윤숙, "近代 以後 中國《詩經》解釋學의 成果 擧例 分析 ― 〈近代 以後 韓中《詩經》解釋學의 樣相과 成果〉중 中國篇 (2)" 중국어문논역학회 (12) : 3-33, 2004

      8 오윤숙, "近代 以後 中國 ≪詩經≫ 解釋學의 樣相-<近代 以後 韓中 ≪詩經≫ 解釋學의 樣相과 成果> 중 中國篇 (1)" 한국중문학회 26 : 1-32, 2003

      9 朱熹, "詩集傳"

      10 姚際恒, "詩經通論"

      11 程俊英, "詩經譯注" 上海古籍出版社 1985

      12 周振甫, "詩經譯注" 中華書局 2002

      13 王守謙, "詩經評注"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89

      14 夏傳才, "詩經硏究史槪要" 淸華大學出版社 2007

      15 載 維, "詩經硏究史" 湖南敎育出版社 2001

      16 陳子展, "詩經直解" 復目大學出版社 1983

      17 余塔林, "詩經正詁" 三民書局 1999

      18 唐莫堯, "詩經新注全譯" 巴蜀書社 1998

      19 朱熹, "詩序辨說"

      20 丁苦鏞, "與獨堂全書"

      21 毛亨, "毛詩鄭箋"

      22 孔穎達, "毛詩正義"

      23 黎淸德, "朱구語類"

      24 勝志賢, "新譯 詩經讀本" 三民書局 2000

      25 성백효, "懸吐完譯 詩經集傳 上·下" 전통문화연구회 1993

      26 吳萬鍾, "二十世紀詩經學硏究的回顧與展望" 중국인문학회 19 : 1999

      27 실시학사경학연구회, "『역주 시경강의』1·2·3·4·5" 도서출판 사암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