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에 이른 사람을 아라한(阿羅漢, arahant) 이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최초의 아라한은 석존이다. 즉 석존도 한 인간으로서 지난(至難)한 수행과정을 거치고 아라한이 된 사람이다. 만약 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37366
2013
-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 the Four Noble Truths ; Four Wisdoms in Essay on the System of Mahā ; yā ; na ; ‘destroyed is rebirth’ ; ‘lived is a chaste life’ ; ‘(of a student) done is what had to be done’ ; ‘after this present life there is no beyon’ 羅漢之四智 ; 四聖諦 ; 『大乘義章』 『四智義』 ; 我生已盡 ; 梵行已立 ; 所作已辦 ; 不受後有
220
KCI등재
학술저널
123-164(4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깨달음에 이른 사람을 아라한(阿羅漢, arahant) 이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최초의 아라한은 석존이다. 즉 석존도 한 인간으로서 지난(至難)한 수행과정을 거치고 아라한이 된 사람이다. 만약 석...
깨달음에 이른 사람을 아라한(阿羅漢, arahant) 이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최초의 아라한은 석존이다. 즉 석존도 한 인간으로서 지난(至難)한 수행과정을 거치고 아라한이 된 사람이다. 만약 석존이 성도했을 때의 양상을 더듬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나한의 사지’를 떠 올리면 될 것이다. 즉 “생사를 이미 여의었고, 청정행도 이미 이루어졌으며, 해야 할 바도 이미 다 하였으며, 다시는 몸을 받지 않는” 사람인 것이다. 이 게송은 석존이 자증한 바를 아라한과에 이른 제자들에게 교시한 문답에 처음으로 등장하여서 거의 모든 수행관련 불교문헌에 나타나지만 초기불전에서는 그 개념의 정의없이 한 묶음의 게송으로 전승된다. 그러던 것이 대승불전에서 ‘사지(四智)’라고 언급된다. 그 대표적 문헌이 『대승의장(大乘義章)』이다. 즉 『대승의장』「사지의(四智義)」에서 ‘사지’를 ‘세 맥락으로 분별[三門分別]’하면서, 첫째는 대상을 준거(準據)로 파악하고, 둘째는 그것의 체(體)와 상(相)으로 판정하고, 셋째는 진지와 무생지를 들어 분별하고 있다. 여기서 사지라고 말하는 것은, ‘아생이진(我生已盡)ㆍ범행이립(梵行已立)ㆍ소작이판(所作已辦)ㆍ불수후유(不受後有)’ 이 네 가지이다. 이 넷은 사성제의 지(智)와 같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비바사들의 논서와 『승만경 』, 『열반경』을 인용하면서 그러한 ‘사지’와 사성제를 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지’에 대한 사성제의 배당이 비록 표면상 불전마다 다르나, ‘사지’의 증득이 곧 사성제의 진리인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구(句)가 불전마다 다른 배당은 결국 사성제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석존의 근본교설이 어떤 교설보다도 중요한 불교의 정신이라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나한의 사지’도 그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하였던 ‘나한의 사지’라는 개념의 재조명(再照明)은 물론 수행의 근본적인 바탕으로서 ‘나한의 사지’를 이해하여서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d arahant is used to refer to enlightened people. The first arahant in Buddhism is the Buddha, Seokjon [釋尊, Śākyamuni]. In other words, the Buddha, Seokjon became a arahant through a underwent deep meditative practice also, as hum...
The word arahant is used to refer to enlightened people. The first arahant in Buddhism is the Buddha, Seokjon [釋尊, Śākyamuni]. In other words, the Buddha, Seokjon became a arahant through a underwent deep meditative practice also, as human beings. If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Buddha's understanding upon attaining enlightenment, one may think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羅漢之四智].’ Namely, arahants are people who have “extinguished the production of selfhood,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done what was necessary to be done to realize enlightenment, and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The four verses of this passage [gāthā] first appeared in a question and answer of the Buddha to other disciples who had reached the level of arahant.
These verses appear in nearly all of the Buddhist literature on practice, but the bundle of verses is copi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without any definition of those concepts. These are then mentioned in th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which refer to them as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 representative such work is Huiyuan of Jinyingsi Temple's (523∼592) Essay on the System of Māhāyāna [大乘義章].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n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is ‘divided into three contexts [三門分別].’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wisdom based on Four Noble Truths [四聖請]. Second, the wisdom's essence[体] and characteristics[相] are determined. Third, it is classified into ‘eradication wisdom [盡智]’ and ‘cognition of non-arising [無生智].’
Her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refers to ‘understanding that one has been born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suffering [我生已盡].’ ‘the understanding that the arahant has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that suffering is at an end [梵行已立]’. ‘the understanding that task of the arahant have been well performed,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leading to enlightenment [所作已辦]’. ‘the understanding of the arahant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the causes of suffering [不受後有]’.
