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이아웃의 원리를 기반으로 민방위 대피시설 표지판 유형 및 부착 위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vacuation Sign Type and Attachment Location for Civil Defense Facilities Based on Layout Princi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uide sign and guidance sign.
      It is very important role to guide the correct movement as well as provide evacuation information about civil defense facilities. Evacuation sign of civil defense facility currently inconsistently attached at each underground subway entrance which has different types of visual components including letters and pictograms along with different locations as a structural component. It caused huge visual confusion for users. In addition, due to the negligence of maintenance, many evacuation signs are corroded and discolored as well as even missed at some places. Therefore users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various types and locations for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which is attached at underground subway entrances based on the layout principle so that users can easily identify and access subway stations in emergency. It is also provided new standards as a unified guideline of evacuation sign for civil defense facilities with considering safety issu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our society.
      번역하기

      The current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uide sign and guidance sign. It is very important role to guide the correct movement as well as provide evacuation information about civil defense facilities. Evacua...

      The current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uide sign and guidance sign.
      It is very important role to guide the correct movement as well as provide evacuation information about civil defense facilities. Evacuation sign of civil defense facility currently inconsistently attached at each underground subway entrance which has different types of visual components including letters and pictograms along with different locations as a structural component. It caused huge visual confusion for users. In addition, due to the negligence of maintenance, many evacuation signs are corroded and discolored as well as even missed at some places. Therefore users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various types and locations for evacuation signs of civil defense facilities which is attached at underground subway entrances based on the layout principle so that users can easily identify and access subway stations in emergency. It is also provided new standards as a unified guideline of evacuation sign for civil defense facilities with considering safety issu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our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혜민, "토지이용과 도시철도 네트워크 특성이 환승역 이용자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2 목정호, "입지모델링을 이용한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의 적정성분석" 경북대학교 2015

      3 "신설 2016.1.19., 비상대피시설의 안내표지판 및 유도표지판(제15조의 2 관련)"

      4 오정은, "시각언어에 의한 광고 레이아웃 주목효과에 관한 연구 : 인쇄매체 광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5 송호림,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제주대학교 2016

      6 심민석, "민방위의 활성화를 통한 효율적인 국가위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73-200, 2013

      7 김용철, "도시의 재해 대피소의 적정 위치선정 : 강남구 공용시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8 조운한, "광고 커뮤니케이션 레이아웃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조형연구" 14 (14): 2003

      9 김정옥, "고밀도 상업지구 사인 디자인 연구 : 서울 명동지역 의류업종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10 박희정, "건물별 사인면적총량 제한에 따른 입면형태별 사인레이아웃 연구 : 인천자유경제구역 송도지구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1 임혜민, "토지이용과 도시철도 네트워크 특성이 환승역 이용자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2 목정호, "입지모델링을 이용한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의 적정성분석" 경북대학교 2015

      3 "신설 2016.1.19., 비상대피시설의 안내표지판 및 유도표지판(제15조의 2 관련)"

      4 오정은, "시각언어에 의한 광고 레이아웃 주목효과에 관한 연구 : 인쇄매체 광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5 송호림,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제주대학교 2016

      6 심민석, "민방위의 활성화를 통한 효율적인 국가위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73-200, 2013

      7 김용철, "도시의 재해 대피소의 적정 위치선정 : 강남구 공용시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8 조운한, "광고 커뮤니케이션 레이아웃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조형연구" 14 (14): 2003

      9 김정옥, "고밀도 상업지구 사인 디자인 연구 : 서울 명동지역 의류업종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10 박희정, "건물별 사인면적총량 제한에 따른 입면형태별 사인레이아웃 연구 : 인천자유경제구역 송도지구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11 "https://www.donggu.go.kr/home/info_01100303.do"

      12 "https://terms.naver.com/"

      13 "https://ko.wikipedia.org/wiki/2016"

      14 "http://www.safekorea.go.k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