It is also said that these four is the same as the cognitions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cites portions from Vibhāsā's śāstra [毘婆沙論書], Srimaladevi-simhanada-sutra [勝鬘經] and Nirvāna Sūtra [涅槃經] assign Four Noble Truths to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lthough the exact mapping of the Four Noble Truths to th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differ among these scriptures, it is undeniable that the attainment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in fact the attainmen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the different mappings of every verse in each text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if the fundamental doctrines of. the Buddha is the spirit of Buddhism and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doctrine, then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equal in importance. Therefore, this calls for a re-illumination of the previously neglected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nd an understanding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s a fundamental base for practice, and further study is indic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준호, "인도의 阿羅漢 연구" 한국불교문화학회 7 : 5-33, 2006
2 에드워즈 콘즈, "인도불교사상사" 민족사 1990
3 이중표, "아함의 중도체계" 불광출판부 1991
4 권오민,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2006
5 권오민, "아비달마구사론 4권" 동국역경원 2007
6 이필원, "아라한 개념의 발전과 전개 심해탈과 혜해탈을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4) : 111-138, 2008
7 전재성, "쌍윳따 니까야 제1권"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99
8 S tcherbatsky, Theodore, "소승불교개론" 경서원 1986
9 안양규, "붓다의 입멸과 阿羅漢의 자살" 3 : 5-34, 2002
10 안양규, "논문 : 인도 및 동남아 불교의 이상인간" 종교문제연구소 (7) : 241-264, 2001
1 조준호, "인도의 阿羅漢 연구" 한국불교문화학회 7 : 5-33, 2006
2 에드워즈 콘즈, "인도불교사상사" 민족사 1990
3 이중표, "아함의 중도체계" 불광출판부 1991
4 권오민,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2006
5 권오민, "아비달마구사론 4권" 동국역경원 2007
6 이필원, "아라한 개념의 발전과 전개 심해탈과 혜해탈을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4) : 111-138, 2008
7 전재성, "쌍윳따 니까야 제1권"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99
8 S tcherbatsky, Theodore, "소승불교개론" 경서원 1986
9 안양규, "붓다의 입멸과 阿羅漢의 자살" 3 : 5-34, 2002
10 안양규, "논문 : 인도 및 동남아 불교의 이상인간" 종교문제연구소 (7) : 241-264, 2001
11 김영아, "결박과 오취온의 관계 연구 : Pāli 문헌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2 "首楞嚴經 (『卍續藏經』11)"
13 "雜阿含經 卷2(『大正藏』 02)"
14 "雜阿含經 卷15(『大正藏』 02)"
15 "阿毘達磨大毘婆沙論 卷60(『大正藏』 27)"
16 "阿毘達磨倶舍論 卷26(『大正藏』 29)"
17 "阿毘曇毘婆沙論 卷52(『大正藏』 28)"
18 "長阿含經 卷5(『大正藏』 01)"
19 "起世經 (『大正藏』 01)"
20 溫宗堃, "漢譯阿含經與阿毘達磨論書中的‘慧解脫’" 正觀雜誌編輯委員會 (26) : 6-52, 2003
21 藤田正浩, "心解脱と慧解脱" 日本印度學佛教學會 24 (24): 574-578, 1994
22 平岡 聡, "定型表現から見た説一切有部の律蔵" 日本印度學佛教學會 50 : 440-446, 2001
23 鎌田茂雄, "大藏經全解說大事典" 雄山閣出版 1998
24 "大般涅槃經 (『大正藏』 12)"
25 "大乘義章 (『大正藏』 44)"
26 佐藤義博, "原始仏教聖典における定型句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教學會 28 : 154-155, 1979
27 "勝鬘經 (『大正藏』 12)"
28 "勝鬘寶窟 (『大正藏』 37)"
29 田中敎照, "初期佛敎の修行道論" 山喜房佛書林 1993
30 "佛説信佛功徳經 (『大正藏』 01)"
31 "佛學大辭典" 新文豊出版公司 1978
32 정승석, "佛典解說事典" 민족사 1994
33 "佛光大辭典" 불광대장경편수위원회 1989
34 "中阿含經 卷5(『大正藏』 01)"
35 雲井昭善, "パ-リ語佛敎辭典" 山喜房佛書林 1997
36 M. L. Feer, "Saṁyutta-Nikāya Vol.1" PTS 1991
37 T.W. Rhys Davids, "PALI-ENGLISH DICTIONAR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1993
38 T. W. Rhys Davis, "Dīgha-Nikāya Vol.1" PTS 1975
入竺求法僧 증언과 데와닷따(Devadatta) 破僧의 재조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6-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7 | 0.93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